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이란 이슬람 공화국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Masjed-e Jāmé of Isfahan]
요약 : 이스파한(Isfahan)의 역사 중심지에 있는 마스제데 자메(Masjed-e Jāmé, ‘금요일의 모스크’라는 뜻)는 841년에 시작되어 1,200년 이상 계속된 이슬람 사원 건축의 발달을 보여 주는 경이로운 사례이다. 이란에 있는 이런 유형의 모스크 중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나중에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발달한 이슬람 모스크 설계의 본보기가 되었다.
면적 20,000㎡가 넘는 이 복합건물은 4개의 뜰로 이루어진 사산왕조의 궁전 배치를 이슬람교의 건축양식에 적용하여 지은 최초의 이슬람 건축물이기도 하다. 이중 셀(double-shell) 구조의 돔은 지역의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주는 건축술의 혁신을 상징한다. 또한 이 유적에 간직된 주목할 만한 세부 장식은 천년이 넘는 이슬람 예술 양식의 발달을 대변하고 있다.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저메 모스크, 동쪽 아이반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국가 : 이란 이슬람 공화국(Iran, Islamic Republic of)
좌표 : N32 40 11,E51 41 7
등재연도 : 2012년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
탁월한 보편적 가치
마스제데 자메는 이란에서 가장 오래된 ‘금요일(영어로는 ‘집회(congregational)’를 뜻함)의 모스크’이며 이스파한의 역사 중심지에 있다. 이 역사적 기념물은 1,200년 이상, 아바스(Abbasid)·부와이(Buyid)·셀주크(Seljuq)·일한국(Ilkhanid)·무자파리(Muzzafarid)·티무르(Timurid)·사파비(Safavid) 왕조 등 여러 시대에 걸쳐 이어져 온 이란의 이슬람 건축공정의 시퀀스(sequence, 여기서는 이슬람 모스크 건축 양식에 있어 역사적 맥락을 뜻함)와 장식 양식을 보여 준다. 셀주크 왕조가 팽창함에 따라 보기 드문 2개의 돔이 얹힌 이완(iwan, 한쪽 면이 안뜰 방향으로 열려 있는 직사각형의 홀) 4개를 안뜰 주변 4면에 두는 양식이 발전되었다. 이 양식은 독특한 이슬람 건축양식의 원형이 되었다.
원형적인 특징은 최초로 이중 셀 구조의 돔인 나잠 알-목 돔(Nezam al-Molk dome)에 잘 나타나 있다. ‘이슬람 건축 양식의 집대성(集大成)’이라 할 만한 마스제데 자메의 교과서적 특징은 물론이고, 최초로 4개의 이완(Chahar Ayvān)이 있는 이슬람 건축 유형을 도입하였다. 특히 셀주크 왕조 시대에는 마스제데 자메의 건축물들을 보수·확장했으며, 이후 이슬람 전 기간에 걸쳐 모스크를 확대하고 증축하고 고급스러운 장식을 추가하였다. 이로써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는 이슬람 건축양식에 있어서 건축적 혁신과 기술을 보여 주는 탁월한 사례가 되었다.
완전성
마스제데 자메는 이슬람 건축양식에 대한 연속적 시퀀스(일련의 건축 양식의 역사적 맥락 또는 흐름)를 표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시대는 셀주크 시대이다. 셀주크 시대의 유적들 중에서, 특히 건축 평면에서 핵심 요소인 4개의 이완과 2개의 돔은 당시에 건축된 모스크와 돔 건축양식의 발전을 보여 주기에 충분하다.
유산의 경계는 모스크 복합단지 전체와 아울러 세월이 흐르면서 증축한 건물들과 중요한 기능들을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유산의 완전성은 주변 지역의 개발 사업으로 인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이런 이유로, 포괄적인 유산영향평가의 기준에 따라 제안된 건설 사업들을 면밀히 평가해야 하고, 마스제데 자메 주변의 역사적 환경과 도시적 비례(urban proportion, 건물의 규모에 따른 도시 스케일을 의미함)를 존중해야 한다.
진정성
모스크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특히 말레크 알 목(Malek al-Molk), 그리고 타지 알 목(Taj al-Molk) 돔은 건축 자재·설계·위치의 측면에서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1984년 공습 이후에 꼭 필요했던 복원과 재건은 전통적 기술과 자재를 이용하여 적절한 기준에 따라 실행되었다. 가장 중요한 진정성 측면은 마스제데 자메의 기능인데, 마스제데 자메가 기도하는 장소로서 종교적 기능을 가진 모스크로 계속 이용될 뿐만 아니라 이스파한의 역사적인 바자(bazaar, 시장)의 기능과도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모스크가 바자와 인접하여 있으므로 바자 거리에서 모스크로 출입하기 좋다는 점은 위치적 설정에서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진정성이 도시 성격의 변화로 인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신앙이나 분위기의 진정성을 준수하려면 방문객 수에 대해 고려해야 하며 마스제데 자메에 정보 안내판의 설치를 세심하게 고려해야 한다.
보존 및 관리체계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는 이란 이슬람공화국의 헌법 83조에 의거하여 국가 기념물로(No. 95 of 1932) 지정되었다(1920). 또한 국법의 관할에 따른다는 것을 규정한, 2001년에 채택된 내각의 결정에 따른 이란문화유산수공예관광기구(ICHHTO)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완충지역을 보호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정된 유산과 완충지역은 이란문화유산수공예관광기구와 책임성 있는 지방자치당국 사이에 지속적인 협력을 수립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지역지구제과 이스파한 도시 계획안 안에서 통합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산은 3개의 단체, 즉 운영위원회와 기술위원회, 유적관리사무소에서 공동 관리하고 있다. 운영위원회는 공신력 있는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이란문화유산수공예관광기구의 대표자들과 와크프(Vaqf, 이슬람 종교재단) 당국, 그리고 이스파한 시장으로 구성되며, 유산의 보호 및 보존 감독을 책임지고 있다. 기술위원회는 자세한 사업안과 활동 일정을 검토하고 승인하는 권한을 가지며 정기적으로 사업 진행을 감독한다. 유적관리사무소는 활동들을 매일 조정하고 감독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등재 당시 마스제데 자메 부근에 있던 유적관리사무소는 모스크 복합단지 내로 영구적으로 옮기는 중이다. 세심한 관광객 관리와 위험 대비 전략을 총괄하는 부서를 포함하는, 통합적 유산 관리 및 보존 계획안이 최우선적으로 마련되고 채택되어야 한다.
등재기준
기준 (ⅱ) : 안뜰을 중심으로 사면에 4개의 이완이 있는 마스제데 자메는 사산 왕조 궁전 설계를 이슬람 종교 건축물에 적용시킨 최초의 이슬람 건물이다. 이로써 마스제데 자메는 모스크 건축에 있어 새로운 설계와 미학의 원형이 되었다. 나잠 알-목 돔은 이슬람 제국 최초로 시도된 이중 셀 구조의 돔 구조물로서, 새로운 공학기술을 도입하였고, 후대의 모스크와 묘지 복합단지의 정교한 돔 건설을 가능하게 한 건축물이다. 이 두 가지 요소를 토대로 볼 때, 마스제데 자메는 모스크 설계와 배치, 그리고 돔 건설에 있어 원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이후 이슬람 세계의 여러 시대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스파한의 마스제데 자메 [Masjed-e Jāmé of Isfahan]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