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관 록 (4)

eorks 2019. 12. 12. 00:04
풍수지리(風水地理)

관 록 (4)
4. 행정관의 사주
현재처럼 대다수의 공무원이 행정관인 시대에 따로 행정관의 사주만을 구별하는 것은 곤란한 일이나, 여기서 행정관이라 함은, 그 직책이 내무, 재무, 치안 및 지방행정 등의 상식적 의미에 있어서의 일반행정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행정관의 사주는 우선 격국이 순청하고, 재성과 관살이 상호 생조하고 정협된 것이라야 한다 이 외에도 관살이 왕성하고 인수가 있는 사주, 인수가 왕성하고 재성이 있는 사주 및 관살과 일주가 모두 왕성한 사주도 행정관의 사주다 재관이 미약하고 인성이 왕성하고 식상이 있는 사주는 문무를 겸비한 치안계통에 적합하며, 재성이 아름다운 사주는 재무계통에 적합하다

다음 세 사주는 내무행정의 명관들의 사주이다
계축 정사 임자 임인
무신 계해 갑오 갑자
정사 무신 무신 정사
첫째 사주는 왕성한 재성이 관성을 생조하고 있으며 식신이 생재하여 재성이 아름답다 고로 지방재정 및 산업행정의 명관으로 칭송받았다
둘째 사주는 왕성한 인수를 재성이 억제하고 상관이 유행시켜, 명군수로 활약하여 송비까지 세워 받았으며, 후에는 치안행정에 공로를 세웠다
셋째 사주는 사주가 인수 및 식신으로만 되었다 고로 치안행정의 수완가로서 그 활약이 종횡무진하였다
이상 설례에서 본 바와 같이 사주 중의 재관, 식상 및 인수 등 육신의 동향을 세밀히 관찰하면, 같은 행정관으로서도 여하한 직책을 맡을 것인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역마, 양인, 피강 및 문창성 등의 제살을 참작하면 일반행정계통 외에, 외무, 국방, 교통, 문교 등 특수행정계통에 적합한 사주를 판단하는 것도 과히 힘든 것은 아니다


......^^백두대간^^........白頭大幹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명, 요사할 사주(1)  (0) 2019.12.14
관 록 (5)  (0) 2019.12.13
관 록 (3)  (0) 2019.12.11
관 록 (2)  (0) 2019.12.10
관 록 (1)  (0) 2019.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