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세계문화유산 /알바니아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551)

eorks 2020. 12. 15. 12:28

세계문화유산 /알바니아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Historic Centres of Berat and Gjirokastra]
요약 : 알바니아에 있는 중세의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Historic Centres of Berat and Gjirokastra)는 오스만 제국 당시의 건축 특징을 가진 흔치 않은 사례이다. 알바니아의 중부에 위치한 베라트는 수백 년에 걸쳐 종교와 문화 공동체들이 공존했던 곳이다. 그 기원은 기원전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대부분은 13세기에 건설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칼라(Kala)’라고 알려진 성이 특징적이다. 요새 지역에는 주로 13세기에 지어진 비잔틴 교회들 외에도, 1417년부터 지어지기 시작한 오스만 시대의 사원들도 몇 채 있다. 알바니아 남부 드리노스 강 계곡에 있는 지로카스트라는 17세기에 발달한 2층 건물들이 즐비한 것이 특징이다. 이 도시에는 시장 거리와 18세기의 사원들, 그리고 같은 시기에 지어진 교회도 2채 있다.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베라트 구도시 전경

베라트 구도시 야경

베라트 성삼위교회

베라트 성삼위교회

지로카스테르 구시가지

지로카스테르 구시가지

지로카스테르 파노라믹 뷰

지로카스테르 성 시계탑

    국가 : 알바니아(Albania)

    좌표 : N40 4 10,E20 7 60
    등재연도 : 2005년(2008년 확장)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
    베라트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로서 최초의 주거 흔적은 기원전 2600~기원전 18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곳에서는 기원전 7세기 및 6세기의 도자기도 발견되었다. 베라트 사람들은 처음에는 일리리아(Illyrians) 인으로 불렸다가, 나중에는 아르베(Arbër), 최종적으로 알바니아 인으로 불려졌다. 4세기 중엽 돌을 이용해 요새 형태로 성을 쌓았으며, 이 요새 안에 일리리아 인들의 마을이 있었다.

    고대에 베라트는 안티파트리아(Antipatreia)라고 알려져 있었는데, 한동안 로마 군대에 끝까지 저항한 요새 중심지였다. 그리스의 역사학자 폴리비우스(Polybius)와 리비(Livy)가 이 도시에 대해 언급하면서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요새 목록에 기록되었다. 비잔틴 시대이던 533년에 베라트는 5세기의 비잔틴 제국의 여제 풀체리아(Pulcheria)의 이름을 따서 풀체리오폴리스(Pulcheriopolis)로 불렸다. 이때는 언덕의 정상 부분에 도시가 발달하였고 나중에 성과 요새는 다시 지어졌다.

    중세에 이 도시는 불가리아 인들이 점령하면서(860~1018) 그 중요성이 커졌다. 베라트라는 이름은 1018년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십자군 전쟁 때부터(13세기) 베라트에는 앙주, 세르비아, 무자카이 공국을 비롯한 많은 민족들이 점령하였다. 13세기에 많은 요새들을 다시 건설하였고, 그것이 오늘날 남아 있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당시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13세기와 14세기에 성마리아 블라헤르나(St. Mary Vllaherna) 교회, 성삼위일체 교회, 성미카엘 교회가 건설되었다. 당시 이곳에는 우수하고 뛰어난 수리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다.

    15세기 초에 베라트는 오스만 족에 의해 점령당하였다. 이때 상당한 변화가 있었는데, 요새를 수리하고, 또 그것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탑들을 지었다. 이 도시는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서 평화와 번영을 누렸다. 이곳은 성과 아드리아 해 사이의 교통 요지베라트는 알바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로서 최초의 주거 흔적은 기원전 2600~기원전 18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곳에서는 기원전 7세기 및 6세기의 도자기도 발견되었다. 베라트 사람들은 처음에는 일리리아(Illyrians) 인으로 불렸다가, 나중에는 아르베(Arbër), 최종적으로 알바니아 인으로 불려졌다. 4세기 중엽 돌을 이용해 요새 형태로 성을 쌓았으며, 이 요새 안에 일리리아 인들의 마을이 있었다.

