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벼룩이자리의 효능

eorks 2020. 11. 5. 12:21

벼룩이자리의 효능

벼룩이자리

 한약명 : 전초-소무심채

학   명  : Arenaria serpyllifolia
분   류  :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
분   포  :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생육상  : 한 ·두해살이풀


서   식  : 경작지와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가지 :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밑으로 향한 털이 있으며 밑에서
            갈라진 가지는 옆으로 벋어서 땅에 닿는다.

 : 잎은 나비 1~5mm 정도로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다.

 : ① 흰꽃이 4~5월에 피며 1cm 내외의 작은꽃자루가 잎겨드랑이에서 1개
            씩 자라서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② 전체적으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③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5개씩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 6월에 익으며 달걀 모양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이용 : 이른봄에 어린 싹을 캐어 가볍게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거리

            로 한다. 


            벼룩나물과 흡사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데친 뒤 오래 도록 우려낼 필

            요는 없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이 나므로 데쳐서 찬물로 헹구어 조리한다.


벼룩이자리풀의 特徵 및 效能

가.特徵

ㅡ꽃말 : 기쁜 소식

ㅡ다른 이름 : 모래 별꽃

ㅡ유래 : 벼룩자리의 속명 아레나리아(Arenaria)는 '물이 잘 빠지는 (are

                na)에서 산다' 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벼룩자리라는 이름은 일본 이름으로 '노미노쭈주리' 에서 비롯되
                었다.

                아주 연약한 잎이 땅바닥에 붙어 있는 모양에서 "벼룩이자리''라는
                하잘 것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겠다.

ㅡ특성 : 석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해넘이 한해살이로 우리나라의 전역에
                서 흔하게 자란다.


                가는 줄기 전체에 아래로 향하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 없고, 달걀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양면
                에 짧은털이 촘촘하게 있다


                꽃은 4~7월에 흰색으로 핀다.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나와 꽃이 1송이씩 린다. 

                씨방은 달걀 모양. 암술대는 3갈래로 되어 있다.

나.效能
1.생약명(성분) : 천봉초(天蓬草), 작설초(雀舌草)
ㅡ성분 : 아직 밝혀진 것이 없음
ㅡ성질 : 감미롭고 쓰며, 따뜻하다.

2.채취 및 조제 : 꽃이 피고 있을 때에 채취하에 그늘에서 말려 약재로
                               쓴다.

ㅡ사용 부위 : 꽃을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쓴다.


3.효능 : 해열, 해독, 소종에 효능이 있다.
ㅡ적용질환 : 감기, 감염, 치루, 타박상, 부스럼 등의 치료 약재로 쓴다.


4.용법,용량 : 말린약재를1회에10~20g씩 적당한 양의 물로 달여서 복용
                         한다.


5.외용 : 타박상, 부스럼, 치루,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 에는 생풀을 짓찧
                어서 붙이거나 말린 약재를 가루내어 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른다.



6. 약용 : 전초를 소무심채(小無心菜)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그늘에 말린다.


① 약효: 明目(명목), 淸熱(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 

             目赤(목적), 咳嗽(해수), 치은염(齒肉炎(치육염)), 급성결막염, 麥粒

             腫(맥립종), 咽喉痛(인후통)을  치료한다.

② 용법/용량: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塗布(도포)하거나 코를 틀어 막는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딸기의 효능  (0) 2020.11.07
배초향(방아풀)의 효능  (0) 2020.11.06
백미꽃의 효능  (0) 2020.11.04
범부채효능  (0) 2020.11.03
범꼬리 효능  (0) 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