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약초의 효용
1, 무릇 **혈액순환,관절염
2, 쑥 **위장을 다스림
3, 가막살이 **해독,기관지,폐를 다스림
4, 곰보배추 **기침,감기, 기관지를 다스림
5, 곰취 **기혈을 돕고 기침과 통증을, 담과관절통을 다스린다
6, 참취 **기혈을 돕고 통증을 다스리며 향취가 뛰어나다
7, 개미취 **가래삭임, 기침멈춤 작용,항암성
8, 고들빼기 **건위소화, 약한 설사, 열내림,종기를 다스림
9, 수영 **관절염과 위장병 다스림
10, 느릅순 ** 피부미용,방광염,종기,종창, 위궤양·십이지장궤양·소장궤양·대장궤양, 부종,수종,수면
제,비염,축농증
11, 냉이 **눈을 밝게하고 간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
12, 참당귀순 **팔다리와 허리의 냉증, 생리통, 히스테리, 갱년기 장애, 두통, 빈혈,고혈압, 근육 관절
통 및 신경통
13, 더덕 ** 강장강정,폐열,진해거담,만성기관지염, 폐결핵,기침가래, 뛰어난 향미
14, 두룹 **건위,이뇨,진통,수렴,거풍,강정,위궤양,위경련,신장염,각기,수종,당뇨병,신경쇠약,발기력
부전,관절염
15, 둥굴래순 **허약체질을 강하게 하는 강장, 강정 효과
16, 땅두룹 ** 해열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소염작용, 혈액응고촉진작용, 강심작용, 강압작용
17, 도라지 **가래, 기침, 기관지염을 다스리는 산도라지
18, 다래순 **위암 식도암 유방암 간염 관절염에 효험
19, 달맞이꽃순 **해열, 소염작용, 당뇨병, 고지혈증 에 효험
20, 돌나물 **淸熱(청열),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 咽喉腫痛(인후종통), 간염을 다스림
21, 달래 ** 장염, 위암, 불면증과 빈혈을 다스림
22, 만삼 **빈혈, 성기능 쇠약, 허약 체질, 신경 쇠약을 다스림
23, 민들래 **위염, 위궤양, 만성간염, 지방간,변비, 만성장염,천식, 기침, 신경통을 다스림
24, 돌미나리 **양신.익정.주독.장염.황달.해열.대하증.식욕촉진.수종.정혈.신경통에 효능
25, 밀나물 **노화를 방지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이뇨와 강장의 효과도 있다
26, 머위 **해독. 편도선염, 옹종정독, 止痛(지통), 해독하고 타박상에 작용한다
27, 미역취 **疏風(소풍), 淸熱(청열), 消腫(소종), 해독. 감기두통, 인후종통, 황달, 百日咳, 소아의
경련, 타박상
28, 산뽕순 **신경통, 고혈압,부종, 기관지염,보혈, 강장의 불로장수약
29, 비듬나물 **뿌리는해열·해땀ㅓ聆?ㅌ怒씩?작용하며 씨는 눈에 작용한다
30, 뻐꾹채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유즙을 분비하고 항노화에 신효
31, 싸리순 **두통과 피부병에 잘 듣는 싸리나무
32, 씀바귀 **항암, 항스트레스, 항알레르기, 노화방지에 신효
33, 산마늘 **강장.이뇨. 구충. 최유.해독.소화.건위.풍습 이 효능
34, 참마(산약) **滋養(자양), 强壯(강장), 强精(강정)의 상약의 대표
35, 쇠무룹 **각기. 정혈. 보익. 관절염. 통풍. 이뇨. 신경통. 통경. 담혈.강정. 두통 에 효능
36, 선밀나물 **活血활혈, 經絡流通경락유통, 止痛지통의 효능
37, 산삼 **원기회복, 補裨益肺, 生津止渴, 安神增智. 氣虛欲脫, 권태감, 무력감, 식욕부진의 명약
38, 엉겅퀴 **어혈을 풀어주고 정력을 보강하는 엉겅퀴
