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뱀무의 효능
뱀무 - 혈액순환촉진 음위증 정신불안에 효험
장미과의 뱀무속은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 대에 수십 종, 우리 나라에는 2종이 분포하고 있다.
큰뱀무와 뱀무가 자라고 있다.
큰뱀무는 개화기가 6~7월에 결실기는 8~9월이다.
뱀무는 개화기가 6~7월에 결실기는 9월이다. 뱀무는 산과 들의 습기가 있는 풀밭 또는 황무지나 들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여러 개가 모여 나는 뿌리잎은 새깃꼴로 깊게 가라진 모양이 무잎과 비슷하다.
잎자루 끝의 작은 잎은 크고 흔히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는 25~100cm 높이로 곧게 자라며 전체에 털이 나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작고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7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노란색 꽃이 몇 개씩 핀다.
둥그스름한 열매에는 긴 털이 있다. 큰뱀무는 과탁의 털이 뱀무보다 짧고 일반적으로 뱀무는 울릉도,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 자라며 키가 작고 뿌리잎 끝에 붙은 작은잎은 난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보통 둥글며, 줄기 위쪽에 난잎은 홑잎이므로 구 구분할 수 있다.
두가지 식물 모두 어린잎은 봄나물로 식용한다. 뱀무를 수양매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뱀무가 주로 길가나 그늘지고 축축한 곳인 물가에 많이 자라고 그 열매가 중국 이름인 양매(楊梅: 소귀나무의 열매)를 닮았다고 하여 수양매(水楊梅)라고 부른다.
뱀무의 뿌리를 수양매근[水楊梅根: 귀주약초(貴州草藥)], 두훈약근[頭暈藥根: 귀주민간약초(貴州民間藥草)]이라고 하여 약용으로 쓰인다.
다른 이름은 수양매[水楊梅, 지초:地椒: 경신옥책(庚辛玉冊)], 두훈약[頭暈藥, 남포정:藍布正, 노변향:路邊香, 복지황:卜地黃, 봉황와:鳳凰窩, 환골단:換骨丹: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남포정[南布正: 귀주민간약초(貴州民間藥草)], 수익모[水益母: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향계부[香鷄img1.jpg, 노사소: 老蛇騷, 노변황:路邊黃, 오골계:烏骨鷄: 귀주초약(貴州草藥)], 일본수양매[日本水楊梅: 중약대사전], 뱀무, 배암무, 큰뱀무 등으로 부른다.
[채취]
<전초> :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뿌리> : 여름과 가을에 채취한다.
오래된 근경과 뿌리를 캐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성미]
<전초> : <본초강목>: "맛은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뿌리> : <귀양민간약초>: "맛은 맵고 향기가 있으며 성질은 따뜻 하고 독이 없다."
[약효와 주치]
<전초>허(虛)한 것을 보양하고 신(腎)을 튼튼히 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해독한다.
두훈목현(頭暈目眩), 사지 무력, 유정양위(遺精陽萎), 표허감모(表虛感冒), 해수 토혈, 허한 복통(虛寒 腹痛), 월경 불순, 창종(瘡腫), 골절을 치료한다.
1, <본초강목>: "정창, 종독을 치료한다."
2, <아미약식>: "기침, 토혈을 치료한다."
3, <국약적약리학>: "이뇨한다."
4, <귀주민간방약집>: "두훈불면(頭暈不眠), 사지 무력, 식욕부진, 신체 허약을 치료한다. 또한 몽정, 축음(縮陰), 표허열(表虛熱)도 치료할 수 있 다."
5, <사천중약지>: "간기(肝氣)를 평하게 하고 과로에 의한 기침, 폐로성시(肺癆
聲嘶)를 치료한다."
6, <호남약물지>: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기의 순환을 촉진하며 통증을 완화시 킨다."
7, <귀주식약조사>: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부러진 뼈를 재결합 한다."
8, <귀주초약>: "표한(表寒)을 풀고 장(腸)을 튼튼하게 하고 허(虛)를 보하며 혈을 조화시키고 해독한다. 감기를 치료한다." <뿌리>감기, 복통 설사, 신허두훈(腎虛頭暈)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하루 3~5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뱀무 및 큰뱀무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큰뱀무(Geum aleppicum Jacq.) 식물: 높이 약 1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깃겹잎이고 쪽잎은 거꿀달걀 모양이며 톱니가 있다. 여름철에 노란 꽃이 둥근 이삭처럼 모여 핀다. 각지의 산지대와 들판에서 자란다.
성분: 잎과 줄기에 카로틴과 20%의 탄닌질이 있고 뿌리에는 방향성 쓴맛물질, 오리게놀이 주성분인 정유가 약 0.4% 있다.
