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대한민국, 독일, 모로코, 몽골, 벨기에,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시리아아랍공화국, 아랍에미리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 공화국, 카자흐스탄, 카타르, 파키스탄, 포르투갈, 프랑스, 헝가리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Falconry, a living human heritage]
요약 : 본디 ‘매사냥’은 식량을 얻기 위해 행해왔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서보다는 자연보호, 문화유산, 공동체 내에서나 서로 다른 공동체들 간에 친선을 위한 행위로서 더욱 발달해 왔다. 저마다의 전통 및 윤리 원칙에 따라 매사냥꾼(응사(鷹師) 또는 매꾼)은 맹금(猛禽, 매 이외에도 독수리나 송골 등)을 기르고, 길들이고, 다루고, 날림으로써 자신이 기르는 맹금과 돈독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훈련된 맹금의 중요한 보호자가 되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 행해지고 있는 매사냥은 사용하는 장비라든가 아주 특정한 부분에서 차이가 날 수 있지만 매를 훈련하고 돌보는 방법 등은 대체로 유사하다. 매사냥꾼들은 스스로를 하나의 집단으로 여기며 사냥철에는 수주에 걸쳐 사냥여행을 떠나기도 하는데 매사냥을 마친 후에는 모닥불 주위에 둘러 앉아 하루 동안 일어난 일에 대해 담소를 나눈다.
그들은 매사냥을 과거와의 매개체로 여긴다. 특히 매사냥을 지역사회와 그들의 자연환경 및 전통문화 사이를 연결하는 얼마 남지 않은 매개체 가운데 하나로 여긴다. 매사냥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은 공식적인 전수 교육(멘토링) 또는 클럽이나 학교에서의 도제식 교육이나 훈련 등을 통해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수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매사냥꾼이 되기 위해서 반드시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매사냥 문화를 지닌 공동체들은 경기나 축제 등을 통해 매사냥에 관한 지식을 공유하고, 인식을 제고하며, 다양성을 촉진한다.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국가 :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독일(Germany), 모로코(Morocco),
몽골(Mongolia), 벨기에(Belgium),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
스페인(Spain), 시리아아랍공화국(Syrian Arab Republic),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 오스트리아(Austria),
이탈리아(Italy), 체코 공화국(Czech Republic), 카자흐스탄(Kazakhstan),
카타르(Qatar), 파키스탄(Pakistan), 포르투갈(Portugal), 프랑스(France),
헝가리(Hungary)
등재연도 : 2010년 (확장 2016년)
지역 정보 :
매사냥은 매가 수천 년 동안 이용하던 이동 경로를 따라 발달하였다. 따라서 매사냥은 북아시아와 동아시아 그리고 북유럽에서부터 지중해 유럽, 중동 아시아 및 카스피 해 연안국을 거쳐 북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또한 북아메리카에서 남쪽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까지 매의 전통적인 이동 경로와 회랑 안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매사냥의 전통은 60여 개 국가에서 발견되고 있다. 매사냥은 매사냥꾼이 새를 뒤쫓을 수 있는 개활지(開豁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매의 서식지(棲息地)가 매사냥을 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좌우하며, 사냥의 방식은 지역에 따라 전통 방식에 따라 고유하게 발달하였다. 예를 들어 아라비아 사막의 개활지에서는 장거리를 비행하는 매를 날릴 수 있는가 하면, 아시아의 초원 지역에서는 매뿐 아니라 몸집이 큰 독수리도 날릴 수 있다. 한편, 유럽 대부분과 일본, 중국의 일부 지방, 대한민국, 파키스탄에 볼 수 있는 산림지대 및 혼합 농지에서는 참매나 새매와 같이 단거리를 비행하는 새를 선호한다. 에스파냐와 이탈리아의 경우에는 서식지가 다양하여, 날개가 짧거나 긴 맹금을 모두 날릴 수 있다.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 중동 아시아, 북아프리카 및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서 매사냥의 전통 명맥은 끊겼던 적이 없다. 18세기부터 19세기 유럽에서 잠시 쇠락의 시기를 겪기도 했으나, 매사냥 전통은 이내 회복되어 점차 증가하는 도시 사람들과 전원 지역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했다. 유럽의 이주민들이 아메리카 대륙, 남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Australasia,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서남태평양 제도(諸島)를 포함하는 지역)에 정착하였을 때 그들과 함께 들어온 다양한 전통 중에는 매사냥도 있었다. 매사냥은 심지어 아조레스(Azores) 제도에서도 발견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매사냥은 소수의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즐기는 활동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매사냥을 하기 어려워졌고, 매사냥의 전통이 사라진 경우도 있다.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은 전원 환경에 기반을 둔 매사냥의 전통을 위협하는 가장 중대한 요인이다.
