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절국대(음행초)의 효능

eorks 2023. 10. 20. 03:44
          절국대(음행초)의 효능
분 류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 절국대속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분 포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원산지 : 한국.
학 명 : Siphonostegia chinensis Benth.
생약명 : 전초(全草)를 유기노(劉寄奴). 금기노(金寄奴).
이 명 : 절굿때, 절굿대, 음행초.
꽃 말 : 경계.
효 능 : 타박상, 화상, 산후복통, 황달, 상처출혈.
개화기 :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엽액에 1개씩 옆을 향해 달려서 수상으로
            되
며 꽃받침통은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2.5-4mm로서 튀어
            나온
 맥이 있으며 소포가 짧다.
            꽃받침은 통부가 길이 10-18mm이고 지름 2-5mm이며 튀어나온 10
            맥
에 깔깔한 털이 있고 피침형의 5개 조각이 있다.
            화관은 길이 2.5cm이며 순형으로서 상순은 곧고 용골상이며 홍자색 얼
            룩
이 있고 겉에 털이 있으며 하순은 끝이 3개로 갈라지고 가운데 조각이
            크고
동글며 겉에 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이나 2강이다.
열 매 : 삭과는 피침형으로 길이 1.5-12cm, 폭 3-4mm이고 털이 없으며 꽃받
          침
에 싸이고 8-9월에 익어 2쪽으로 터진다. 종자는 난형이며 길이
          1/2mm
정도이다.
생 태 : 산비탈 양지바른 풀밭에서 높이가 30-60cm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곧게서며 연한 자줏빛을 띠고 다소 모가 지며 선모와 백색의 부드
          러
운 털이 밀생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줄기 중하부에서도 대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호생하며 엽병은 짧거
          나
없고 우상으로 갈라지고 윗부분의 것은 길이 2-3.5cm로서 3개로 갈
          라지며
열편은 선상 피침형이고 1-3개의 톱니가 있다.

▣ 절국대 (Siphonostegia chinensis) ▣

요약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학명 : Siphonostegia chinensis
분류 : 현삼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 양지바른 풀밭
크기 높이:  30∼60cm


본문
음행초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로 곧게 자란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보통 흰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 모양이며 깃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줄 모양이며 1∼3개의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서 전체가 이삭 모양이 된다. 꽃받침통은 튀어나온 맥이 있다.
화관은 입술 모양으로 위쪽은 겉에 긴 털이 있으며, 밑의 갈래조각은 안쪽에 2개의 주름살이 튀어나온다.
열매는 삭과로서 바소꼴이며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풀 전체를 한방에서 영인진이라고 하며 산후의 지혈·이뇨·수종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종기 피를 멎게 하는 작용,열을 내리고 어혈을 없애며, 혈액순환에 좋다 *

현삼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25~7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보통 흰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있다.
잎은 마주보고 나며 날개형으로 갈라지고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갈라지며 여름철에 꽃이 노랗게 핀다.
절국대 활용법은 절국대를 다른 말로 음행초, 전초를 한방에서 영인진이라고 한다. 7~8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뿌리를 따서 진흙을 깨끗이 씻고 조금 적셨다가 통째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상처를 치료하는 데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곪은 데, 종기에 아주 잘 듣고 피를 멎게 하는 작용도 매우 세다.
   열을 내리고 어혈을 없애며, 혈액순환이 잘되게 한다.

   하루 10~2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를 만들어
   복
용한다.
▶황달, 소변곤란, 타박상에 의한 병증, 혈리, 냉 대하과다, 월경불순, 적취, 산후
   의
어혈정지에 의한 복통을 치료한다.

* 절국대(음행초) *

약명 ; 영인진

상처를 낫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어혈을 없애는 효험이 있다

약재에 대하여

현삼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25~7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보통 흰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있다.
잎은 마주보고 나며 날개형으로 갈라지고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갈라지며 여름철에 꽃이 노랗게 핀다.



약성 및 활용법
절국대를 다른 말로 음행초, 전초를 한방에서 영인진이라고 한다.
7~8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뿌리를 따서 진흙을 깨끗이 씻고 조금 적셨다가 통째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상처를 치료하는 데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곪은 데, 종기에 아주 잘 듣고 피를 멎게 하는 작용도 매우 세다.
   열을 내리고 어혈을 없애며, 혈액순환이 잘되게 한다.

   하루 10~2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를 만들어
   복
용한다.
▶황달, 소변곤란, 타박상에 의한 병증, 혈리, 냉 대하과다, 월경불순, 적취, 산후
   의
어혈정지에 의한 복통을 치료한다. (자료 : 겨레의 자연건강)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경이(차전초)의 효능  (0) 2023.10.22
지골피의 효능  (0) 2023.10.21
팥배나무의 효능  (2) 2023.10.19
죽순의 효능  (2) 2023.10.18
명이나물(산마늘)의 효능  (5) 20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