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세계문화유산 /사우디아라비아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684)

eorks 2021. 4. 27. 04:34

세계문화유산 /사우디아라비아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Historic Jeddah, the Gate to Makkah]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국가 : 사우디아라비아(Saudi Arabia)
    좌표 : N21 29 2,E39 11 15
    등재연도 : 2014년
    탁월한 보편적 가치
    ‘역사적 도시 제다(Historic Jeddah)’의 건축 양식은 홍해 양쪽 해안의 여러 도시에서 한때 널리 적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과 등재된 유산을 제외하고는 일부 흔적만이 전해지는 홍해의 건축 전통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이다. 19세기 제다의 유력한 상인들이 건설한 거대한 목조 로샨(Roshan)으로 장식된 웅장한 고층 저택들과 이보다는 조금 낮은 저층의 산호석 저택들, 모스크, 리바트(Ribat, 수도원), 수크(Suq, 재래시장), 작은 광장 등이 한데 어울려 생동감 넘치는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이슬람력 7세기부터 3대 칼리프 우스만 이븐 아판(Othman ibn Affan, ?~656)은 역사적 도시 제다를 메카의 공식 항구로 삼았고 이 때문에 배를 타고 아라비아에 당도하는 무슬림 순례자들에게 제다는 메카에 이르는 관문과도 같은 상징적 역할을 했다. 무슬림의 연례 순례 의식(하지, Hajj)과의 이런 밀접한 연관성 덕분에 역사적 도시 제다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아시아 등지에서 온 무슬림들이 일하며 사는 국제도시로서 발전과 번영을 이룰 수 있었다.

    역사적 도시 제다는 1869년 수에즈 운하의 개통, 그리고 유럽과 인도 및 아시아를 연결하는 증기선이 도입된 이후에 마지막으로 번성했던 인도양 중심의 해상 교역을 보여주고 있다. 해상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상인들은 제다에 호화롭게 장식한 저택을 건축하였고 수크와 모스크 또한 발전하였다. 더불어 해상 선박이 증가하자 더 많은 순례자들이 메카를 방문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이러한 여행객들을 위한 숙박시설 또한 상당히 늘어났다.

    완전성
    유산은 성곽이 세워졌던 본래 제다 시 면적의 3분의 1을 포괄한다. 제다의 로샨 고층 저택이나 외향이 강조된 주택들, 산호석 건축물, 정교한 목각 장식이 있는 파사드, 실내 통풍을 위한 특정한 기술 장치, 저층 주택들, 상업 및 종교 시설, 순례자 숙박과 관련된 시설 일체 등에 관한 대표적 사례와 같이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전달하는 특성 전체와, 도시 전반의 형태와 각 구역의 명확한 구획까지 포함한다.

    아울러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은 무형의 상징 수준 못지않게 건축 및 도시 수준에서도 무슬림의 하지와 직접 연관되어 있어 상업에 기초한 경제력과 전 세계의 무슬림들이 한데 모이고 함께 생활하며 일하는 다문화적 사회 구조를 자랑하는 도시 환경을 지니고 있다. 제다의 도시 경관은 그 의미와 함께 이러한 특성과 과정이 완벽하게 구현되어 있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유서 깊은 건축물들이 부식되고, 도시의 주변 환경이 전체적으로 변화를 겪기는 했지만 이 유산은 상업 활동, 사회적 관계, 그리고 이 도시만의 독창적인 성격을 정의함에 있어 꼭 필요한 여러 가지 역동적인 기능을 포함하여 온전성(Intactness)을 증명하는 데 필요한 모든 특성을 오늘날까지 간직하고 있다.

    대다수의 요소가 부식에 매우 취약하고 보존 조치가 부재하기 때문에 완전성의 기준을 세우고 향후 보호 및 보존 조치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힘써야 한다. 보존 조치는 건축물과 도시 설계라는 관점에서 예부터 오늘날까지 지속된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해 정확히 조사하고, 향후 건축물이 더 많이 소실될 경우 더 이상 ‘온전성’을 주장할 수 없게 되는 한계점이 어디일지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진정성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은 모스크 및 자선 시설, 거주 및 상업 활동을 위한 시설이 기본을 이루고 있는 살아 있는 도시 환경이다. 등재된 유산은 역사가 깊은 사업체, 소매 점포, 전통 시장, 작은 카페, 인기 많은 식당, 길거리 음식을 파는 상인들이 오늘날까지 밀집해 있는 진정한 의미의 전통적인 도시 환경을 보여준다. 사람들로 북적이는 전통 시장 수크는 놀라우리만큼 다양한 인적 환경의 전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곳에서는 예멘, 수단, 소말리아, 파키스탄, 인도 출신의 이주 노동자들이 물건을 구매하거나 사우디아라비아 사람들이나 외국인 고객을 상대로 판매하고 있다.