39, 삼백초 **변비, 당뇨병, 간장병, 암, 고혈압, 심장병, 부인병, 신장병
40, 우산나물 **祛風(거풍), 除濕(제습), 해독, 活血(활혈), 消腫(소종), 止痛(지통), 관절통에 효능이
있다
41, 엄나무순 **관절염·종기·암·피부병 등 염증질환,신경통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42, 참나물 **고혈압, 중풍을 예방하고 신경통, 대하증, 지혈, 해열제
43, 오이풀 **凉血, 止血, 淸熱, 해독의 효능. 吐血, 습진, 金瘡, 화상을 치료
44, 원추리 **자양강장 피로회복 주독을 푸는데는 특효
45, 잔대 **補陰, 淸肺, 祛痰, 止咳. 肺熱燥咳, 虛 久咳, 陰傷咽乾喉痛. 혈압.백 가지 독을 푸는 해독의
명약
46, 질경이 **천식·각기·관절통·눈충혈·위장병·부인병·산후복통·심장병·신경쇠약·두통·뇌질환·축농증,
변비·천식·백일해,기침·안질·임질·심장병·태독·난산·출혈·요혈·금창(金滄)·종독(腫毒) 만
병통치
47, 칡순 **당뇨병, 부종, 설사, 황달, 술독, 고혈압, 두통, 협심증
48, 삽주싹 **무병장수의 선약. 불로장생.특히 위장계통에 작용.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좋은 최고의 상
약
49, 청미래덩쿨순 **腫毒, 염창, 화상을 치료,관절의 疼痛, 筋肉痲痺, 설사, 이질에 효능
50, 차즈기 **胃나 腸의 疼痛, 胎氣不和를 치료,변비.현기증, 통증, 코막힘, 콧물,流·早産을 치료
51, 감잎 **기침, 천식, 토혈, 진액 생성, 폐기종, 각종 내출혈을 다스림
52, 두충잎 **혈압강하작용, 특히 수피는 보간신(補肝腎), 강근골, 안태작용(安胎作用), 신허요통, 임
신누출, 근골무력, 익정기, 강지, 허리 무릅통증, 유산방지, 강장약, 요통, 관절통, 관절
염, 건근골, 하지위약, 진정, 진통, 소변불리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53, 오가피 **해독, 콜레스테롤, 혈당, 신경장애, 지구력,집중력, 뇌의 피로, 눈과 귀를 밝게, 성기능
을 높이며, 모든 신체의 기능에 활력을 주고 온갖 질병을 예방하는 나무 산삼
54, 노루발풀**補虛(보허),益腎(익신),祛風(거풍),除濕(제습),調經(조경)의 효능.虛弱咳嗽(허약해수),
관절통,
55, 달개비 **봄나물, 당뇨병에 탁월한 효능
56, 등나무순 **어린순을 나물로 꽃으로 약술, 변비 근육통 관절염 모든 부인병에 신효
57, 마가목순 **뛰어나 향미로 약술,중풍, 고혈압, 위장병, 기침, 신경통, 류마티스관절염
58, 맥문동 ** 기미가 좋아 복방에 첨가.이뇨. 심장염. 해열. 감기. 진정.강장. 소염. 진해. 거담. 강심
59, 명아주 **충독. 개선. 백전풍. 건위. 강장 의 효능
60, 삼지구엽초 **補腎(보신), 强陽(강양),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 불임, 음위, 발기불능, 倦
怠無力(권태무력), 小便淋瀝(소변임력), 筋骨攣急(근골련급), 반신불수, 腰膝無力
(요슬무력),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와 통증에 효능
61, 뱀딸기 **淸熱(청열), 凉血(양혈), 消腫(소종), 해독. 熱病(열병), 이질, 蛇,蟲咬傷(사,충교상), 화
상
62, 박주가리 **精氣(정기)를 補益(보익)해독. 폐결핵, 양위, 帶下(대하), 乳汁不通(유즙불통)의 효능
63, 봉황삼 **알레르기성 비염, 기침, 천식, 간염 등에 탁월한 효력
64, 보리수잎 **천식, 기침, 가래의 최고의 명약
65, 복분자 **신장과 간장을 튼튼하게 하는 覆盆(오강을 뒤엎는다?)