응용: 민간에서 뿌리 줄기와 전초를 위장질병 특히 출혈성 설사, 점질성 염증, 입 안염, 종양, 고름집, 자궁출혈, 전간, 기침, 열병, 가슴활랑거림에 쓴다.
뱀무(Geum japonicum Thunb.) 다른 이름: 수양매
식물: 높이 약 3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털이 많다. 잎은 무잎처럼 깊이 갈라졌고 이른 여름 노란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다. 중부와 남부 산과 들의 습한 곳에 자란다. 각지에서 널리 자라는 것은 큰뱀 무 이다.
성분: 뱀무와 큰뱀무의 뿌리에는 게인 C21 H30 O11(오이게놀비시아노시드)과 피로갈롤형 탄닌질이 있다. 게인은 오이게놀과 포도당, 아라비노오스로 물분해된다.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정유가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오줌내기약으로 하루 10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민간에서는 적리에 쓴다.
뱀무에 대해서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수양매(水楊梅)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뱀무(Geum japonicum Thunb.)의 지상부이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보익(補益), 익신(益腎), 활혈해독(活血解毒)
해설: ① 어지럽고 눈이 침침하고 무거우며 잠을 못 이루는 증상에 쓰고, ② 허약해서 일어나는 사지무력증, 허약성 해수, 신(腎) 기능 저하로 인한 발기부전, 허약성 정신불안 등에 효과가 있다. ③ 부인의 생리불순과 하복통에 활용된다.
성분: gein, geoside, 정유, tannin,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큰뱀무 및 뱀무의 전초 및 뿌리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전초> 1, 노인성 현훈(眩暈) 뱀무 2냥에 돼지고기를 넣고 고아 그 국물에 연각압란(緣殼鴨卵)을 삶아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2, 두훈동통(頭暈疼痛) 뱀무 1냥, 선도초(仙桃草) 1냥을 가루내어 육탕(肉湯) 또는 유탕(油湯)에 1회 5돈을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3, 허약, 정신 부진, 골증자한(骨蒸自汗) 뱀무 3돈, 지골피(地骨皮) 3돈, 취모단근(臭牡丹根) 3돈, 병아리 1마리를 삶아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4, 허약 해수 뱀무, 황정(黃精), 죽엽황(竹葉黃), 야한소(夜寒蘇), 백인지화근(白인脂花根), 천우슬(川牛膝), 강(薑) 각 3돈을 달여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5, 신휴체약양위(腎虧体弱陽萎) 뱀무 4냥, 구기(枸杞) 2냥, 육계(肉桂) 5돈, 저신(猪腎) 5개를 약한 불에 약 2시간 동안 달여서 3일에 나누어 전부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6, 창질(瘡疾) 뱀무 3돈을 짓찧어 첨주(甛酒=감주:甘酒=단술=식혜)에 달여 복용한다. [귀주성중의험방비방(貴州省中醫驗方秘方)]
7, 여자 소복통(小腹痛) 뱀무 3~5돈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호남약물지(湖南藥物誌)]
8, 월경 불순 뱀무, 혈당귀(血當歸) 각 4돈, 용아초(龍芽草), 대월련(對月蓮), 택란(澤蘭) 각 3돈, 월계화(月季花) 7개를 술 한 근에 담가서 아침 저녁으로 5돈씩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9, 정창 뱀무를 잘 찧어서 붙인다. [귀주초약(貴州草藥)]
<뿌리> 10, 이질과 복통 뱀무 뿌리 5돈을 홍당(紅糖)과 같이 볶아서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11, 풍한(風寒) 감기 뱀무 뿌리 3개를 달여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약초(貴陽民間藥草)]
12, 신양허(腎陽虛), 두현휘(頭眩彙) 뱀무 뿌리 1냥을 고기와 함께 고아서 복용한다. [귀주초약(貴州草藥)]
뱀무 및 큰뱀무는 초여름 노란꽃이 피어 있는 모습이 대단히 아름답다. 각 가정에 텃밭이나 화단이 있다면 뱀무를 잘 가꾸어 노랗게 피는 꽃도 감상하면서 봄에는 나물로 먹거나 가정상비약으로 가꾸어 볼 것을 추천한다.
뱀무의 효능을 정리한다.
보익(補益), 익신(益腎), 활혈해독(活血解毒), 음위증, 어지럽고 눈이 침침하고 무거우며 잠을 못 이루는 증상, 허약해서 일어나는 사지무력증, 허약성 해수, 정신 부진, 골증자한(骨蒸自汗), 장질병인 출혈성 설사, 점질성 염증, 입안염, 종양, 고름집, 자궁출혈, 전간, 정창, 기침, 감기, 복통, 설사, 열병, 가슴활랑거림, 적리, 소변불통, 신(腎) 기능 저하로 인한 발기부전, 허약성 정신불안, 부인의 생리불순, 하복통을 다스리는 뱀무
 ......^^백두대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