    이 유산은 과거와 단절되거나 사장된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도시의 진정한 일부로서 홍해의 상업 및 순례 중심지였던 옛 모습을 오늘날까지도 거의 완벽하게 유지하고 있다. 유서 깊은 주택들의 현대적 개축이나 변형은 심각하지 않은 수준이며, 높이 솟은 ‘로샨 고층 저택들’은 대체로 보존이 잘 되어 있다

    유서 깊은 모스크 역시 공동체를 위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며 본래의 특성을 대부분 잘 간직하고 있다. 건축물들은 대부분 본래의 석조 구조나 내부의 목조 기둥 등 근본 구조를 건드리지 않는 경미한 수리만을 거쳤기 때문에 유산이 지닌 전반적인 진정성이 잘 지켜지고 있다. 그럼에도 오늘날의 제다는 한 때 번성하고 부유했던 도시의 그림자에 불과하며 그 안의 많은 건물들이 보살핌 속에 다시 본연의 구실을 다할 때에만 과거의 중요성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존 및 관리체계
    사우디아라비아는 각료회의를 통해 2014년 11월 2일 ‘새로운 고대 유물, 박물관 및 도시유산 법(New Antiquities, Museums and Urban Heritage Law, 왕령 제 (M/3)호)’을 통과시켰는데 이 법률이 역사 도시 제다의 보호를 위한 법적 토대가 되었다.

    옛 도시의 한 가운데에 있는 제다 시청의 지역 분과와 SCTA가 유산의 일상적 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이곳의 직원은 유산의 유지 보수, 청소, 보호 및 공개 등을 감독한다. 내무부의 지원을 받는 이와 유사한 전통 조직은 주민의 사회 복지를 담당하고 경찰 및 민방위대와 협력하여 이 지역의 치안을 책임진다. 움다(Umdah)라는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이 전통적인 조직의 허가를 얻어 상인과 소유자 단체가 유산의 관리에 참여하고 있다. 관리계획은 현재 입안 중이다.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제다 시 당국이 2011년에 승인한 새로운 ‘도시 규정(Urban Regulation)’에 따라 보장받고 있으며 당해 규정에서는 유산과 그 완충지역에 적용되는 정확하고 엄격한 의무 규정이 명시되어 있다.

    유산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핵심적이며 장기적인 정책과 가장 시급한 조치로는 빈민들이 빈번하게 불법 점유함에 따라 유서 깊은 가옥들이 퇴락하는 것을 막을 방법, 역사 도시의 전체 경관을 위협할 우려가 있는 투기 움직임에 대한 단속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새로 승인된 ‘도시 규정’은 유산과 관련하여 실증 및 시행이 가능한 기준과 공식 규칙을 규정하고 있다. 상인과 소유자들이 참여하여 적절한 복구 및 활성화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면 진정성과 완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개발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유산에 가해지는 가장 심각한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이 지역의 보존 및 재생을 위한 일반 전략은 사우디아라비아 관광 · 유물위원회(Saudi Commission for Tourism and Antiquities, SCTA)가 제다 시 당국과 조율하여 입안 중에 있으며, 시민 사회도 이에 참여하고 있다. 개발되고 있는 상세한 보존 전략에서는 역사적 건축물의 안정과 보존, 새로운 활용처를 고안하는 방법을 마련하여 유산의 운명을 바꾸어 놓을 대대적이고 장기적인 보존 프로젝트를 어떻게 개시할지, 재원은 어떻게 조달하고 승인할 지 결정될 예정이다. 이러한 보존 전략은 반드시 유산에 대한 상세한 조사 및 분석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등재 기준
    기준 (ii) : 역사적 도시 제다의 도시 경관은 16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홍해 연안의 여러 지역과 인도양 항로를 따라 발달한 인류적 가치, 기술적 노하우, 건축 자재 및 공법의 교류로부터 비롯되었다. 역사적 도시 제다는 국제적인 해상 교역이 활발했으며, 지리 · 문화 · 종교적 배경을 공유하고, 혹독한 기후 여건(습도와 고온)에 대응하여 독특하면서도 혁신적인 기술적 · 예술적 해법을 적용해 건설된 도시이며, 당시의 번영했던 문화 세계가 지금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역사적 도시 제다는 오랜 세월 홍해 연안의 도시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규모가 크며 부유한 도시였으며, 홍해 연안을 따라 발달했던 유적 가운데 마지막까지 보존된 도시이다. 이곳에는 상업에 기초한 경제, 다문화적인 환경, 외향이 강조된 독채 주택, 산호석 건축, 정교한 목각으로 장식한 파사드, 건물 내부의 통풍을 돕는 고유한 기술 장치 등 홍해 주변 문화를 대표하는 여러 가지 건축학적 특징을 오늘날까지 잘 보존하고 있다.