66, 벌나무 **간과 콩팥 질환의 선약
67, 소나무 새순 **불로장생약의 첫째로 손꼽히는 솔
68, 산사나무 순 **차로 하여 복용하면 고혈압을 치료
69, 쇠비름 ** 저혈압·대장염·관절염·변비·여성의 적·백대하·임질·설사 등에 효과
70, 생강나무잎 **산후풍의 특효약, 타박상이나 어혈, 멍들고 삔 데 등에 신통한 효력
71, 인동초 **대장염·위궤양·방광염·인두염·편도선염·결막염 등 여러 가지 염증질병에도 효과
72, 익모초 **혈액순환, 어혈, 자궁의 수축력과 긴장성을 높여,월경불순, 월경통, 대하증, 불임증을 비
롯한 각종 부인병과 질환에 큰 효과가 있다
73, 야관문 ** 肝(간), 腎(신)을 補(보) 補益(보익)하며 散瘀(산어), 消腫(. 遺精(유정), 遺尿(유뇨)
74, 산죽 **위염, 기침, 당뇨병, 면역강화, 부종 무좀, 피부병, 위암, 갖가지 암, 열이 날 때, 간염, 황
달, 위궤양, 고혈압, 스트레스, 화병(火病)
75, 천마 **중풍, 고혈압, 두통, 스트레스
76, 헛개나무 순 **술중독, 지방간, 간염, 온갖 간질환에는 신효한 약효
77, 하수오 **백발을 검어지게 하는 자양강장제, 신장, 간장, 심장을 튼튼하게 한다
78, 화살나무 **암, 당뇨 고치고 가위눌리는 것 낫게하는 화살나무
79, 환삼덩쿨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혈압낮추고 폐를 튼튼하게
80, 컴프리 **보익. 고혈압. 진정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
위의 80가지 산야초외에 독성이 없는 약재 추가
81, 소루쟁이<효소님이 즐겨쓰는 산야초효소재료> **어린순은 나물로먹으며 피부질환의 선약이다.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
82, 돼지감자(뚱딴지)<머피님,불조님이 추천> **골절 타박상 해열 지혈 비만증 변비 다이어트 당뇨병
에 효험
83, 찔래순<잠잠님의 추천)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작용이 뛰어나다
84, 모시대<잠잠님과 능소화님 추천> **경기. 한열. 익담. 해독. 거담등에 효능
85, 얼레지<잠잠님의 추천> **위장염, 구토, 下痢, 화상을 치료
86, 방가지똥 **淸熱(청열), 凉血(양혈), 해독의 효능
87, 바디나물 **감기. 정혈. 진통. 진정. 진해. 빈혈. 부인병. 두통. 이뇨. 간질. 건위. 사기. 익기. 치통
에 효능
88, 방아풀 <延命草> ** 健胃, 止痛, 凉血, 해독, 消腫의 효능. 소화불량, 식욕부진, 腹痛에 효과
89, 쇠뜨기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피로회복, 강장강정, 기력증진 등에 좋다
90, 시호 **해열, 진통, 소염, 항병원 등의 작용을 하며 간을 맑게 하고 양기를 돋우어주는 효능
91, 쑥부쟁이 **해독, 感氣, 편도선염, 기관지염에 효능이 있으며 뿌리채 취하는 향기롭고 맛있는 봄
나물이다
92, 쥐손이풀 **류머티즘에 의한 경련과 마비,화농성종양, 타박상, 장염, 이질을 치료.
