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2)

eorks 2019. 10. 1. 00:04
풍수지리(風水地理)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2)
빈곤한 집터
집안의 빈곤함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何知人家貧了貧山走山斜水返身(하지인가빈료빈산주산사수반신)
산이 달아나고 산이 비스듬히 기울고 물이 반궁수(反弓水)인 경우.
집에서 바라보았을 때 산이 감싸고돌아야 좋은 것인데 집은 감싸지 않고 반대로 비스듬히 기울어 달아나고 물 또한 집을 감싸고돌아야 하는데 반대로 물이 집을 향해서 치고 들어왔다가 달아나는 집터에 사는 사람들은 빈곤을 면할 수 없다는 말이다.

부유한 집터
집안의 부유함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何知人家富了富員峰磊落皆朝護(하지인가부료부원봉뢰락개조호)
둥근 봉우리 여러 개가 겹쳐 제후가 천자를 알현하며 호위하는 듯 한 경우.
員峰은 金形으로 露積峰을 말하고 磊落은 많은 과일이 주렁주렁 열린 모양이나 높이 쌓인 모양으로 많은 것이 뒤섞인 모양을 뜻 한다

집에서 바라보이는 산의 봉우리가 둥그런 모양이 마치 노적봉과 같고 과일이 주렁주렁 열린 모양의 형상을 하여 마치 집터가 천자라면 집터를 둘러싸고 신하가 알현하는 듯 조아리고 호위하듯 하는 집터에 살면 그 집안은 부유하다.

귀한집터
집안의 귀함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何知人家貴了貴文筆秀峰當案起(하지인가귀료귀문필수봉당안기)
붓처럼 수려하게 생긴 봉우리가 앞에 있는 경우.
文筆峰은 木形으로 붓의 끝처럼 뾰족한 山을 말하고 案은 案山을 말한다.

집안이 귀한 자손이 나오기 위해서는 집 앞에 있는 산봉우리가 목성으로 마치 붓끝처럼 뾰족하면서도 아름다우면 문장에 능한 자손이 태어나 귀하게 된다.


......^^백두대간^^........白頭大幹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4)  (0) 2019.10.03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3)  (0) 2019.10.02
대문은 어떻게 내야하나 ?(1)  (0) 2019.09.30
太乙數란?(6)  (0) 2019.09.29
太乙數란?(5)  (0) 2019.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