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인도네시아 /사만 춤(239)

eorks 2020. 1. 29. 00:12

세계무형유산 /인도네시아 /사만 춤
[Saman dance]
요약 : 사만 춤(Saman dance)은 수마트라 아체(Aceh) 주 가요(Gayo) 족의 문화유산이다. 소년들과 청년들은 각자 자연과 고귀한 가치를 상징하는 다채로운 색의 가요 문양이 수놓아진 검은색 의상을 입고 나란히 줄을 지어 발뒤꿈치를 괴어 무릎을 꿇은 채 사만 춤을 춘다. 리더가 줄 중앙에 앉아 가요 족 언어로 된 노래를 시작한다. 이 노래들은 길잡이 성격을 띤 내용이며 종교적이기도 하고 로맨틱하거나 유머러스한 분위기도 띤다. 춤꾼들은 손뼉을 치고, 가슴과 허벅지와 바닥을 소리 나게 두드리기도 하며, 손가락을 부딪쳐 소리를 내고 리듬이 바뀔 때 몸과 머리를 흔들거나 비틀기도 한다. 춤꾼들은 전체가 일치하는 동작을 보이기도 하고 서로 엇갈리는 동작하기도 한다.

이런 동작들은 가요 족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그들의 자연환경을 상징한다. 사만 춤은 국경일과 종교적 경축일을 축하하고, 공연에 초대된 마을 간의 관계를 결속시킨다. 그러나 사만 춤의 공연과 전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사만 춤을 알고 있는 리더들은 연로하고 전수생도 없다. 사만 춤은 오락과 게임의 형태로 비공식 전승되고 있으며 많은 젊은이들이 교육을 받기 위해 마을을 떠나고 있다. 사만 춤의 공연에는 의상비 등의 비용이 상당히 들기 때문에 재정 지원이 부족한 것도 제약이 되고 있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사만 춤

    국가 : 인도네시아(Indonesia)
    등재연도 : 2011년
    지역정보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최북단에 자리 잡은 아체 주의 가요루에스(Gayo Lues) 군, 아체텡가라(Aceh Tenggara)군, 아체타미앙(Aceh Tamiang) 군의 타미앙훌루(Tamiang Hulu), 중부 아체 군의 타켕온(Takengon), 동부 아체 군의 루쿠프세르베자디(Lukup Serbejadi) 등과 그 밖에 가요 족이 사는 여러 주에서 연행된다. 시골에서 결혼식·국경일이나 종교축일, 손님맞이, 다른 촌락의 방문 때 마나(manah, 곡식을 저장하는 헛간), 메르사(mersah, meunasah, 소년과 청년들이 기거하는 전통 기숙사) 아래, 논 가장자리, 물소의 등 위, 강둑 등에서 연행하고 있다.
    본문 :
    사만 춤은 가요루에스와 그 주변지역에서 연행되는 가요 족의 전통 공연예술이다. 연행자들은 홀수로 일렬로 바짝 붙어 앉아 무릎을 꿇고 몸동작과 손동작으로 춤을 춘다. 일렬의 중앙에는 페낭갓(penangkat)이라고 부르는 리더가 앉고 양옆에 펭아프(pengap)·펜예피트(penyepit) 두 연행자가 앉는다. 줄의 맨 끝에 앉아 있는 연행자는 페누팡(penupang)이라고 한다. 페낭갓은 노래로 춤꾼들을 이끄는데 주로 가요어로 되어 있으며 일부는 아랍 어, 아체 어, 인도네시아 어로 되어 있다. 리더를 제외한 연행자들은 리더가 노래 부를 때 돕기도 한다. 모든 연행자들은 페낭갓을 선두로 하여 손뼉을 치고, 가슴과 허벅지와 바닥을 치고, 손가락을 부딪쳐 소리를 내고, 손을 마주잡거나 하는 손동작을 한다.