93, 장구채(女婁菜)- 血活(혈활), 調經(조경), 利水(이수), 通乳(통유), 월경불순,쇠약, 인후종통,중이
염에 작용
94, 짚신나물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지혈. 하리.대하.자궁출혈.구충.고혈압. 해
수.장출혈.안질.거풍.강장.강심등에작용
95, 호장근 **이뇨, 通經. 류마티즘, 월경폐지, 타박상, 화상등에 효과
96, 조뱅이 **대하증. 감기. 지혈. 토혈. 강장. 이뇨등의 약으로 쓴다. 지혈. 항균. 혈압강하작용
97, 각시둘굴래 **혈압강하, 강심, 혈당저하 작용
98, 고추나무순(푸른하늘님 추천> **마른기침과 산후조리에 효능
99, 지칭개 **淸熱, 해독, 外傷出血, 骨節을 치료, 나물또는 된장국에 넣어먹을수 있다
100, 진득찰 **중풍, 종양, 사지마비, 골통(骨痛), 슬약(膝藥), 풍습신통(風濕身痛), 반신불수, 구안와
사에 쓰이고, 생엽은 뱀이나 벌에 의한 교상(咬傷)에 외용한다
101, 담쟁이넝쿨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당뇨, 어혈, 근육통 다스리는 담쟁이덩굴
102, 꼭두서니 **독성의 우려가 있어 목록에서 제외합니다근경-行血(행혈), 止血(지혈), 通經活絡(통
경활락), 止咳(지해), 祛痰(거담)의 효능. 吐血(토혈), 鼻出血(비출혈), 尿血(요혈),
便血(변혈), 血崩(혈붕), 월경폐지, 風濕痺痛(풍습비통), 타박상, 瘀滯腫痛(어체종
통), 황달, 만성기관지염을 치료. 경엽- 止血(지혈), 祛瘀(거어)의 효능. 吐血(토혈),
子宮出血(자궁출혈), 타박상, 風痺(풍비), 腰痛(요통), 癰毒(옹독), (정종)을 치료
103, 황기 **뿌리를 늑막염. 적리. 폐병. 나병. 보익. 강장. 종창. 해열. 치질. 완화. 지한등의 약으로
쓴다. 강장. 이뇨. 항신염. 혈압강하. 항균. 간장보호작용
104, 해국 **어린 잎은 식용하며, 민간에서는 전초를 이뇨제, 보익제,해소.보익.방광염등의 약으로 쓴
다.
105, 꾸지뽕 **여성들의 여러 가지 질병에 좋은 약이다. 부인의 붕중혈결(崩中血結)을 다스리고 월경
을 통하게 하며 어혈을 풀고 신장의 결석을 없앤다. 또한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맑게 하는 작용이 있다.
그밖의 약재의 효능
죽절인삼(竹節人蔘)-거담,해열,건위제로서 윗부분에 열이 있거나 더북룩한 느낌,심하부가 결릴때
왕불류행(王不留行)-최유,통경,지혈,진통제로서 부인의 난산및 부인병
동충하초(冬蟲夏草)-강장,진정,진해제로서 병후의 허약증,발기부전,폐결핵의 토혈,노인성만성해소,
식은땀,자한,빈혈증
위령선(威靈仙)-진통제로서 신경통,류머티즘,통풍,근육통, 요통
연호색(延胡索)-진통,통경 작용이 있고 두통,가슴앓이,위통,복통,월경통,특히 월경불순으로 복통
하수오(何首烏)-강장제로서 약주,허리와 무릎의 동통,유정,대하,새치머리
향부자(香附子)-통경,진통,구어혈제로서 월경불순과 같은 월경통,부인병,신경증,위,복통
삼칠근(三七根)-지혈,소종,진통,소염제로 타박상,염좌,종통 출혈,토혈,코피,요실금,산후 훗배앓이
천문동(天門冬)-진해,이뇨,자양,강장제로서 해혈,헛기침,폐렴,기관지염,신우신염
토복령(土茯笭)-구매,해독,이뇨제,만성피부질환,매독,임질,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
맥문동(麥門冬)-점활성 소염,자양,강장,해열,진해,거담제로서 인후 종통
빈방풍(濱防風)-발한,해열,진통제로서 감기
구기자(拘杞子)-강장제,간,신장,만성피로,허리 무릎통증,무력감,어지러움,두통
결명자(決明子)-완화,강장,이뇨,변비,혈압강하,눈을 맑게함
견우자(牽牛子)-이뇨,수종,구충제