본문 :
매사냥은 매를 잡아 길들인 후에 날려서 야생의 사냥감을 잡는 전통으로서, 4000년 이상 지속되어 왔다. 매사냥은 인간과 조류 사이에 맺어진 가장 오래된 관계 중 하나이다. 매사냥은 아시아의 초원지대에서 발달하여, 무역과 문화 교류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는데, 처음에는 유럽, 북아프리카, 동아시아로 전해졌고, 16세기 후반에는 나머지 세계로까지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상 고대 및 중세시대에 행해진 매사냥은 세계 곳곳에 기록으로 남아 있다. 매와 사냥감은 수백만 년이 넘는 시간 동안 함께 진화하여 왔으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역사가 아주 오래된 한 편의 드라마이다. 매사냥꾼의 역할은 매와 사냥감이라는 두 배우를 자연이라는 무대 위로 모두 불러들이는 데 있다.
무형문화유산인 매사냥은 사교적인 여가 활동, 그리고 자연과 융화하는 방법으로서 공동체 안에 통합되었다. 본디 매사냥은 식량을 얻기 위한 한 가지 방편이었으나 수세기 동안 매사냥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치들이 생겨났으며 오늘날에는 동료애, 나눔, 자유의 표현 등의 가치와 동일시되고 있다. 오늘날 80여 개국의 지역 공동체는 노소(老小)를 가리지 않고 매사냥을 즐기고 있다.
매사냥은 그 자체가 ‘사회적 관습과 의례, 축제 행사’는 물론 ‘자연과 우주에 대한 지식 및 관습’ 등 여러 다양한 문화 영역에서 표현되는 전통이다. 여기에는 새의 생태와 행동 및 생활환경에 관한 전통 기술 및 지식, 전통적인 매사냥 도구의 제작, 그리고 그와 관련된 언어 표현, 회화, 조형물, 시, 의식, 음악 등에 내재한 언어학적·예술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다.
매사냥은 문화에 따라 고유한 전통 및 윤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사냥꾼은 비록 배경이 되는 환경이 서로 다를지라도 보편 가치와 전통, 기술을 공유한다. 매사냥은 하나의 문화 전통으로서, 전수교육(멘토링), 가족 내에서의 학습, 클럽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공식 훈련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승되고 있다. 매사냥 유산을 전승하는 과정은 매사냥 공동체에게 그들이 공유하는 역사적 기억을 되살아나게 할 뿐만 아니라 문화 정체성 또한 보다 다채롭게 해준다. 최근 들어 매사냥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고 있다.
매사냥을 통해 현대인들은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고,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 매사냥은 여러 나라들의 중요한 문화적 상징이다. 현대의 매사냥 기술은 매와 사냥감, 서식지뿐만 아니라 사냥 기술 그 자체를 살아있는 문화 전통으로 지켜나가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보유자와 연행자 :
매사냥은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전 연령에서 아마추어와 전문가가 모두 즐기는 활동이다. 매사냥꾼은 맹금과 깊은 유대감을 형성하여야 하며, 매를 기르고 길들이고 다루고 날리기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매사냥꾼들의 생활수준, 소속된 사회와 문화, 언어 및 종교적 배경은 저마다 다르다. 매사냥꾼은 매사냥을 통해 가정과 마을, 클럽 등에서는 한 사람의 개인으로서 연행자의 삶을 살며, 연행자들은 맹금류 보존의 최전선에서 앞장서는 리더이다. 매사냥꾼들은 매사냥이라는 유산의 보호를 책임지는 사람들로 여겨지고 있으며, 실제로 대다수가 멘토링이나 보다 공식적인 후계자 양성 과정에 개입함으로써 전승에 노력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매사냥에 관한 지식을 전승할 책임을 부담하는 보유자 명인 제도를 개발하여 왔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는 각 주의 협회별로 ‘매사냥꾼 명인’을 지정하였으며 새로운 매사냥꾼을 지도하고 훈련하는 과정을 돕도록 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공식적으로 등록된 부르키치(Burkytshi)·쿠스베기(Kusbegi)가 제자들에게 기술을 전수하여 매사냥에 관한 유산을 전승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국가가 매사냥꾼을 인간문화재(중요무형문화재 기예능보유자)로 지정하여, 기술 전수의 책임을 맡기고 있다.