    주로 복잡하면서도 흥미를 끄는, 때로는 빠르고 기운 넘치는 리듬에 따라 몸과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거나 오른쪽과 왼쪽으로 흔들거나 비틀기도 한다. 홀수 위치에 앉은 사람들의 동작과 짝수 위치에 앉은 사람들의 동작이 대조되게 반대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짝수 위치 연행자들은 손을 합장하고 무릎을 세우면 짝수 위치의 연행자는 합창하고 절을 하는 식이다.

    노래와 동작은 연행이 끝날 때까지 쉼 없이 계속 이어진다. 이 문화유산에 관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8%는 사만 춤의 동작이 환경과 자연, 그리고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물소의 멱 감기, 벼논 파기, 방아 찧기 등의 일상적인 모습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사만 춤 공연은 렝움(Rengum)·살람(Salam)·데링(Dering)·울루니 라구(Uluni Lagu)·라구(Lagu)·아낙 니 라구(Anak ni Lagu)·라구 페누툽(Lagu Penutup, 마무리 노래)의 7부로 구성된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케케타르(Keketar, 도입)·렝움·살람·게라칸 타리(Gerakan Tari)·아낙 니 라구·사우르(Saur)·샤이르(Syair), 군창(Guncang)·페누툽(Penutup)의 9부로 구성되는 것이나 4부로만 구성되는 것도 있다.

    사만 춤은 국경일이나 종교 축일(사만 발르 아삼(Saman Bale Asam))을 축하하거나 손님을 맞이할 때 영접하는 등의 사회적 기능을 하고 있다. 사만은 노래를 통해 종교적 메시지와 개발에 관한 유익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 역할로 이용된다. 사만 춤은 마을 부족 간의 친선을 돕는 수단으로서 마을끼리 서로 사만 춤 공연에 초대한다. 사만은 마을 어린이와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놀이도 된다. 사만 구절들도 많다. 사만 페낭갓 교육자들이 새로운 구절을 계속 창작한다. 붕케스 하브야(Bungkes Habsyah) 박사는 번역본과 함께 99가지의 사만 구절을 수집하였다. 그 시 구절에는 전통과 종교와 발전, 충고, 미묘한 로맨스, 풍자·시·영웅주의·익살·철학·일상생활 등의 내용이 들어 있다.

    사만 연행자들은 상당한 절제력과 체력과 민첩성, 협동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들은 페낭갓이 하는 손·머리·몸동작을 노래 구절과 함께 모두 똑같이 따라해야 한다. 사만 춤을 배우는 사람은 시 구절과 모든 사만 동작을 잘 숙달해야 하기 위해 영리해야 하며, 특히 사만 춤 대회에서는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사만 교육자들이 사회 지도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2009년 문화관광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가요루에스 지역에서 사만 춤을 활발하게 연행하는 사람의 수는 1,461명, 즉 전체 남성 인구 37,005명의 3.95%이다. 이 데이터를 연령별로 세분화하면 0~3세는 0%, 4~5세(유치원생)는 2.93%(77명), 15~17세(고등학생)는 2.31%(53명), 18세 이상은 4.93%(1050명)였다. 학령기의 연행자들은 대부분 학생들이며 18세 이상은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

    응답자의 80%는 남자들이 기거하는 기숙사에서 그들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로부터, 또는 마을 친구들로부터 사만을 비공식적으로 배웠다고 한다. 가요루에스 지역에서 122개의 메르사 기숙사 중에서 사만 연습을 하는 곳이 거의 없다. 2009년에 가요루에스 지역에 등록된 92개의 초등학교와 27개의 중학교, 13개의 고등학교 중에서 일부는 그들의 마을에서 배워 사만 춤을 할 줄 아는 학생들로 구성된 사만 그룹이 있다. 그러나 지금은 사만을 특별교과과정이나 현지 교육에 삽입한 학교는 없고 특별행사를 위해서 가끔 무대공연을 하는 정도이다.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사만 전수활동이 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사만 구절들과 동작들은 자연환경에 영감을 받은 것이다. 사만 전통 의상의 무늬는 꽃, 자연과 정직, 인내·단결·강인함·상부상조, 종교적 생활지도와 전통 가르침, 복종·자기방어·생활개선 등과 같은 고귀한 가치를 상징한다. 사만 연행자들은 ‘불랑 텔렝(Bulang Teleng)’과 ‘불랑 레칼(Bulang Rekal)’이라는 이름의 띠를 머리에 두르며, 자수가 놓인 이 띠에 다산의 상징으로서 향기 나는 판단(pandan) 잎이 달린 잔가지를 꽂는다.