오수유(吳茱萸)-온성의 건위,이뇨,진통제,냉증,구토,통증,살충제,입욕료
호채자(胡菜子)-건위,소화불량,홍역
호마자(胡麻子)-자양강장,점활,해독제,병후변비,염증,부스럼
오미자(五味子)-진해,지사,자양강장,기관지염,천식,설사
산사자(山査子)-소화불량,만성설사,훗배앓이
산치자(山梔子)-소염,지혈,이담,해열제로서 황달,출혈,염증,타박상
산수유(山茱萸)-자양강장제로서 식은땀,빈요,발기부전
산조인(山棗仁)-신경강장,진정,최면제,노이로??,불면증,다한증
사군자(使君子)-구충,소화,소화불량,설사
자소자(紫蘇子)-발한,해열,진해,진통제로서 기관지염,위장염,해독제
사상자(蛇床子)-수렴성 소염재,음부가려움증,발기부전,음낭가려움
차전자(車前子)-소염,이뇨,배탈설사,눈병,신염,방광염,요됴염,진해제
소회향(小茴香)-방향성 건위,구풍,거담제,위질환,복통,산통
소두구(小豆寇)-방향성 건위,향미료
적소두(赤小豆)-해독,이뇨,각기,설사,종기
창이자(蒼耳子)-해열,발한,풍한두통,비염,축농증,류머티즘,기름으로 짠 것은 피부가려움
대회향(大茴香)-건위,흥분제로서 헛배부름,구토,각기
토사자(토絲子)-강정,강장제로서 발기부전,유정,요통
남천실(南天實)-천식이나 백일해
육두구(肉豆寇)-구풍,흥분제,향신료
피미자(피麻子)-사하제
백두구(白豆寇)-방향성 건위,구풍제로서 위통,헛배부름,소화불량,구토
빈랑자(檳廊子)-건위,소화,구충제,복통,변비,소화불량
복분자(覆盆子)-강장,강장제로서 유정,유뇨,발기부전,소변잦음
마자인(麻子仁)-허약체질,진해제,큰 병을 앓고 난 후의 변비
목천료(木天蓼)-신경통,근육통 외용,건위제,발모제
의이인(薏苡仁)-배농,이뇨,소염,진통제.소름끼침,사마귀,동통,류머티즘
음양곽(淫羊藿)-강정 강장제로서 발기부전,허리와 무릎 약함,류머티즘
제절초(弟切草)-베인상처,타박상,근육통
이질풀(痢疾草)-건위,정장,소염,살균,대하,건위,설사,종기,피부병
차전초(車前草)-이뇨,진해,지혈,위병,고혈압
선학초(仙鶴草)-지혈,지사,소염,강장제,출혈
담죽엽(淡竹葉)-해열,지갈,이뇨,폐렴,기관지염,당뇨병,목마름
육종용(肉慫蓉)-강장,강정,발기부전,허리 무릎 냉통,유뇨,불임증,대하,변비,방광출혈,신장출혈
비파엽(枇把葉)-진해,거담,이뇨,건위,기침,더위먹은데,건위제로서피부염이나 땀띠,입요제
포공영(浦公英)-해열,소염,건위,이뇨,피부궤양,최유제,눈병,인후염,임질
익모초(益母草)-이뇨제로서 산후의 지혈,월경불순,현기증,복통
연전초(連錢草)-허약아의 체질개선,당뇨병,신장염,설사
하고초(夏枯草)-소염,이뇨제,종기,부종
관동화(款冬花)-진해,거담제로서 해소,후비,토혈
금은화(金銀花)-이뇨,해열,해독,살균제,화농성 질환의 발열,감기초기,창독,매독,장염,관절염
선복화(旋覆花)-건위,거담,진해,이뇨제로서 트림을 동반하는 위 확장,위암,기침
오가피(五加皮)-강장,이수,진통제로서 류마티즘,신경통,피부풍습,발기부전,강장제로서 약주재료
지골피(地骨皮)-해열,강장제로서 폐결핵,기침,토혈,다한
상백피(桑白皮)-소염성 이뇨,해열,진해제로서 기관지염,천식
목단피(木丹皮)-소염,진통,통경제로서 하복부의 혈액 순환장애.두통,부인병
상기생(桑寄生)-진통,강장제로서 류마티즘,신경통(관절부분의 통증에 따르는 질환)
조구등(釣鉤藤)-진정,진통제로서 류마티즘,정신불안,경련,소아의 경기,고혈압 환자의 두통,형기증
안식향(安息香)-가담제로 사용을 했지만 지금은 향료
오배자(五培子)-수렴,지혈제로서 설사,오래된 기침,당뇨,하혈,혈변,다한
백강잠(白강蠶)-진통제로서 소아의 경기,중풍으로 인한 언어 장애,반신불수,외용으로습진,피부병
영양각(羚羊角)-해열,진경,신경통,히스테리,혈압강하,고혈압,뇌일혈
적석지(赤石脂)-수렴,지혈,설사,하혈,황달
대자석(大자石)-지혈,보혈,진정,구토,트림,토혈,코피,혈변,월경이 그치지 않을 때
울금(鬱金)-방향성,건위,이뇨제로서 담석증,황달 등에 사용합니다.
