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세계자연유산 /베트남 /퐁나케방 국립공원(144)

eorks 2019. 10. 24. 16:59

세계자연유산 /베트남 /퐁나케방 국립공원
[Phong Nha – Ke Bang National Park]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br>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퐁나케방 국립공원

    국가 : 베트남(Vietnam)
    좌표 : N17 32 14,E106 9 4.5
    등재연도 : 2003년
    확장연도 : 2015년
    보존 및 관리체계 :
    ‘퐁나케방 국립공원(Phong Nha-Ke Bang National Park)’은 베트남 꽝 빈 성(廣平省)의 자이 쯔엉 선(Dãy Trường Sơn, 安南山脈, Annamite Range) 한가운데에 있으며 서쪽에 위치한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의 힌남노 자연보호구역(Hin Namno Nature Reserve)과 그 경계가 맞닿아 있다. 연면적 126,236ha에 달하는 유산 지역 내에는 육상·수상 서식지, 1차림·2차림, 산림자연재생(Natural Regeneration) 지역, 열대 밀림과 사바나 등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과학적으로 의미 있는 거대 동굴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이 유산에는 104km가 넘는 동굴과 지하 강이 보호되고 있으며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석회암 카르스트 생태계를 자랑하고 있다.

    고생대(古生代, 약 4천만 년 전)부터 진화를 시작한 이곳의 카르스트 지형은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주요 카르스트 지역에 속한다. 어마어마한 규모의 구조적 변화에 따라 나타난 이 카르스트 지형은 상당히 복잡하여 여러 종류의 암석층이 얽히고설켜 상호 교차하면서 다양한 지형학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카르스트 경관은 매우 복잡한 지형일 뿐 아니라 역사가 오래되었고 높은 생물다양성 수준 및 다양한 지형학적 특징을 보이고 있어 대단히 의미가 있다. 카르스트 지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지하 강이 생성되었고, 건조 동굴(dry cave), 계단형 동굴(terraced cave), 추형 동굴(suspended cave), 수지상 동굴(dendritic cave) 및 교차형 동굴(intersecting cave) 등 다양한 형태의 동굴이 생겨났다.

    총 길이 44.5km가 넘는 퐁나 동굴이 전체 동굴 중에서 가장 유명하며, 관광용 보트를 이용해서 1,500m까지 동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2009년 처음으로 탐사가 시작된 선 도옹 동굴(Hang Sơn Đoòng, Son Doong)은 그 폭과 연장 길이로 볼 때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동굴 통로로 인정되고 있다. 다수의 동식물 종이 등재된 유산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154종의 포유류, 117종의 파충류, 58종의 양서류, 314종의 조류 및 170종의 어류 등 800종이 넘는 척추동물이 서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일부 종의 경우 개체군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지만 놀라운 수준의 생물다양성이 온전히 보전된 수림 내에 유지되고 있다.

    완전성 :
    유산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카르스트 보호 경관이다. 연면적이 123,326ha에 달하며 서쪽으로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 국경과 인접해 있다. 이 유산은 퐁나케방 국립공원의 지질학적으로 탁월한 가치를 표현할 만한 필요한 모든 요소를 유산의 경계 내에 갖추고 있다.

    등재된 유산은 220,055ha 면적의 완충지역으로 완벽하게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으며 엄격한 보호지역, 생태 복원 지역, 행정 · 서비스 구역 등 3개 관리 구역으로 나뉜다. 완충지역 내의 유역보안림(watershed protection forest) 역시 유산의 완전성을 표현한다. 아울러 유산을 확장한 결과 유산의 완전성과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 국경 내 카르스트 지형과의 연속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유산의 완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도 적지 않다. 야생동물 밀렵과 불법 임산물 채취는 생물다양성 보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또한 급속한 개발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향후 무분별한 관광개발 사업, 특히 이미 발의된 케이블카와 접근로의 건설로 인해 그 완전성까지 위협받게 될 수도 있다.

    유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개발 공사에 대해서 반드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자연경관과 지질학 · 지형학적 가치, 유산 지역 내에서 발견되는 원시림, 동굴, 강, 시내 등과 같은 핵심 요소들이 훼손되지 않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유산은 또한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있으므로 경작, 관광, 운송, 담수 어업 등과 같은 여러 활동으로 인해 그 완전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
    1986년 자연보호구역(Nature Reserve)으로 처음 지정되었다가 2001년 수상에 의해 결정된 189/QD-TTg에 의거 ‘퐁나케방 국립공원’이 설립되었으며 이곳은 관리이사회가 관리한다. 1994년 설립된 관리이사회는 산림 자원 및 생물다양성의 보호를 책임진다. 동굴의 보존 및 관광서비스의 제공은 관리이사회 산하 문화생태탐방객센터(Cultural and Ecological Tourist Centre)에서 관할한다.

