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풀 (천명정)의 효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2AB355D8D72D304)
담배풀 학술적 내용
생육상 : 두해살이풀
학명 : Carpesium abrotanoides
키 : 50cm~100cm
열매를 맺는 시기 : 11월
약으로 사용되는 부위 : 씨, 풀의 전체
가파초(蚵蚾草)
[약재]
주요내용
학명 : Carpesium abrotanoides L.라틴명Carpesii Herba
일반명담배풀과명국화과(菊花科 : Asteraceae/Com posita
e)약용부위전체이미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995454335D8D86221D)
효능
이소변(利小便) :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치료방법임.
살소충(殺小蟲) :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산어(散瘀) :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생기(生肌) :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축수(逐水) : 몸속의 수기를 빼내는 효능임.
파숙생신(破宿生新) : 오래도록 정체되어 있는 것을 깨뜨려 제거하고 새
로운 기운이 생겨나게 하는 효능임.
토담(吐痰) : 담(痰)을 토하는 증상임.
파혈(破血) :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639405D8D7EF914)
주치병증
경풍(痙風) : 경증(痙證)이 발작할 때 몸이 뻣뻣하고 오랫동안 정신이 혼미해 있는
것.
히스테리성 경련성 발작이 이에 포함된다.
나력(瘰癧) : 서루(鼠瘻), 역자경(癧子頸), 경력(頸癧), 노서창(老鼠瘡) 작은 것이
나(瘰), 큰 것이 역(癧)임.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
근심과 분노로 간화(肝火)가 막혀 담(痰)이 되어 경락에 머물렀다가
근육을 수축해 멍울이 됨.
목(頸項)과 귀 뒤, 자개미에 한두 개의 멍울이 생겨 구슬을 꿴 것처럼
이어지고, 처음에는 콩알만 하다...
담학(痰瘧) : 학질(虐疾)의 하나. [증치회보(證治滙補)] <학질(瘧疾)>에서 "담학
(痰虐)은 여름에 과일이나 기름진 밀가루 음식 등을 많이 먹어 맺혀서
담이 되었기 때문으로, 열이 많이 나고 오한이 적으며, 머리가 아프고
살이 떨리며, 먹은 것을 토하고 침이 넘어 올라오며, 심하면 정신을 잃
고 쓰러진다.(痰瘧, 因夏月多食瓜果油面, 鬱結成痰,...
발배(發背) : 발배옹. 옹저가 배척부에 생긴 것. 독맥(督脈)과 태양방광경(太陽膀胱
經)에 속함. 火毒의 內蘊으로 생김.
양증(陽證)은 發背痛(發背痛)이라하고 초기에 국소의 피부가 발적(發
赤)하고, 중심에 1-2개의 좁쌀 크기의 고름집이 생겨 아프고, 점차 붓
고 커져, 손바닥만 해지고 고열ㆍ흉번ㆍ 구갈(口渴)ㆍ맥은 홍ㆍ삭(洪
數)하며 유력(有力)...
번갈(煩渴) : 가슴에 열감(熱感)이 있으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병증. 외
감(外感)이나 내상(內傷)으로 진액(津液)이 손상되고 열(熱)이 울체
되어 발생한다.
[상한론(傷寒論)] <변태양병맥증병치(辨太陽病脈證幷治)>에서 "땀
을 냈는데도 맥이 부삭(浮數)하면서 번갈(煩渴)하는 사람은 오령산(五
苓散)으로 치료한다.(發汗已, 脈浮數, 煩渴者...
비뉵(鼻衄) : 코피가 나는 증. 비경(脾經)의 출혈로 표한(表寒)과 이열(裏熱)이 다
름.
표한은 상한(傷寒)이 풀리지 않았는데 열이 경(經)에 갇힌 것임.
이열은 양열(陽熱)이 막혀 뜨거워져 혈맥(血脈)을 누르고 망행(妄行)
하는 것임.
또 칠정(七情)이나 노역(勞役)으로 진양(眞陽)이 손상되면 수(水)가
화(火)를 통제하지 못하고 충임맥(衝任...
심복냉통(心腹冷痛) : 이한(裏寒)의 증후. 흉복부(胸腹部)(胸腹部)가 아프고, 아픈
부위에 냉감이 있음.
비위(脾胃)가 본래 허한 데에 풍한사(風寒邪)가 침습해 정기
와 사기가 다투어 상하로 쳐서 일어남.
유아(乳蛾) " 후핵(喉核; 구개편도)이 빨갛게 붓고 아픈 병
증.
[장씨의통(張氏醫通)] 제8권에서 "유아(乳鵝)와 전후풍(纏
喉風)은 다른데, 목구멍 양쪽 옆이 붓는 것은 쌍아(雙鵝)이
고, 한쪽 옆만 붓는 것은 단아(單鵝)이다.
(乳鵝纏喉二種風不同, 腫于喉兩傍者雙鵝, 腫于一邊者, 爲單
鵝)"라고 하였다.
은진(癮疹) : 두드러기. 피부가 갑자기 가려우며 편평하게 약간씩 도드라져 올라오
는 병증. 풍소(風瘙), 풍소은진(風搔隱疹), 풍은진(風癮疹), 풍진괴
(風疹塊), 배뢰(㾦癗)라고도 한다.
속에 습열(濕熱)이 막힌데다 또 풍한(風寒)을 받아 살갗과 살결에 뭉
쳐 일어나거나 일부 물질에 알레르기반응을 일으켜 생기기도 한다.