    고대에 베라트는 안티파트리아(Antipatreia)라고 알려져 있었는데, 한동안 로마 군대에 끝까지 저항한 요새 중심지였다. 그리스의 역사학자 폴리비우스(Polybius)와 리비(Livy)가 이 도시에 대해 언급하면서 유스티니아누스 황제의 요새 목록에 기록되었다. 비잔틴 시대이던 533년에 베라트는 5세기의 비잔틴 제국의 여제 풀체리아(Pulcheria)의 이름을 따서 풀체리오폴리스(Pulcheriopolis)로 불렸다. 이때는 언덕의 정상 부분에 도시가 발달하였고 나중에 성과 요새는 다시 지어졌다.

    중세에 이 도시는 불가리아 인들이 점령하면서(860~1018) 그 중요성이 커졌다. 베라트라는 이름은 1018년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십자군 전쟁 때부터(13세기) 베라트에는 앙주, 세르비아, 무자카이 공국을 비롯한 많은 민족들이 점령하였다. 13세기에 많은 요새들을 다시 건설하였고, 그것이 오늘날 남아 있는 일반적인 형태로서 당시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13세기와 14세기에 성마리아 블라헤르나(St. Mary Vllaherna) 교회, 성삼위일체 교회, 성미카엘 교회가 건설되었다. 당시 이곳에는 우수하고 뛰어난 수리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다.

    15세기 초에 베라트는 오스만 족에 의해 점령당하였다. 이때 상당한 변화가 있었는데, 요새를 수리하고, 또 그것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탑들을 지었다. 이 도시는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서 평화와 번영을 누렸다. 이곳은 성과 아드리아 해 사이의 교통 요지에 위치하고 있어 요새를 넘어 발전해 나갔다. 그 구역들은 오늘날과 같은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칼라(Kala, 성)과 반대편 제방에 만갈렘(Mangalem)과 고리카(Gorica)가 있었다.

    지역 주민들이 건설한 수많은 사원 가운데 리덴(Leaden)모스크, 테케자 헬레티베(Teqeja Helvetive)모스크 등은 특히 뛰어난 건축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대에는 종교적으로 관대하여 많은 이슬람교도들 이들 그리스 정교의 유산을 보존하고 있었는데 이는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다. 장식용 전등과 도상학 같은 기독교 예술이 발달하였고(16세기, 오누프리 학파), 그리스 정교 성당도 복원되었다(18세기).

    1834년에 투르크족(Turks)에 대항한 반란이 있은 후 베라트의 성은 파괴되어 방어 기능을 상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기본 구조는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1961년까지 베라트의 상태도 사실상 마찬가지였다. 그 후로 알바니아 정부가 이 역사 도시를 중요한 유산으로 인식하였다.

    알바니아 정부가 1948년 10월 16일에 처음으로 보존 법령을 마련하였으며(과학아카데미, 법령, 93호), 민족적 가치를 가진 연속 유산 목록을 작성하였다. 베라트에서는 성, 오숨 강의 다리, 4개의 교회와 1개의 모스크가 포함되었다. 1961년에 6월 2일자 법령(172호)에서는 베라트가 민족 역사 중심지이며 박물관 도시임을 선포하였다. 이 도시의 연속 유산 목록 1은 개인의 주거지 유산을 포함하여 50개 유산으로 늘어났다. 연속 유산과 가옥들을 이 목록에 추가로 1963년에 2점, 1973년, 1977년 1983년에 각각 하나씩 추가하였다.

    1965년에 알바니아 문화유산연구소가 창설되어 ‘연속 유산 목록 1’의 유지와 복원을 위한 연간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베네치아 헌장의 지시를 따르고, 건축가들은 이들 유산을 감독했다. 이 계획에 따라 베라트에 있는 성과 종교 기념물을 포함한 연속 유산들을 강화하고 복원하였으며, 프레스코도 보존되었다. 베라트의 연속 유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는 정치적 과도기였던 1990년대에는 거의 방치되다시피 하였다. 이 도시의 진정한 문화유산 프로젝트는 2, 3년 전에야 재개되었다. 문화유산연구소에서 2007년~2011년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베라트·지로카스트라 역사 지구 [Historic Centres of Berat and Gjirokastra]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