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철론(佩鐵論)(11)
대황천(大黃泉)과 소황천(小黃泉)을 실었다. 大黃泉은 양간(陽干)의 녹(祿)을 沖하여 나가는 수(水)이고 小黃泉은 음간(陰干)의 녹(祿)을 沖하여 나가는 수(水)이다. 五行色은 干과 祿이 위치하는 곳의 五行色을 인용하였다. 간인수구(艮寅水口)일 때는 갑목(甲木)의 녹(祿)이니 大黃泉으로 녹색의 목국황천(木局黃泉)이 되는 것과 같다. 또한 을진향(乙辰向)이라면 을목(乙木)의 녹(祿)은 갑묘(甲卯)이니, 갑묘(甲卯)로 水口가 되면 을진향(乙辰向)이 小黃泉이 되는 것과 같다.
지정지미(至精至微)하다는 분금을 실었다. 120개의 방위로 전개되며 正針에서 인종되면 正針分金이 되고, 天盤에 인종되면 天盤分金이 된다. 정침을 체(體)로 삼아 분금을 일으키고 이를 봉침에서 인종하여 용(用)한다 즉 正針分金을 縫針 아래에 실은 것이다. 글자가 있는 칸은 丙子와 庚子旬이고 그 외는 빈칸으로 고허살성(孤虛殺星)과 음양차착(陰陽差錯)의 분금이 되어 불용(不用)한다.
원둘레를 360도로 표시하여 분금에서의 도수의 정확을 기하였다. 자좌(子坐)의 경자분금(庚子分金)이라면 坐3度 와 向183度를 가리키게 되는 것 등과 같다. 원= 360도 2방위(坐와 向)=180도 4방위(東西南北)=90도 8방위(八卦)=45도 12방위(地支) =30도 24방위(盤針)=15도 60방위(透地龍)=6도 72방위(穿山龍)=5도 120방위(分金)=3도 240방위 (分數)=1.5도 360방위(圓)=1도 365.25度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33C6F405124E4E41D)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