매사냥꾼들은 스스로 한 집단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공유, 상호 의존, 상호 지원이라는 문화적 가치를 중요시한다. 매사냥은 하나의 사냥 집단으로서 협력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문화에 따라 고유한 전통 및 윤리 체계를 형성한다. ‘알므카와(almkhuwa, 형제애, 아랍에미리트)’ 또는 ‘알쉐릭(al-shareek, 동업자 윤리, 사우디아라비아)’과 같은 연대는 매사냥꾼에게 매우 중요한 행동 윤리라고 할 수 있다. ‘알므카와’는 동료애, 그리고 사냥 여행 중 발생하는 노동과 비용, 책임을 공평하게 부담한다는 의미이다. 대개 6명~12명의 매사냥꾼이 무리를 지어 1주~3주 동안 사냥 여행을 떠난다. 매사냥을 마친 후에는 모닥불 주위에 둘러 앉아 하루 동안 일어난 일에 대해 담소를 나누며 이따금 시를 짓기도 한다. ‘알므카와’ 무리에게 매사냥은 탁 트인 사막에서 매사냥꾼들이 동료애를 드높이고 문화 전통을 즐기는 방법이다.
유럽의 매사냥꾼들은 이를테면 경기 대회 같은 특별한 국내외 사교 모임에 함께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매사냥꾼들이 경험하는 동료애는 “우리는 사냥감 그 자체 때문에 사냥하는 것이 아니라, 사냥하는 동안 일어나는 다른 모든 기분 좋은 경험 때문에 사냥한다”는 체코(Czech)의 경구로 요약될 수 있다. 하루를 마칠 때에는 연설을 하고 나팔을 불어 그 날의 사냥감에게 경의를 표한다. 오스트리아·벨기에·체코 공화국·헝가리·스페인 등의 많은 유럽 국가들은 사냥의 성공을 기원할 수 있도록 성당에서 매사냥의 수호성인에게 미사를 올리는 전통이 있다. 아라비아와 파키스탄의 매사냥꾼들은 매에게 포획된 새나 동물을 두고 신의 이름을 되뇌기도 한다.
좀 더 큰 공동체에게 매사냥은 자부심과 정체감을 만드는 원천이다. 예를 들어 모로코 중서부의 크와셈(Kwassem) 부족은 지난 수세기 동안 매사냥 기술 덕분에 명예를 얻고 인정을 받아 왔다. 매사냥 후에 술탄으로부터 격려의 서한을 받게 되면 그 부족은 다른 부족 공동체와 특별히 구분되기도 한다. 일부 매사냥꾼 연행자 가문은 널리 알려져 ‘비아즈(Biaz, 매꾼)’라는 성(姓)을 가지고 있기도 했다.
전승 정보 :
전승은 모든 매사냥 공동체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업이며, 그 전수 과정에는 매사냥의 실제 뿐 아니라 환경에 관한 지식, 매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방법, 문화적 가치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전수한다. 전수 교육(멘토링), 가족 내에서의 학습, 클럽과 학교에서의 공식 훈련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매사냥 문화 전통을 전승하고 있다.
매사냥의 본질은 실전 활동이므로, 주요한 비공식적 교육 방법은 노련한 매사냥꾼이 입문자에게 직접 기술을 보여주며 가르치는 방법이다.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지식의 전승은 주로 가족 내에서 일어나며, 몽골·모로코·파키스탄·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등에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방법이다. 매사냥꾼들은 자녀를 훈련시켜 새를 다루고 새와 신뢰를 쌓는 방법을 가르친다. 이는 매에게 먹이를 주고, 손가락에 앉히고, 미끼를 이용해서 매를 부르는 등의 기술을 습득시키는 기나긴 훈련 과정이다.
수세기에 걸쳐 내려온 이러한 방식은 문화적 가치 및 전통을 전수하는 데도 동일하게 효과적이다. 대다수가 유목민인 베두인(Bedouin) 족이 정주를 시작한 지 한 세대도 채 안 된 중동 국가의 경우, 매사냥은 사막과 그들의 전통 문화 및 생활방식을 연결하는 얼마 남지 않은 연결 고리 가운데 하나이다. 아랍에미리트 매사냥꾼 협회 회장인 셰이크 함단 빈 자에드(Sheikh Hamdan bin Zayed)는 ‘매사냥은 우리 자녀들에게 사막의 마법을 체험하게 하고, 인내의 덕성을 길러준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많은 매사냥 단체나 클럽에서는 좀 더 공식적인 학습 체계를 개발해왔으며, 이를 젊은이들에게 교육을 통해 매사냥이라는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에서는 학교 교과 과정에 매사냥을 언급하거나 매사냥과 관련된 구체적인 학습 자료를 제작하기도 한다. 벨기에의 어린이들은 플라망어(Flemish) 읽기를 배우기 위해 매사냥에 관한 책을 사용하고 있고, 카자흐스탄의 경우 여러 부르키시(Burkitshi)나 키란 협회(Kyran Federation)가 스포츠클럽이나 중학교와 연계하여 매사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에서는 파크 알 알 아야 알 챔피언십(Fakhr Al Ajyal Championship, 아부다비)이나 파자 챔피언십(Fazza Championship, 두바이) 등과 같은 매사냥 대회에서 젊은이들의 참가를 장려하고자 주니어 부문을 도입하였다. 통해 국가공인자격증 취득을 위한 견습 프로그램이나 강좌를 도입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체코 공화국·독일·헝가리·이탈리아·포르투갈에서는 합법적으로 매사냥꾼이 되려면 매사냥꾼 지원자가 국가공인시험을 통과하여야만 한다.