황기(黃기)-강장효과가 있으며,최근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황금(黃芩)-소염,해열제,충혈성 질환,설사
황정(黃精)-자양강장,병후허약자,폐결핵 환자의 해소,당뇨병의 목마름,혈당과다
황련(黃連)-소염,살균작용,정신불안,염증,출혈
석고(石膏)-해열,진정,목마름,천식,위통,당뇨병
원지(遠志)-거담제로 기관지염에 사용,빈혈증,불면,병후의 회복
아출(莪朮)-방향성 건위,흥분,구풍,진통,소화불량,산통
갈근(葛根)-발한,해열,진통,어깨결림,목결림
감초(甘草)-근육의 통증,진해,거담과 위경련,위통,위궤양,해독
길경(桔梗)-거담,기관지염,배농,편도선염,인후통
옥죽(玉竹)-소염성자양,강장제,허약체질 회복,다한,다뇨
우슬(牛膝)-월경불순,어혈,각기,관잘염,중풍,이뇨작용
시호(柴胡)-해열,해독,진통,소염제,말라리아,황탈,간염
산약(山藥)-자양강장,식욕부진,피로,위장허약,당뇨병
지황(地黃)-보혈,강장,해열제,빈혈,허약증
자근(紫根)-해열,해독,항염제,홍역예방,궤양,종양,화상,습진,수포
작약(芍藥)-진통,복통,헛배부름,손발의 동통,이뇨,산혈,부인질환
사삼(沙蔘)-진해,거담,강장제,기침
생강(生薑)-방향성 건위,식욕증진,혈액순환,헛배부름,두통 건강은 배의 냉통,복통,사하
승마(升麻)-해열,해독,항염제,감기,홍역,치질
천궁(川弓)-보혈,강장,진통제,빈혈증,냉증,월경불순,월경통
전호(前胡)-해열,거담,기침,가래,구토
백출(白朮)-건위,정장,이뇨제,신장기능이상으로 배뇨이상,부종,위장염
대황(大黃)-만성변비,황달,소변이상,흉복통
택사(澤寫)-이뇨,네프로제,방광염
단삼(丹蔘)-월경불순,류머티즘
천마(天麻)-진정,두통,현기증,히스테리,발신불수,류머티즘의 동통
당삼(黨蔘)-깅장제로서 비위허약,식욕부진,설사,사지무력,정신불안,피로,번갈
독활(獨活)-발한,구풍,진통,감기,부종,관절통
인삼(人蔘)-허약자의 위부정체감,소화불량,구토,흉터,이완성설사,식욕부진,자양강장
패모(貝母)-진해,거담,배농,목의 통증,기침,목마름,어지러움
반하(半夏)-임신악조,인후종통,위내정수,해소,구토
백합(百合)-소염,진해,이뇨,진정제,기침,목마름,허약증
백지(白芷)-감기,두통,치통,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부인병,신경통
부자(附子)-신장기능 회복,관절마비,동통,복통,설사-강장체질자는 복용을 금함
방기(防己)-이뇨,신경통,류머티즘,관절염
모근(茅根)-이뇨,해열,지혈제,황달
방풍(防風)-발한,해열,감기,두통,관절,피부염
목향(木香)-방향성 건위,설사,복통,소화불량
용담(龍膽)-고미건위,소염제,소화기의 충혈,염증,요도염,류머티즘
노근(蘆根)-이뇨제,당뇨병,구역잘,딸꾹질,변비,식중독,소염,배농
낭탕(낭宕)-위산과다,위경련,십이장궤양,변비
오매(烏梅)-해열,진해,거담,진구,회충구제
영실(營實)-변비,부스럼
개자(芥子)-신경통,폐렴
가자(訶子)-만성후염,후두결핵,장출혈,대하,자궁염
행인(杏仁)-호흡곤란,천식,피부미용
검실(검實)-자양강장,허리와 무릎의 통증,실금,설사,대하
호초(胡椒)-발하,구풍,건위,소화불량,설사,복통
산초(山椒)-건위,소염,이뇨,구충제,건위,위하수,위장의 냉통,회충
두시(豆시)-건위,소화,해열,한열두통
대추(大추)-감기,피로회복,혈액순환,피부미용
진피(陳皮)-식욕부진,구토
