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는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동의보감에는 羊一日百遍合盖食此草所致故名淫羊藿(양/일일 백편합개/식차초소치/고명음양곽)-양이 하루에 백편합개(*교미)하는것은 이풀을 먹는 소치인 고로 이름을 음양곽<淫羊藿:음탕한 양이 잘 먹는 콩잎(藿= 콩잎 곽)처럼 생긴 풀이라는 뜻>으로 부른다고 나와있고, 다른 문헌에는 산에 올라 음양곽을 먹은 노인이 음심이 솟아 지팡이(杖= 지팡이장)를 내던져 놓고 집의 아내에게 왔다하여 방장초(放杖草: 放=놓을방),기장초 (棄杖草: 棄=버릴기)라 한다는 이야기도 있어, 생식능력을 향상시키는 약재로 널리 알 려져있다. 그외에 선령비(仙靈脾),천량금(千兩金), 건계근(乾鷄筋),황련조(黃連祖)라는 이명이 있 고, 팔파리 라는 우리말도 있다. 최음약 물인 비아그라 출시이후 천연비아그라 라는 수식어를 대표하는 약용식물로 자리매김 했는데, 원래는 중국의 등소평이 백두산자생 삼지구엽초로 담근 선령비주(仙靈脾酒)를반주로 한다는 이야기가 보도되면서 주목을 받기시작했고, 얼마전 방영된 TV드라마 허준에서 소재화 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어 시중 전통찻집의 단골메뉴로도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렇게 강정제로 세간에 알려져 무차별 남획이 시작되었으나, 국가는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어 1997년 희귀및 보호식물선정때 보호식물로 등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삼지구엽초의 잎 우리나라의 삼지구엽초인 에피메디움 코리아눔(Epimedium koreanum Nakai)은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공정생약인 음양곽으로 공정서에 수재되어 있으나, 일본에서는 수재되어 있지 않다. 삼지구엽초는 자생지가 한정이 되어있는 편으로, 강원도와 경기도의 북부지역에 주로 자생하나, 경기 중남부지역에서도 드물게 보인다. 남부지방 일부에서는 꿩의다리 종류를 삼지구엽초로 믿고 주장(?)하는 사람도 종종있 으며, 심지어 약초로 파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자생지는 낮은곳부터 1000m가 넘는 고산지역까지 분포하며,반음지성 식물로 낙엽이 부엽화된 반그늘의 습윤지에서 뿌리로 뻗어 번식하므로, 한 뿌리에 여러줄기가 한다발 씩 모여 있는 형상으로 키큰 활엽수 밑에 주로 자생한다. 원줄기 한 대의 끝에서 3개의 가지(三枝)로 갈라져, 한 가지에 잎이 세장씩 달려 도합 9장의 잎(九葉)이 달리므로, 자연스레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가 되었고, 5월경 맺히는 씨앗에는 표면에 꿀선이 나있어 단것을 좋아하는 개미가 물고 다니면서 씨앗을 퍼뜨리 게 된다. ---------------------------------------------------------- 삼지구엽초의 꽃 - 밑으로 숙여 피고 기다란 꿀주머니가 있다
연한노란색이나 흰색의 꽃은 매발톱풀꽃과 비슷한 모양으로, 4장의 꽃잎이 길게 뻗어 닻모습과 흡사해 닻꽃이라고도 불리우며, 아랫방향으로 피는데 4장의 꽃잎에는 마치 꼬리처럼 생겨 길다란 꿀주머니인 거(距=꿀주머니 거)가 달려있어 독특하다.
암술1개에 수술4개가 있어 일처사부(一妻四夫)로 다른꽃에 비하면 비교적 단란(?)해 보인다. 열매는 작약이나 바꽃열매와 같이 여러개의 씨방으로 이루어져 익으면 벌어지는 열과(裂果)의 하나인 골돌과(??果)로 분과(分果)라고도 한다. 키는 한 자(尺)내외의 30~40cm로 나즈막한 편이다. ----------------------------------------------------------- 삼지구엽초도 민간에서 효능을 과신한 나머지 오.남용의 소지가 많은 식물 중의 하나이므로, 우선 동의보감의 내용을 살펴 본 후 현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효능과 쓰임새를 좀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동의보감을 살펴보면 性溫(一云平)味辛(一云甘)無毒主一切冷風勞氣補腰膝丈夫絶陽不起女人絶陰無子老人昏悛中年健忘治陰?莖中痛益氣力堅筋骨丈夫久服令有子消?下部有瘡洗出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