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인도네시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Cultural Landscape of Bali Province : the Subak System as a Manifestation of the Tri Hita Karana Philosophy]
요약 : 발리의 문화경관은 다섯 곳의 계단식 논과 수상사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00ha에 걸쳐 있다. 사원은 9세기로 거슬러가는, 수박(subak)이라고 알려진 수로와 둑의 관개시설 협동조합 체계의 중심이다. 이 경관에는 18세기의 왕실 수상 사원인 따만 아윤 사원(Pura Taman Ayun)이 있는데, 이 섬에서 가장 크고 가장 인상적인 사원 건축물이다. 수박 체계에는 영혼세계와 인간세계 그리고 자연을 하나로 결합하는 트리 히타 카라나(Tri Hita Karana, 행복의 근거는 신·인간·자연이 조화로운 관계에 있다는 힌두철학)의 철학적 개념이 반영되어 있다. 이 철학은 과거 2,000년 동안 발리와 인도 사이의 문화 교류에서 기인하며, 발리의 경관을 형성하였다. 민주적이고 평등한 농경 방식인 수박 체계 덕분에 발리 사람들은 높은 인구밀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군도에서 가장 많은 농작물을 수확하였다.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국가 : 인도네시아(Indonesia)
좌표 : S8 15 33,E115 24 10
등재연도 : 2012년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
탁월한 보편적 가치
가장 두드러진 발리 경관은 한 줄로 늘어선 화산이 있다는 점이다. 발리는 비옥한 토양과 습한 열대기후가 결합하여 작물을 경작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강물을 수로로 보내어 논에 물을 대어 평지뿐 아니라 산비탈에서도 논농사를 가능하게 하였다.
논, 논 안에 물을 유지하는 것, 물을 관리하는 협동조합 조직인 수박 체계 등이 합쳐져 과거 1,000년 동안 이곳에서 경관을 형성해 왔으며, 이러한 체계가 종교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벼는 신의 선물로 여겨지며, 수박 체계는 사원 문화의 일부이다. 샘과 수로에서 끌어들이는 물은 사원을 지나 논으로 흘러 들어간다. 수상 사원은 수박 체계에 의해 물 자원을 협동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세기부터 수상 사원 조직은 계단식 논의 생태계 수역 전체를 관리해왔다. 이는 척박하고 좁은 화산섬에서 많은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어려움에 특출하게 대응한 것이다.
수박 체계는 영혼세계와 인간세계 그리고 자연을 하나로 결합하는 발리인의 ‘트리 히타 카라나’의 철학적 원리를 보여 주는 전형이다. 수상사원은 자연세계의 생명유지력에 의존하는 것을 강조하는 의식에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함으로써, 사람과 환경 사이에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도록 했다.
발리에는 총 1,200개 정도의 물 공동 관리 조직이 있고 50명~400명의 농민이 하나의 수원지에서 물을 공급받는다. 유산은 아직도 자연·종교·문화적 요소들이 서로 연결된 전통적인 수박 체계를 유지하는 다섯 곳의 유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박 체계는 여전히 완전하게 기능하며, 농민들은 비료나 농약 없이 발리에서 전통식으로 벼를 경작하고 있다. 유산의 전체적인 경관은 신성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화구호(火口湖)인 바투르(Batur) 호숫가에는 울룬 다누 바투르(Ulun Danu Batur)라는 최고의 수상 사원이 있는데 이는 모든 샘과 강의 원천으로 여겨진다. 파케리산(Pakerisan) 수계의 수박 경관은 발리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관개시설 경관이다. 또 10세기의 비문에 언급된 카투르 앙가 바투카루(Catur Angga Batukaru)는 발리에서 가장 오래된 계단식 논이 있는 수박 경관으로, 이곳의 사원은 발리의 전통 사원 건축물의 주요 사례이다. 왕실 수상 사원인 타만 아윤 사원(Pura Taman Ayun)은 가장 크고 유명한 수상 사원으로서, 가장 확장되었던 19세기 발리 왕국 지배 하에서 수박 체계가 최대한 확장되었음을 보여 주는 증거이다.
수박 체계의 구성 요소로는 물을 공급하는 숲, 계단식 논, 수로와 터널과 둑으로 서로 연결된 논, 마을 등이 있다. 또 사원은 수원지임을 의미하며,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사원을 통해 물을 비탈 아래로 내려가도록 만든 통로로서 사원 등 다양한 크기와 중요성을 지닌 사원들이 있다.
