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지인의 효능
 높이 25~30cm 정도 되는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의 남부 해남도 등에서 자랍니다.
여름에 여문 열매를 따서 말립니다.
쓸 때 겉껍질을 벗기고 씨만을 씁니다.
본 약제는 진액부족하면서 열이 뜨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유정을 낫게하고 축소변하고 연타를 조정하고 익기와 안신 및 조기를 한다.
반드시 약간 볶아서 사용해야 된다.
향기가 매우 강하여 너무 지나치게 볶으면 향기가 다 날라가서 약효가 나지 않으며 약간 볶고 반드시 껍질이 깨질 정도로 빻아야 된다.
이와 같이 씨앗을 약으로 쓰는 약재는 대부분 껍질이 단단해서 깨트리지 않으면 아무리 달여도 전혀 우러나지 않는다.
한방 민간요법
▶ 소변이 탁할 때 : 익지인4g, 비해4g, 석창포4g, 오약4g, 백봉령4g, 감초 2g 을 물 큰대접으로 하나를 붓고 반쯤 되게 끓인다. 하루 3번 공 복에 복용. 1개월 정도 계속한다.
▶ 오줌싸게 : 계내금 4~5개, 익지인 4g을 노릇노릇하게 볶는다. 볶은 계내금과 익지인에 한 대접의 물을 부어 반으로 줄 때까지 달 인다. 하루에 세 번, 찻잔으로 한 잔씩 복용.
▶ 요실금 치료 : 방광을 따뜻하게 하면서 보해주고 아랫도리의 기운을 북돋우는 마, 인삼, 육계(肉桂), 익지인, 산수유 등의 약재가 들어 있는 처방을 많이 쓴다. 이들은 하나씩 끓여 마셔도 좋다. 특히 익지인과 산수유는 대추 와 함께 각 10g씩 물 1ℓ에 넣고 20분 정도 끓인 다음 수시로 마시면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밤에 자면서 이불에 오줌을 쌀때(야뇨증) : 익지인과 오약을 40g씩 물2ℓ넣고 1ℓ 정도되게 끓여 하루에 3번씩 먹 인다.
▶ 밤에 자면서 이불에 오줌을 쌀때(야뇨증) : 구기자 15g, 상표초 25g, 익지인 1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먹 는다.
▶ 밤에 자면서 이불에 오줌을 쌀때(야뇨증) : 질경이 열매 2g과 익지인 8g,녹 용상대2g을 물 5백㏄를 약물이 1백㏄ 정도로 졸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 하루 3∼5회 찻잔에 따라 마 시게 한다.
▶ 기침을 하거나 웃기만 해도 오줌이 찔끔 찔끔 나오는 요실금 : 익지인과 산수 유, 대추 각 10그램씩 물 1리터에 20분 정도 끓인 다음 수시로 마신다.
▶ 요붕증 : 마, 오약, 익지인; 50g에 쌀을 적당량 씻어 두고 풀을 쑨 다음 보드 랍게 가루낸 오약 20g, 익지인 15g을 고루 섞어 반죽해서 팥알 크 기의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5~20알씩 하루 2번 끼니 사이에 먹 는다.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