도인(挑仁)-월경불순,아랫배가 꽉 찬 것처럼 아플때,위내정수
맥아(麥芽)-소화,소화불량,식욕감퇴,흉복팽만
반초(潘椒)-진통제,강장제,신경통,요통
모과(모瓜)-이뇨,진해,곽란,관절통,류머티즘,기침
연교(蓮翹)-소염,이뇨,배농,해독제,종양의 염증,피부병
애엽(艾葉)-지혈,진통제,대하,복통
곽향(藿香)-해열,식욕부진,소화불량,두통,구토,설사
형개(荊芥)-발한,해열,징경,감기로 인한 발열,두통,목의 통증,종기,토혈,코피,혈변
세신(細辛)-진해,진통,거담,위내정수,강정
십약(十藥)-해열,해독,변비,임질,축농증,화농증
석곡(石斛)-해열,건위,강장제,식욕부진,위장장애,발기부전
당약(當藥)-소화불량,식욕부진,결막염,발모제
박하(薄荷)-발한,해열,구풍제,소화불량,두통,현기증
마황(麻黃)-발한,진해,호흡곤란,천식,오한,신체동통
국화(菊花)-해열,해독,진통,소염제로서 감기,발열,두통,어지러움,귀울림,눈병,종양의 통증
홍화(紅花)-통경,부인병,냉증,갱년기 장애,혈액순환
신이(辛夷)-진정,두통,두중,비염,축농증
정향(丁香)-방향성 건위제,소화기능 촉진,정장
앵피(櫻皮)-해독,진해제,천식,기침,피부병,홍역
계피(桂皮)-건위,구풍,발한,해열,혈액순환,강장,감기,두통,발열,신체동통
후박(厚朴)-건위,정장,진정,복통,신경통
두충(杜沖)-강장,진통제,발기부전,무릎관절통,고혈압
침향(沈香)-진정제로서 히스테리,간질병,각기
목통(木通)-소염성이뇨,진통제,신경통,관절 류머티즘
저령(猪笭)-해열,지갈,목마름,신장질환
복령(茯笭)-진정,위내정수,근육경련,소변분리,목마름,어지러움,새치머리
영지(靈芝)-강장,신경쇄약증,불면증,소화불량,노인성 기관지염,항암
신곡(神곡)-자양,소화,식욕부진
해마(海馬)-강장,최유제로서 난산,발기부전,복통,남성호르몬
우황(牛黃)-강심,진정,해열,해독제,심장병,빈혈,심장 신경증,열병,숙취
합개(蛤개)-보혈,
사향(麝香)-진정,진경,강심작용,강장,폐결핵,심장천식,만상기침,약주재료 사용경련,실신,복통,신경통
진주(珍珠)-해열,진정제로서 불면,유정,목이 아플때,자양,강장,거담,진해작용,폐결핵
섬수(蟾수)-강심,진통,소아의 경기,심장질환,치아의 출혈,악성종양
반비(反鼻)-강장,흥분제,냉증,화농성종양
별갑(鼈甲)-해열,강장제,폐경시 복통,요통,체력증진
모려(?잇?)-진정,이뇨,유정,불면,정신불안,식은땀,위산과다
웅담(熊膽)-진경,강심,해독,건위,담즙분비 촉진,경기,열통,뇌막염,간
녹용(鹿茸)-피로회복,강정,위장기능촉진,두통,귀울림,발기부전,허리와 무릎의 하약,원기회복
용골(龍骨)-진정,불면증,정신불안
피해야 하는 산야초
(굶주림이 심하던 시절 어쩔수 없이 먹었던 산야초중에서 먹을수록 몸에해로운산야초)
1,고사리 **오랫동안 먹으면 복부腹部에 혹이 생기고, 각력(脚力)을 약화(弱化)시켜 보행(步行)곤란(困難)을 초 래하고, 남자의 성기능를 감퇴시키며 음경을 축소. 많이 먹으면 머리카락이 빠지고 코가 막히거나 시 력저하를 초래한다. 냉기로 기울어진 사람이 먹으면 복부가 창만(脹滿)해지는 경우가 많다
2,고비 ** 隨意筋(수의근)(心筋 포함)을 마비시키고 위장을 자극하며 심한 경우에는 구토, 설사, 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고, 결국 실명에 이른다. 중독시에는 中樞神經(중추신경)의 장애, 떨림, 痙攣(경련), 또한 延髓痲痺(연수마비)를 일으킨다.
