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1)

eorks 2020. 1. 29. 00:02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1)
양택(陽宅) :
사람이 살아가는 터를 이르는 말로 집터. 마을. 城郭.

양택론(陽宅論) :
快適한 生活環境을 제공하기 위하여 住居地를 決定하는 風水理論.

양풍(陽風) :
溪谷에서 自然的으로 發生하는 陰風과 對比되는 바람으로 自然 상태에서 부는 바람.

여기(餘氣) :
龍勢가 혈장을 만들고도 끝나지 않고 더 달려가는 힘으로 큰 혈장에서는 용세가 완전히 그치지않고 나머지 힘으로 뻗어 내려가는것이 보통이며 본혈장보다 餘氣는 1/2 정도 작은 형태 거나 上下 높이가 2倍 이상일 때.

역수(逆水) :
穴을 向해 물길이 들어오는 형상으로 財物이 몰려온다고 하여 貴하게 여기고 明堂水라고도 한다.

염승(厭勝) :
마을의 安寧을 目的으로 마을地勢의 부족한점을 補充하거나 變更하는 行爲로 배모양의 마을에서 배가 흘러가지 않도록 닻을 만들어 걸거나 솟대등을 세워 돛대의 의미를 지니도록하였다.

오기(五氣) :
陰陽五行學 에서 五行을 이루는 다섯가지 氣運으로 宇宙에는 여러 가지 많은 기운들이 꽉차있는데 이들相互關係를 金, 水. 木. 火. 土. 다섯가지 氣運.

오성(五星) :
다섯 개의 星辰으로 . 木星 ,火星, 金星,水星,土星.오성산의 준말 局勢內에서 東西南北에 位置한 五星山의 형태

오성산(五星山) :
山의 모양을 五行의 뜻과 연결지어 다섯가지로 分類한 形態, 火星山 ,土星山 ,金星山 ,水星山 ,木星山 ,이있으며 火星山은 창이나 붓끝처럼 뾰족하게 암석으로 이루어지므로 性情이 불길처럼 急하며 文章力과 藝術에 能하다 .큰산은 頂上에 암석이솟아 염정화성 이라하고 낮은산도 암석이 솟아 名山은 있어도 明堂이 있기는 어렵다.
土星山은 箱子의 윗모양처럼 위면이 一直線으로 양쪽이 角을 이룬다. 꿋꿋한 性情을 이루며 貯蓄心이 强하고 橫財로 인하여 致富하고 벼슬하며 福祿이 長久하다. 금성산을 이루는 背後山이 되면 더욱좋다. 큰산은 매우 雄壯하여 주천토성 이라하고 낮으면 案山. 朝山.으로좋다.
金星山은 보름달처럼 둥근 모양으로 圓滿한 性情을 이루고 강건하고 改革的으로 富貴를 가진다. 큰산은 장중하여 현천금성 이라하고 낮으면 반달.초생달. 물고기의 등처럼 동그란 모양을 이루어 向앞에 있음을 願한다.
水星山은 물길처럼 柔順히 屈曲처럼 흐른다. 智慧가 出衆하고 재주가 特出하다. 높으면 창천수성 이라하고 낮으면 나성 또는 조안사로 물결 칠수 있다.
木星山은 사람이 서있는 모양으로 산 윗부분이 이마처럼 단정 하여야 한다. 聖賢의 性情을 가지며 文章家와 貴한 사람이 誕生한다. 큰산은 충천목산 이라하며 높은 부분에서 산줄기를 맺지않는다 .낮으면 도지목성 이라하여 붓을 옆으로 눕혀놓은것에 比喩한다. 左右 또는 조산 요성에서 조응하면 훌륭하다.

오행(五行) :
五氣의 氣運이 움직여 끊임없이 循環하는 自體現狀으로 다섯가지 氣運 (金 ,水, 木, 火, 土)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