[제병원후론(諸病源候論...
치루(痔漏) : 치창(痔瘡)이 오래 경과한 중에 성생활(性生活)을 삼가지 않아 궤파
(潰破)되어 농(膿)이 유출되고 창구(瘡口)가 수렴되지 않는 것.
치통(齒痛) : 치풍동통(齒風疼痛)이라고도 함.
이가 아픈 병증. : 이는 골(骨)의 나머지로 골수(骨髓)의 자양을 받는데, 만약 풍한
(風寒)의 사기(邪氣)가 경락(經絡)에 침입하여 골(骨)을 상하면
냉기가 이뿌리로 들어와 통증을 일으킨다
토혈(吐血) : 구역성(嘔逆聲)이 없이 구강으로 대량 출혈하는 병증.
혈가(血瘕) : 어혈괴(瘀血塊) 부인 팔가(八瘕)의 하나.
아랫배에 어혈이 몰려 점차 커지는 병증. 월경이 다 나오지 못했거나,
과식으로 혈이 경락에 머물러 장위의 밖에서 소복(少腹) 사이에 유착
(留着)되고 횡골(橫骨) 밑에 적기(積氣)가 있어서 생김.
돌처럼 딴딴한 덩이가 생겨 아랫배가 당기며 아프고 점차 커지는데 이
동감은 없음. 몸이 점차 ...
혈림(血淋) : 임증(淋症)의 하나. 소변이 껄끄럽고 아프면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
열이 성해 혈을 쳐서 혈이 상도(常道)를 벗어나 소장(小腸)을 거쳐 포
중(脬中)으로 하주(下注)해 소변과 함께 나옴.
또 혈허(血虛), 하원허랭(下元虛冷), 어혈정축(瘀血停蓄) 등으로 일
어남. 하원이 허랭하면 배뇨시에 동통이 심하지 않고, 소변이 담홍색
후비(喉痺) : 목 안이 막혀 통하지 않는 것.
간(肝), 폐(肺)의 화(火)가 성한 데에 다시 풍한(風寒)을 외감(外感)
하여 열독(熱毒)이 간경(肝經)으로 들어가서 일어남.
또한 상한(傷寒), 온병(溫病), 열병, 대두온(大頭瘟) 등에서 습담울화
(濕痰鬱火)로도 생김.
대개 인후종통(咽喉腫痛)이 나타나고, 얼굴이 붉고 뺨이 부어 심하면
목덜미 ...
이명추면초(皺面草), 학슬(鶴蝨), 천명정엽(天名精葉)성미소독(小
毒), 신(辛), 한(寒)작용부위간(肝); 폐(肺)포함처방 (총 9건)
세신산(細辛散)E : 몹시 찬 기운이 뇌(腦)를 침범하여 머리와 치아가 아픈 것을 치
료하는 처방임.
하수오산(何首烏散)D : 온몸이 옴과 버짐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하수오산(何首烏散)C : 온몸이 옴과 버짐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하수오산(何首烏散)B : 온몸이 옴과 버짐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하수오산(何首烏散)A : 온몸이 옴과 버짐으로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가파원(蚵蚾圓)B : 감(疳), 무고감(無辜疳)의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임.
유향원(乳香圓)C : 발배(發背), 통불가인(痛不可忍), 저창궤란(疽瘡潰爛)의 치료
에 사용되는 처방임.
빈랑환(檳榔丸)B : 보기산(補肌散)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A0F365D8D84A41D)
분석정보
IPCA61K 36/28키워드가파초(蚵蚾草); 담배나물; 담배풀; 여우오줌풀; 천명정(天名精); 천명정엽(天名精葉); 추면초(皺面草); 학슬(鶴蝨)관련 화합물
♡담배풀효능과 먹는방법 ♡
숲의 가장자리나 산기슭 등지에서 자라나는 담배풀은생긴모양이 담뱃잎을 닮았다고 하여서 "담배풀"이란이름이 붙여진 두해살이 풀입니다.
담배풀이 자라는 모습은 뿌리부터 잎들이 수북이 모여서 나다가 줄기가 단단해지면서 어른의 허리정도까지 자라납니다.
뿌리부터 생겨난 잎은 꽃이 필 무렵 바로 시들어 버린답니다.
줄기를 따라서 자라나는 담배잎은 어른의 손바닥만한 크기이고 잎의 모양은 타원형이고 잎의 가장자리는 톱니바퀴처럼 어긋나 있습니다.
얼핏 모양새가 깻잎과 조금 흡사합니다.
가을이되면 쌀겨처럼 생긴 납작한 씨가 여무는데 담배풀 근처를 지나가면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습니다.
옷에 붙으면 옷을 파고들어서 살을 살짝씩 찌르기도 합니다.
☞ 담배풀의 효능
담배풀의 약리적 효능은 우리몸속에 사는 회충,요충,기생충 따위를 없애고 기생충으로 배가 아픈것을 낫게하는 효능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또한 피부에 부스럼이 생기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능도 뛰어나고 못이 붓거나 아픈 경우에도 잘 말린 담배풀을 달여 먹으면 상태가 호전된다고 합니다.
☞ 담배풀 먹는방법
담배풀은 씨와 풀의 전체를 약으로 사용합니다.
가을에 씨를 털어서 햇볕에 잘 말린 후 달여먹고 담배풀을 뿌리째 뽑아서 달여먹기도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