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1)
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및 간지(干支) |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하는데 간지(干支)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합칭어(合稱語)이고 음양(陰陽)과 오행(五行)론에서 이미 설명했지만 간단히 부언하면 원래 음양은 우리가 사는 지구와 태양(太陽)과의 추상적 개념이며 지구는 음(陰)이고 태양은 양(陽)의 관계로 보고 이를 만물(萬物)에 적용하며 음양이 오행(五行)으로 전개되고 그 오행(五行)이 다시 각각의 음양으로 나뉜다는 개념이다.
천간(天干)은 하늘의 오행(五行)으로 양(陽)의 기(氣)를 나타내고 지지(地支)는 땅의 오행(五行)으로 음(陰)의 질(質)을 나타내며 형체가 있는 이땅의 모든 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음양.오행에서 전개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는 하나의 기운(氣運)으로 불가분(不可分) 하게 연관되어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이루기도 하는데 우리는 상호 연관지어 일어나는 기운들의 변화와 속성을 잘 살피고 충분히 익혀야 합니다. (육십화갑자(六十花甲子)는 납음 오행을 의미).
예를 들면 2004년을 갑신년(甲申年) 이라 하고, 2005년을 을유년(乙酉年)이라고 부르는데
2004년 갑신년(甲申年) 2005년 을유년(乙酉年) 간(干): 갑(甲) – 하늘의 양(陽) 干: 乙 – 하늘의 陰 지(支): 신(申) – 땅의 양(陽) 支: 酉 – 땅의 陰
사주팔자(四柱八字)의 네 기둥도 이와 같이 간지(干支)를 두 글자씩 짝지어 생.년.월.일.시에 따라 배열합니다. (사주팔자 구성 참조)
甲 |
乙 |
丙 |
丁 |
茂 |
己 |
庚 |
辛 |
壬 |
癸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천간의 음양오행 (木->火->土->金->水)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양(陽) |
甲 |
丙 |
戊 |
庚 |
壬 |
음(陰) |
乙 |
丁 |
己 |
辛 |
癸 | 암기법: 1) 갑을목(甲乙木), 병정화(丙丁火), 무기토(戊己土), 경신금(庚辛金), 임계수(壬癸水) 2) 양간(陽干): 갑병무경임(甲丙戊庚壬), 음간(陰干): 을정기신계(乙丁己辛癸) * 간단히 십천간(十天干)을 정리하였으나 십천간론(十天干論)은 매우 중요한 이론으로서 명리통변술(明理通變術)의 고급과정으로 응용편에서 심도 있게 다루겠습니다. – 천간의 기원(起源)과 자의(字義) 포함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33C6F405124E4E41D)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