    기준 (iv) : 역사적 도시 제다는 교역 및 순례 도시로서 번영했던 과거를 드러내는 우수한 사례이며, 또한 홍해 문화 세계의 도시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유일한 사례이다. 로샨이 설치된 제다의 저택들은 아랍 및 무슬림 세계 내에서도 고유한 건축물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례이다.

    중정의 생략, 정교하게 장식된 로샨이 설치된 파사드, 사무용 또는 상업용으로 이용되는 1층의 방, 순례자들을 위한 임대용 방 등으로 대표되는 특정한 예술적 그리고 기능적 양식은 홍해의 고온다습한 기후, 그리고 바다를 통해 방문하는 순례자들을 위한 성스러운 도시 메카로 향하는 관문이자 국제적으로 중요한 상업 도시로서의 제다의 특성을 반영한다.19세기 후반에 발달한 로샨 고층 저택들은 1869년 수에즈 운하의 개통, 그리고 유럽과 인도, 동아시아를 연결하는 증기선 항로의 개척 이후에 아라비아 반도와 아시아를 연계하는 무역 및 순례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이런 유형의 저택은 홍해 문화권역에만 형식이 아니었기 때문에 제다의 고층 저택이 지닌 특별한 의미는 더욱 강조된다. 다시 말해, 제다에서 탄생한 이 특별한 건축 형태는 헤자즈(Hejaz) 지방의 알 매디나(Al-Madinah), 메카, 타이프(Taif)와 같은 인근 도시들에까지 널리 확산되었지만 이후 근대적 개발의 압력 속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제다의 도시 경관을 전체적으로 결정짓는 특징은 미적으로 탁월한 고층 저택들뿐 아니라 조밀하게 밀집한 저층의 주택들, 그리고 상업과 종교 구조물, 순례자들의 숙박과 관련된 시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또 도시 전반의 형태와 명확하게 구분된 구역 또한 돋보인다.

    기준 (vi) : 역사 도시 제다는 무형의 상징 수준에서도 그렇지만 건축 및 도시라는 유형의 수준에서도 성스러운 도시 메카를 1년에 한번 순례하는 무슬림의 행사인 하지와 직접 연관되어 있다. 제다는 바다를 통해서 아라비아 반도에 이르는 모든 순례자들이 발을 내딛게 되는 항구였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세기에 걸쳐 순례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순례자들이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들여와 이 도시에서 판매했던 각종 상품들, 자바와 인도에서 찾아온 울라마(Ulama, 이슬람 율법학자)와의 종교 토론, 각종 향신료와 식료품, 제다의 무형 유산 등이 모두 제다의 정체성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 순례 여행과 연관되어 있다.

    하지와의 연관성은 등재된 유산의 도시 구조에서도 매우 명백하게 나타난다. 바다로부터 메카 게이트(Makkah Gate)까지 동서로 길게 늘어선 전통 시장인 수크, 리바트, 순례자들을 환대했던 와칼라(Wakala), 건축물(특히 파사드와 주택의 내부 구조), 그리고 전 세계의 무슬림들이 한데 모여 함께 생활하며 일하는 제다의 사회적 구조 등에서도 하지와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요소들은 그것이 유형이든 무형이든 총체적으로 순례와 유산 사이의 밀접하고 유서 깊은 관계를 증명하며, 전체 이슬람 세계에서도 고유한 이 종교 의식에서 비롯된 지극히 풍부한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역사적 도시 제다, 메카로 향하는 관문 [Historic Jeddah, the Gate to Makkah]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