완전성
유산은 수박 체계의 핵심 요소들과 발리의 경관에 끼친 큰 영향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수박 체계에 의해 조직화하고, 관개시설을 이용하여 물을 대는 계단식 논 경작의 형태의 경관을 형성해온 과정은 여전히 활기 있게 이용되고 있으며, 회복성(resilient)이 있다. 농경지역은 아직도 지역사회에 의해서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경작되고 있고 물 공급은 수상 사원에 의해 민주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위협을 받고 있는 구성요소는 없지만 계단식 논 경관은 농업방식의 변화와 증가하는 관광산업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관리체계는 전통적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지원해야 하며, 농민들이 계속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편익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러 유적의 환경은 특히 관광산업과 관련한 개발로 인해 취약한 상태이다. 다섯 유적의 시각적 경관은 유산의 경계를 넘어 확장되어 완충지역 너머까지 확대된다. 이미 몇 가지 해를 끼치는 개발 사례가 있었다. 시각적 완전성을 더 이상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더욱 폭넓은 지역에 대한 유적 환경 보호가 필요하다. 유산의 시각적 질을 유지하는 데는 물 관리 또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진정성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전달하고 수박 체계를 보여 주는 측면에서 계단식 논과 숲, 물 관리 체계, 사원의 진정성은 명확하다. 그러나 사람과 경관 사이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은 매우 취약하며, 만약 영적 세계와 트리 히타 카라나의 고대철학 개념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보여주고자 한다면 관리체계를 적극적 지원해야 한다. 촌락의 건물들은 건축자재와 건축양식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 그 진정성을 잃어버렸지만, 여전히 기능적으로는 경관과 연관되어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유산으로 신청된 지역의 보존과 공간계획을 위해 2008년의 지방법령에 의해 유산 보존을 위한 폭넓은 법적 체계를 수립하였다. 발리의 전략적 지역 수립을 위해 발리정부와 발리의 섭정 관할구 사이에 맺은 양해각서에 의해 특별 법체계가 수립되었다. 이 협정은 유산 경계 내의 무형·유형 유산과 농업·임업 생태계를 비롯하여 다섯 곳의 유적을 위한 보존 및 공간계획을 법적으로 성문화한다. 중요한 문화경관 보존을 위한 국가전략지역 수립과 공간계획에 관하여 지방의 법령은 국법 No. 26/2007과 국가정부 법령 No. 26/2008에 기초를 두고 있다. ,BR>
대부분의 수박 체계에는 아윅아윅(Awig-awig)라고 하는 성문화된 규율이 있는데, 수박 공동체 회원의 권리와 책임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다. 수박 체계의 관리와 전통의 보호, 문화유산의 보존을 담은 아윅아윅이나, 전통적 관습법과 규정은 발리 주의 규정 No.5(2005)에 포함되어 있고, 지역의 아윅아윅을 기초로 하여 사원과 같이 보호해야 할 신성구역을 명확히 설정하고 있다. 유적 내에 있는 계단식 논도 타바난 섭정관할구 법령 No.9/2005에 의해 대규모 관광 개발에 맞서 보호받고 있다. 사원과 고고학 유적지는 문화유산에 관한 국법 No.5/1992에 의거하여 보호되고 있다. 유산의 구성요소 유적들은 주정부로부터 이례적인 수준의 지원을 받는 전략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BR>
발리 주정부가 관리계획을 채택하였다. 이 계획은 전통적 방식으로 유지하고 부적합한 개발을 막기 위한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은 조정을 위한 공동 관리의 원칙을 수립하였고, 이것을 발리의 상황에 맞게 변경하고 있다. 민주적 관리 총회에 의해서 다양한 조직 차원에서 개인과 조직과 기관과 단체들을 연결하도록 한다. ,BR>
발리 정부규정 No.17, 2010은 발리 문화유산 관리총회의 창설을 승인하였다. 이 법령은 여러 정부 부서의 대표를 포함하는 관리총회 구성에 착수하고 유적 관리에 있어 수박 공동체 회원에게 공동으로 주요 역할을 맡아 착수할 권한을 준다. 유산에 관여하는 부서 사이의 유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복지부의 조정 하에 2개의 부서간위원회를 마련하였다.
모든 유산과 그 구성요소들은 지역사회에서 여전히 활발하고 지속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유적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박 체계에 의해 공동으로 유지되고 있다. 사원 유지는 전통적으로 자금과 자원을 기부하는 지역민이 맡고, 지방정부와 필요한 전문기술을 제공하는 발리-NTB-NTT 주의 고고학 연구실과의 협력으로 일상적 보존대책을 실행하기 위해 자원해서 일한다.
생생한 경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체계를 뒷받침해야 하며 이를 위해 더 많이 지원하고 농민들이 계속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하는 편익을 제공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수박 체계의 근간이 되는 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경관 보호가 필수적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발리의 문화경관 : 트리 히타 카라나 철학의 표현으로서의 수박 체계 [Cultural Landscape of Bali Province : the Subak System as a Manifestation of the Tri Hita Karana Philosophy]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