젊은이들에게 교육을 통해 매사냥이라는 무형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예를 들어 일부 국가에서는 학교 교과 과정에 매사냥을 언급하거나 매사냥과 관련된 구체적인 학습 자료를 제작하기도 한다. 벨기에의 어린이들은 플라망어(Flemish) 읽기를 배우기 위해 매사냥에 관한 책을 사용하고 있고, 카자흐스탄의 경우 여러 부르키시(Burkitshi)나 키란 협회(Kyran Federation)가 스포츠클럽이나 중학교와 연계하여 매사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에서는 파크 알 알 아야 알 챔피언십(Fakhr Al Ajyal Championship, 아부다비)이나 파자 챔피언십(Fazza Championship, 두바이) 등과 같은 매사냥 대회에서 젊은이들의 참가를 장려하고자 주니어 부문을 도입하였다.
또한 매사냥에 관한 실용 지식은 지난 수세기 동안 문서로 기록되어 왔다. 프리드리히 2세(Friedrich II, 신성로마제국 황제)가 저술한 13세기의 책 『새를 이용해서 사냥하는 기술(De Arte Venandi cum Avibus)』은 오늘날까지 폭넓게 인용되고 있다. 가장 최근의 사례로, 스페인은 행동 규범을 포함한 매사냥에 관한 교본을 온라인에 공개하여 초심자들이 매사냥 무형유산에 관한 실제를 이해하도록 돕고 있다.
무형유산의 의미 :
매사냥은 사교적인 여가 활동, 그리고 자연과 융화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공동체 안에 통합되어 있다. 본디 매사냥은 식량 확보를 위한 방편 중의 하나였으나, 수세기 동안 그 밖의 여러 가치들이 생겨났으며 오늘날에는 동료애, 나눔, 자유의 표현 등의 가치와 동일시되고 있다. 오늘날 80여 개 국의 지역 공동체에서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매사냥을 즐기고 있으며, 따라서 각국의 문화 전통 양상도 매우 다양하다.
매사냥꾼은 비록 국가적 배경이 서로 다를지라도 보편 가치와 전통, 기술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매를 훈련하고 돌보는 방법, 사용하는 도구, 매와 유대감을 형성하는 과정 등은 모든 국가들에서 유사한 모습을 지녔다. 매사냥꾼들은 단순한 몸짓을 통해 서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통과 지식의 공유를 통해 매사냥의 보편성이 지켜지고 전통이 살아서 유지되고 있다.
매사냥은 변화하는 환경에 부응한 각 공동체가 끊임없이 재생시켜온 역사적인 전통이다. 무선 추적 장치와 같은 현대 기술을 이용하는 등 변화하는 시대에 적응하는가 하면, 몇몇 집단은 그들 지방의 전통 복식을 이전 그대로 지켜나가고 있다. 예를 들어 오스트리아·벨기에·한국·몽골 등의 매사냥꾼들은 제각기 고유한 모자·단추·머리띠·외투 등을 입어 각자의 소속을 표시한다.
매사냥은 또한 예술적 창의성을 개발하고 고취하였는데 이는 문헌과 필사본, 시, 회화 작품, 역사적 건물 등과 같은 풍부한 문화유산에 남아 있다. 매는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문화 상징으로서 쓰였으며, 우표나 주화, 휘장 등에 폭넓게 이용되었다. 특히 아랍과 유럽의 몇몇 국가는 국가의 공식 상징으로 이용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외교상으로 매를 선물로 주고받기도 했다. 매는 자녀의 이름이나 마을의 명칭으로 쓰이기도 했다. 몽골에서는 민속 경기가 치러지는 국가 규모의 축제에서 씨름 선수들이 독수리의 힘과 아름다운 비행 모습을 보여주는 ‘독수리 춤’을 선보이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매사냥, 살아있는 인류 유산 [Falconry, a living human heritage]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