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0)

eorks 2020. 1. 28. 04:30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0)
안대(案對) :
무덤의 方向을 잡을 때 案山이나 朝山의 봉우리와 무덤의 向을 一致시키는 坐向法.

안산(案山) :
穴 앞 낮게 엎드린 산으로 主人이 책상에 앉아 시종을 부리는 역할을 하며 눈썹 과 심장 위치에 보여야 좋다.

암장(暗葬) :
몰래 葬事 지내는 것으로 남의 땅이나 남의 묘를 파내고 자기 祖上의 屍身을 묻는 경우.

압혈(壓穴) :
案山 이나 朝山이 穴보다 지나치게 높고 가까이 있으면 穴의 生氣를 눌러 凶하다.

양(養) :
胞胎法 에서 生命을 다 이루어 놓고 出生만 기다리는 상태로 기대에 부풀어 있다.

양균송(楊筠松) :
唐代의 風水家로 號는 救貧이며 靑囊序와 靑囊奧語를 著述하여 理氣論을 完成하였다.

양기(陽基) :
都邑 이나 마을을 이루는 터를 이르는 말

양기(陽氣) :
自然을 변화시키는 主體로 물과 바람 風水에서는 물과 바람을 같은 槪念으로 본다.

양기론(陽基論) :
集團的으로 居住하는 마을이나 都邑地를 정하는 指標로 삼는 風水理論.

양비(兩臂) :
양쪽의 팔뚝에 比喩한 말로 사람이 힘을 쓸려면 양쪽팔뚝이 튼튼해야 되는것처럼 혈장 앞의 朝堂 得水를 勘當하여 쓰려면 主峰 양옆 팔뚝부분이 단단하고 단조롭고 튼튼해야 한다. 그러나 혈장보다 너무 높으면 압혈이 되어 불리하다.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