    응답자의 91%는 사만이 가요 족의 역사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13세기에는 폭폭 아느(Pok Pok Ane)라는 이름을 가진 사만이 있었다. 나중에 종교적 가르침의 매개로서 시에 사만(Syeh Saman)에 의해 발전되었다. 응답자의 99%는 사만이 그들에게 문화적 정체성과 조상의 문화유산을 전해 준다고 대답했다.

    사만 문화는 국제적 인권 관련 조문에 위배되지 않는다. 응답자의 100%가 사만을 연행하면 연행자들 사이에 상호존중과 협력정신이 생긴다고 대답했다. 사만은 지속 가능한 발전과 조화를 이룬다. 사만 구절은 항상 환경 보존을 장려하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긴급보호의 필요성 :
    • 존속 가능성 평가
    1972년부터 사만 문화를 관찰해 온 아체 문화 전문가 아슬리 케수마(Asli Kesuma) 씨는 사만 공연 횟수가 2002년부터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사만은 1년에 3번, 즉 인도네시아 독립기념일과 종교 축일―이둘 피트리(Idul Fitri)와 이둘 아드하(Idul Adha)―에 귀빈 영접용으로 연행된다. 사만 대회는 여전히 열리지만, 그 횟수가 줄어 1년에 1~3회 열린다. 어린이들의 게임으로서 하는 비공식적 사만도 줄어들고 있다.

    응답자의 75%가 사만은 마을에서 비공식적으로, 소년들과 청년들이 관습과 전통교육을 받으며 함께 기거하던 메르사에서 젊은 세대들에게 전수되고 있다고 말했다. 소년들은 메르사에서 기거하지 않고 부모와 함께 집에 머무르기 때문에 메르사는 텅 비었거나 다른 용도로 변경되었다. 지역 내 122개 메르사 가운데 사만을 가르치는 곳은 거의 없다. 학령 아동들은 사만이 포함되지 않은 공식교육을 받느라 바쁘고, 종교적 내용을 암송하고 숙제를 하느라 바쁘다. 사만이 지닌 오락 기능은 텔레비전과 비디오가 대신하고 있다. 따라서 사만의 공식적·비공식적 전승활동이 약화되었다.

    응답자의 81%는 소년·청년·성인 남자들이 사만을 연행한다고 했다. 사만은 전통적 관습에 의해서도, 그리고 가슴을 세게 쳐야 하는 신체적 이유로도 소녀들이나 여성들은 하지 않는다. 사만에 해당하는 비네스(Bines)라고 하는 춤은 소녀들이 둥글게 모여 손뼉을 치고 노래를 부르는 것이다. 사만 관람은 사회의 전 계층 사람들이 즐긴다. 관람을 제한하는 규칙은 없으며, 응답자의 95%가 사만에 관해 배우는 데도 제한이 없다고 했다. 젊은 세대들은 교육을 계속하기 위해 도시나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의 문화가 텔레비전과 비디오 동영상을 통해 시골 마을로 파고들고 있다. 가요 족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곳에는 어디서나 사만 단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가요루에스에서는 사만 공연의 횟수가 줄어들고 있다.