    유산은 또한 특별국가유산목록(Special National Heritage List, 2009)에 등재되고 특수산림(Special Use Forest, 1999) 제도에도 포함되었다. 국립공원 및 세계유산의 경계 안팎에서 행해지는 유산의 가치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활동을 금지하는 다수의 국내법이 있으며 국림공원은 정부 결정에 따라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계획(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lan), 국립공원 운영관리계획(National Park Operation Management Plan) 및 완충지역 개발계획(Buffer Zone Development Plan) 등을 포함하는 기존의 여러 계획을 기반으로 전략적 관리계획(Strategic Management Plan)이 2012년 입안되었으며, 관리이사회가 라오인민민주주의공화국과 맞닿은 국경선에서 이루어지는 산림경비대의 순찰 활동과 공동 법 집행 활동을 포함한 법률 시행 프로그램을 감독한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험준한 자연환경과 천연자원에 대한 공동체의 의존, 법집행을 위한 자원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현실 등으로 인해 야생동물 밀렵과 불법 목재 채취 행위는 근절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유산 북쪽 방향으로 외곽에 건설된 호치민 고속도로는 위치가 적절하며 케방 숲의 전망을 개방하고 접근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매우 중요한 장점이 되고 있다. 그러나 또 다른 도로 공사나 관광개발 사업은 그 허용 여부에 관한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엄격하고 포괄적인 환경영향평가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발 활동이 퐁나케방이 세계유산에 등재될 수 있었던 기준이 되었던 카르스트와 생물다양성이라는 가치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계속해서 커지는 개발 압력과 증가하는 탐방객 수와 관련하여서도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계획 및 관리되어야 한다. 훼손되지 않은 숲을 보호한 퐁나케방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수준은 상당히 높다. 그렇지만 호랑이, 아시아흑곰, 아시아코끼리, 자이언트문착, 아시아들개, 인도물소, 그리고 최근에 발견된 사올라를 포함하여 알려진 거대 포유동물 개체군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형 포유류 종에 대한 최신의 자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등재 기준 :
    기준 (viii) : ‘퐁나케방 국립공원’은 퐁나케방과 힌남노 카르스트를 아우르는 거대한 개석대지(開析臺地, dissected plateau, 선상지 · 삼각주 등의 지형이 융기한 후 유수의 침식으로 형성된 대지 혹은 고원)의 일부분이다. 석회암 지대는 연속적이지 않으며, 이판암(셰일)과 사암이 서로 복잡하게 교차하고 있다. 이 결과 매우 독특한 지형이 이곳에 생성되었다.

    상이한 일련의 지질현상과 관련된 증거가 남아 있는 동굴에서는 고대에 형성된 여러 층의 버려진 통로, 지하 강의 중요한 수로 변화의 흔적, 석회암 구성의 변화, 거대한 스펠레오뎀(speleothem, 동굴침전물로 만들어진 지형)의 퇴적과 후대에 일어난 재용해 및 지면에서 발견되는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 녹조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퇴적층)와 같은 보기 드문 특징이 확인된다.

    지표에서도 깊이 절단된 비탈면부터 고원지대, 거대한 폴리에(polje, 함몰지)에 이르기까지 놀라운 자연 경관이 연속해서 나타난다. 또한 이 오래된 카르스트 체계가 성숙되는 과정에서 최소한 1회 이상의 열수(熱水)성 활동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9년 처음 탐사한 이래로 선동 동굴은 그 폭과 연장 길이를 기준으로 볼 때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동굴 통로로 인정되고 있다. 고원은 동남아시아의 복잡한 카르스트 지형 중 가장 훌륭하면서도 독특한 사례 중 하나이다.

    유산은 이 지역의 지질학적 · 지형학적 · 지질연대학적 역사를 더욱 잘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기준 (ix) : ‘퐁나케방 국립공원’은 거대한 동굴과 지하 하천을 포함한 복잡다단한 석회암 경관을 이루고 있다. 유산에 포함된 카르스트 지형 중 일부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가장 방대하며, 지질 · 기후 · 수계 지리 · 생태 환경은 다른 석회암 카르스트 경관과는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동굴 생태계와 서식처가 독특해서 고유종의 비율이 매우 높고, 서식하는 종들의 동굴에 대한 적응도도 높다. 유산은 인도차이나 반도의 카르스트 지형에서 발달한 습윤림으로서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훼손된 상당한 범위의 지역 중 하나라고 여겨지며 94%에 달하는 면적이 숲으로 덮여 있으며 이중 84%는 1차림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이 유산은 자이 쯔엉 북부 우림(Northern Annamites Rainforests)과 자이 쯔엉 습윤림(Annamite Range Moist Forests)의 중점생태지역 내에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기준 (x) : 2,700종 이상의 관다발식물과 800종 이상의 척추동물을 포함하여, 유산 내의 생물다양성 수준은 상당히 높다.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도 발견된다. 큰가지뿔문착(Large-antlered Muntjac, 자이언트문착), 구름무늬표범, 그리고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사올라(saola, 소과의 포유류)등 일부 거대 포유동물을 포함해서 지금까지 멸종위기종 식물 133종과 척추동물 104종이 보고되었다. 고유종 비율 또한 높은 편인데 특히 동굴계통의 경우가 그렇다.

    베트남 고유종 식물 중 400종 이상, 자이 쯔엉 선의 고유종 동물 38종이 유산의 경계 내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굴 전갈, 어류, 도마뱀, 뱀, 거북 등을 포함하여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이 지금까지 발견되고 있고 앞으로도 더 많은 종이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자이 쯔엉 선 지역의 고유종으로 알려진 멸종위기의 영장류인 하띤랑구르(Hatinh Langur, 카르스트 숲에서만 서식하는 긴꼬리원숭이의 일종), 검은색 하띤랑구르(별도의 종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음), 두크마른원숭이(Red-shanked Douc Langur), 그리고 지구상에 남아 있는 흰뺨긴팔원숭이(White-cheeked Gibbon) 중 상당수의 개체가 이 지역에서 발견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퐁나케방 국립공원 [Phong Nha – Ke Bang National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