조선왕조 때 유머

가장 아름다운 소리

eorks 2019. 2. 26. 02:35
[옛고전에서 전해오는 조선왕조 500년 유머/김현룡지음]

제1부 선비들의 멋, 그것은 유머였다.
[제1ㅡ9화]가장 아름다운 소리
조선 선조 임금 때 내노라하는 대신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정 철(鄭撤)과 유성룡(柳成龍), 그리고 이항복(李恒福)과 심희수(沈 喜壽), 이정구(李廷龜) 등 학문이 깊은 쟁쟁한 다섯 대신들이 우 연히 어느 관리의 환송 잔치에 함게 참석한 것이다.

술잔이 몇 바퀴 돌고 은근해지니, 한 사람이 제안했다.

"우리가 돌아가면서 시 한 구절씩 지어 읊으며 흥을 돋우는 것이 어떤가? 그게 좋지 않겠어?"

이 제의에 모두들 그게 좋겠다고 찬동하며, 제목을 `들려오 는 가장 아름다운 소리'로 정했다.

먼저 정철이 지어 읊는데,

"맑은 밤 밝은 달빛이 누각 머리를 비추는데, 달빛을 가리고 지나가는 구름의 소리(淸宵朗月 樓頭알雲聲)."
라는 것이었다. 모두들 마음으로만 느끼는 소리를 산징적으로 잘 표현했다고 칭찬했다.

다음은 심수희가 나섰다.

"온 산 가득 찬 붉은 단풍에, 먼 산 동굴앞을 스쳐서 불어 가 는 바람 소리(滿山紅樹 風前遠峀聲)."

이렇게 긴 소리로 읊으니, 모두들 그 바람 소리가 지금 귓가 를 스치는 것 같다고 하면서 좋아했다.

그리고 이어 유성룡은,

"새벽 창 잠결에 들리는, 작은 통에 아내가 술을 거르는 그 즐거운 소리(曉窓睡餘 小槽酒滴聲)."
라고 지었다. 이에 모두 손뼉을 치면서 크게 웃고 술 한 잔씩을 죽 돌렸다.

그 다음은 이정구가 나서더니 큰 기침을 하고는,

"산골 마을 초당에서 도련님의 시 읊는 목소리(山間草堂 才 子詠詩聲)."

하고 읊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모두들 옛날에 자기들도 읊었던 가장 확실하게 아름다운 소리라고 했다.

마지막까지 듣고 있던 오성 대감 이항복이 나서면서, 다들 좋 은 소리들을 읊었지만 자기의 것만은 못할 것이라고 말하며 읊 기 시작했다.

"깊숙한 골방 안 그윽한 밤에, 아름다운 여인의 치마 벗는 소 리(洞房良宵 佳人解裙聲)."

이렇게 읊고는 사람들에게 어떠냐고 물었다. 이 말에 모두들 그 소리가 가장 마음에 드는 아름다운 소리라고 칭찬하며, 크게 한바탕 웃었다.<조선중기>


......^^백두대간^^........白頭大幹

'조선왕조 때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첩(男妾)을 많이 거느린 여인  (0) 2019.02.28
무식한 선비의 실수  (0) 2019.02.27
복통에 육평(肉片)이 약이라  (0) 2019.02.25
한방에 거처하는 처와 첩  (0) 2019.02.24
땀이 팥죽같이 흐르네  (0) 2019.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