    응답자들 중의 96%는 사만 단체를 지원하고, 축제를 열고, 대회 자금을 스스로 조달하고, 우정을 쌓기 위해 사만 마을 대회를 개최하는 등 사만 보존을 위한 지역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응답자의 87%는 사만을 보존하려는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지역정부의 지도하에 사만 단체를 조직하고, 사만 대회와 축제를 개최하고 사만 단체를 지원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런 노력들이 사만 보존에 충분하다고 느낀 응답자는 53%에 그쳤으며 사만을 보존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응답자의 20%만 사만 문화가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47%는 사만이 유지되고 있고, 19%는 쇠퇴하고 있으며, 14%는 현재 소멸될 위기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위협 및 위험 요소 평가
    - 텔레비전 매체
    많은 응답자들은 사만 문화 존속의 위협요소로서 텔레비전을 언급하였다. 가요루에스 지역에서는 도시나 시골이나 집 지붕에 파라볼라 TV 안테나가 설치된 집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런 안테나가 있으면 국내와 해외의 많은 방송들을 수신할 수 있다. VCD와 DVD도 어디에서나 판매된다. 그 결과 텔레비전 시청이 모든 연령층의 오락이 되고 있어 전통예술 사만을 대신하고 있다. 이 현상은 사만의 미래와 젊은 세대에게로의 전승에 명백히 위협이 되고 있다. 사만 교육자들과 연행자들은 사만을 연행하거나 연습하는 대신 집에 앉아서 텔레비전을 보거나 비디오를 보는 것을 더 좋아한다. 블랑커제른(Blangkejeren)에는 지역 TV 방송국이 있지만 사만은 거의 방송하지 않는다.

    - 세계화와 현대화
    가요루에스와 루쿠프세르베자디는 수백 년 동안 외딴 곳이었기 때문에 별로 변화를 겪지 않았다. 행정구역의 여러 군이 재조정되고 개발이 가속화되기 전에는 가요루에스의 주민은 대부분이 토박이였다. 그 후, 특히 2002년에 가요루에스가 군으로 승격된 후 지역개발이 가속화되고 다른 군이나 외부 세계와의 상호교류가 더 활발해졌다. 그에 따라서 주민, 특히 젊은이의 이동이 시작되었고, 이전에 비해 사만 문화가 쇠퇴하기 시작했다.

    - 자금 부족
    많은 응답자들이 자금부족이 사만문화를 보호하기 어렵게 하는 원인이라고 답했다. 사만 의상은 값이 비싸다. 모자, 목을 두르는 2개의 천, 셔츠, 전통 사롱(sarong), 바지, 손목 천 등, 손으로 수놓은 사만 의상을 만드는 데 약 2개월이 걸린다. 마찬가지로 사만 공연, 특히 큰 규모나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해야 하는 공연에는 자금이 많이 필요하다. 이틀에 걸쳐 열리는 사만 대회에서는 손님을 초대하는 측이든 초대받는 측이든 상당한 비용이 든다.

    - 사만에 대한 지식의 감소
    대부분은 사만을 연행할 수 있다고 했지만 79명의 응답자 중에서 불과 5%만 9개 부분으로 구성된 사만 춤의 내용을 알고 있었고, 5%는 7~9개 부분, 27%는 4~6개 부분, 32%는 전혀 알지 못했다. 이것은 사만에 대해 아는 사람들이 줄고 있고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사만 공연의 상업화
    응답자들의 60%가 사만 공연이 상업화되었다고 응답했다. 이 공연들은 전통을 이어가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사만 문화 보존에 오히려 위협이 될 수 있는 변질의 가능성이 있어서, 상업적 공연과 더불어 사만의 문화가치를 전승하려는 노력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 전수를 담당할 예능보유자의 노령화
    오늘날 사만 공연을 전승해줄 사람들은 대부분 연로하다. 사만 예능보유자 중에서 사만을 진정으로 알고 있지만 그 지식을 전수해 줄 후계자가 없는 사람들이 많다고 답하였다. 그러므로 사만의 목록을 만들고 교수자료를 준비하는 일 또한 시급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만 춤 [Saman dance]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