3,꽁애장군 **촌장의 젊은시절 봄나물중 단나물에 섞여들어온 묵나물중 딸려들어와 같이 나물로 먹은 내자가 기 절하는 경험을 가진넘이다, 이후 묵나물(독성때문에 바로먹을수 없어서 1.삶아서 2.흐르는 찬물에 담근후 3.?볕에 말린후 4.먹기전에 다시 찬물로 불린후..비로서 먹을수 있는나물)의 채취는 피하고 있다.
4,피마주잎 ** 중독 증상으로 구토, 복통, 설사, 의식마비, 수족냉증, 동공산대를 일으키는데, 병원에서 응급 처치를 해야 한다.
5,관중(간혹 고사리나 고비로 착각하여 취하는 경우가 있다) **구충, 지혈, 촌충구제약, 목에 가시가 걸렸을 때 사용 하던 관중 뿌리도 유독하므로 그다지 사용 되지 않게 되었다. 隨意筋(수의근)(心筋(심근) 포함)을 마비시키고 위장을 자극하며 심한 경우 에는 구토, 설사, 시력장애 등을 일으키고, 결국 실명에 이른다. 중독시에는 中樞神經(중추신경) 의 장애, 떨림, 痙攣(경련), 또한 延髓痲痺(연수 마비)를 일으킨다. 姙婦(임부), 허약환자, 소아, 實質器官(실질기관)의 질병환자, 소화기관 潰瘍 患者(궤양환자)는 모두 사용을 금한다.
6, 삿갓나물 **어릴때는 우산나물과 유사하여 착각하기 쉬운독초이며 산행시 자주 보이는 야초이다, 해독 나력 경기 뱀독 등에 약제로 쓰이지만 나물로 먹을수 없다.
7, 은방울꽃순 ** 습지에 작은 군락을 이루는 은방울꽃 어린순은 산마늘순과 혼동하기쉽다. 보기에 탐스러운 어 린순을 모든 산야초는 어릴때는 먹을수 있다는 속설을믿고 잘못취했다간 죽음에 이를수도 있다. 철저히 아는 산야초만을 취해야 할것이다.
8, 참죽나무<眞僧木 > **연한 순을 따서 날로 생무침도 하고 고추장에 무쳐 튀김도 만들어 먹는다. 한나무에서 많은양을 取할수 있고 약성이 있다 알려져있어서 지방에 따라서는 上品의 나물로 치기 도 한다. 하지만 多食(다식)하면 의식불명이 되거나 血氣(혈기)가 적어진다. 만성병자 는 금한다. 消炎, 해독, 살충의 효능. 腸炎, 이질등에 치료약제로 쓰이지만 이는 中藥에 해당하므로 처방없이 쓰일수 없다.
9, 애기똥풀 **鎭痛, 止咳, 利尿, 해독의 효능. 위장의 疼痛, 황달, 水腫, 疥癬瘡腫, 蛇,蟲咬傷 등의 치료약제로 쓰이며 민간에서는 옻독을 풀며 기침 기관지염 황달 위암 피부암에쓰이지만 애기똥풀을 너무 많 이 쓰면 부작용으로 경련, 점막의 염증, 요혈, 변혈, 눈동자의 수축, 마비, 혼수 상태, 호흡마비가 올 수 있다. 이때에는 위를 씻어내고 설사약을 먹어서 빨리 독성분이 몸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야 한다
......^^백두대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