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목나무의 효능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D3D485DA4575127) 학명 : Lindera erythrocarpa 분류 :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녹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보얀목, 윤여리나무라고도 한다. 개화기 : 4~5월 결실기 : 9월 원산지 : 한국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도 분포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D804F5DA4577B1A) 황해도 이남의 표고 150~1.200m에서 자라며, 경기도 수리산과, 강화도 전등사, 문경새재, 남부 골짜기 전지역에서 자생한다. 비목나무는 높이 10m, 지름 30cm에 달한다. 수피는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늙은 나무에서는 조각으로 떨어지며 털이없다. 잎은 호생하며 우상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도피침 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6~13cm, 넓이1.5~2.5cm로서 잎표면은 윤태가 나고 뒷면은 녹백색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엽병은 길이 7~20mm로서 붉은빛이 돈다. 꽃은 이화가로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황색이며 햇가지 밑의 엽액에서 나온 산형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6~8mm 이다. 수꽃은 6개로 갈라진 화피와 9개의 수술로 되어 있으며, 수술은 밖에서 6개 안에서 3개가 2줄로 배열되고 안쪽의 것은 선체(腺體)가 2개씩 있으며, 암꽃은 1개의 암술과 끝부분이 약간 굵어진 암술대가 있다. 소화경은 길이 12mm 정도로서 잔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지름 8mm 정도이고 9~10월에 3~10개씩 모여서 붉은색으로 익는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CC4A4F5DA457911B) 비목(榧木)나무의 효능
한방에서는, 가지와 잎을 첨당과(詹糖果) 라고 하여, "전신부종의 이뇨와 해독을 위한 약재로 사용하며",
1. 열을내리고, 풍을 몰아내며 뼈와 위를 튼튼하게 하고 마비와 어혈 을 풀어주며, 피를 멎게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며, 통증을 없애는 효 능이 있다고 합니다. 2. 중풍으로 말을 못할때, 아랫배가 차고 아플때, 몸살감기, 타박상, 관절이나 근육이 쑤시고 아플때 약으로 처방합니다.(잎과 열매를 햇볕에 말려 사용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FB7505DA457B128) 민간에서는, 중풍마비, 산후혈액순환 불량, 감기, 몸살, 종기, 타박상, 삔데, 근육통, 관절염, 지혈, 소화불량에 약용하고 있습니다. (열매를 10g을 물 약 700ml를 붓고 달여서 마신다.)
1. 몸살감기,(잎 15g에 물 약 700ml를 붓고 달여서 마신다.)
2. 타박상, 근육통, 관절염, 상처에 피가 날때, 종기가 있을때, (잎을 생으로 짓찧어 바른다.)
식용, 봄철에 어린잎을 데쳐서 떫은맛을 없애고 나물로 먹는다. 또 목재는 재질이 치밀하고 갈라지지 않아 기구재나 조각재로 시용된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3264C5DA457C82B) 열매와 비목차(茶), 비목나무의 열매는 우리가 크리스마스 무렵에 볼수있는 바로! "사랑의 열매" 입니다. 사랑의 열매는 비목나무 열매를 본뜬 것으로 붉은 색인데, 비목나무열매는 파랗지만 10월에 익으면 위에 사진처럼 빨갛게 됩니다.
비목잎과 가지를 이용한 비목차(茶), 비목나무는 잎과 잔가지를 썰어서 응달에서 말려 차로 끓이거나, 우려서 마시면 상쾌한 향이 독특한 차가 됩니다.(뒷맛은 약간 떩은맛이 있습니다.) 마른잎을 우려 마시면 산뜻한 향내가 더 좋지만, 어느정도 오래 끓여도 충분한 향을 느낄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https://t1.daumcdn.net/cfile/cafe/99DD01355E4A72DC1E)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