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구릿대의 효능

eorks 2023. 12. 17. 00:51
                 구릿대의 효능
구릿대의 효능1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
일명 백지, 항백지, 대활, 향대활, 흥안백지, 독활, 토백지, 구리대, 굼배지 분류 미나리과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만주, 동부 시베리아, 일본

줄기는 곧게서며 높이 1~2m이고, 밑부분은 지름 7~8cm인데 윗부분에 잔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점차 적자색으로 변하는데 흰가루가 덮인다.


잎은 3개씩2~3회 깃골겹잎으로 많이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잎의 뒷면은 흰색을 띠며 맥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으며 잎집이 타원모양으로 굵어진다.


꽃은 흰색으로 6~8월에 피며, 20~40개의 산형꽃차례가 모여 겹산형 꽃차례를 이룬다.
총포는 없고 작은총포는 가늘며 작다.
화관은 작으며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이고 1개의 씨방이 있다.

열매는 분과로서 10월이면 익는데, 그 생김은 편평한 타원형이고 기부가 들어간다.
열매는 길이 8~9mm로서 뒷면의 능선이 맥처럼 가늘고 가장자리의 것은 날개모양이며
능선 사이에 1~2개, 합생면에 2~4개의 유관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동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구릿대의 효능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자생하며 주로 산골짜기의 냇가에서 자란다.
지역에따라 구리때, 구릿때, 백지, 구리대, 대활 흥안백지, 독활, 굼배지, 라고도 하나
이명은 지양하는 것이 좋겠다.

뿌리줄기의 겉은 토갈색으로 매우 굵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내린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뿌리를 말려서 만든 생약을, "백지 라 하며 발한, 진정, 진통, 감기, 두통, 치통 등에 처방한다.
잎은 "백지엽 이라 하여 약용으로 쓰인다.


구릿대의 효능 에서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구릿대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깊은 산골짜기와 개울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가을에 줄기가 나오지 않은 구릿대의 뿌리를 캐서, 꼭지와 잔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물에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폐경,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풍한을 없애고 혈을 잘 돌게하며, 고름을 없애고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하며 통증을 멈춘다.
진정작용, 진경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진정, 진경 작용은 "쿠마린성분"에 의하여 나타난다.
풍한두통, 치통, 비연, 유선염, 옹종, 창양, 대하, 장출혈, 치루 뱀에 물린데 등에 쓰인다.
신경통, 요통에도 쓸수있다.
하루 6~12그램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를 내거나 고제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약리학에서는, 유사 안젤리카산, 안젤리콜톡신, 휘발성 정유, 수지를 함유 하며
그 중 프란게니딘 성분이 주름을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다듬는법은,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황정을 썰어서 각각등분하여 쪄서 황정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며
변비에 활용할때는 볶아서 사용하고, 하혈을 할때는 검게 구워서 사용한다.


그러나 이생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된 치료가 비록 많기는하지만,
능히 혈기를 상하니, 많이 쓰거나 오래 쓰는것이, 마땅치 않으므로, 점차 감량 하여야 한다고에 적고있다.

다음에 이생약의 배합례를 들어 본다면, 백지에 황백, 관중탄 을 배합하여 습열 대하를 치유하고, 백지에 웅황, 감초, 유향을 배합하여 모기에 물린데를 낫게하며 백지에 대황을 배합하여 모든 종독을 치유한다.

구릿대의 효능 동의보감에는, 백지가 얼굴빛을 곱게하고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고 나와 있어, 피부를 위한 처방에도 빠지지 않고 쓰고 있다.
1. 외감성으로 인한두통, 코막힘, 콧물이 연이어 나오는 증상.
2. 양명위경 에 작용하므로 위장 장애로 인한 미능골통 및 치통 치료
3.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의 치료율이 높다.
4.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자마비 및 안질환, 부인의 대하에도 유호
5. 소염, 배농 작용이 있어 창양, 종독, 피부궤양치료
6. 대장균, 이질균, 바이러스균, 녹농균등 억제
7. 동물의 연수 혈관 운동 중추, 호흡중추, 미주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작용 구릿대
    의
효능
8. 백전풍, 살갗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9. 은설병,만성피부병으로, 홍반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
색비늘 가루가 생기는 병증
10. 관상동맥의 혈류량 촉진 11.두통치료에 유호
12. 물을 넣고 달인 액은 기능성 두통 치료에 탁월


구릿대의 효능2



구릿대는 산지의 계곡물가나 하천의 물가, 논 주변등 물가나 습지에 난다.
구릿대는 산형과(미나리과)의 2~3년초이다. 
다른 미나리과의 식물들도 습한곳을 좋아 하지만 구릿대는 유독 물기를 좋아 하는데, 아마도 풀 종류 중에서는 미국자리공에 뒤지지 않는 키 1~2m의 덩치와 생장속도를 생각하면 납득이 가기도 한다.


강인한 겉모습과는 어울리지 않게 줄기속이 텅 비어있고 수분이 많다.
구릿대의 생약명은 백지(白芷)로 뿌리를 말려 쓰고, 구리때, 구리대, 굼배지,구룽대 라고도 하며, 향백지(香白芷), 방향(芳香), 백거(白苣), 대활(大活), 향대활(香大活), 택분(澤芬) 등의 한자명이 있고, 구릿대의 특색인 향(香)과 형태, 서식장소의 물기를 표현한 것이다.




구릿대 전초의 모습- 줄기에 약간의 자색이 흰가루에 덮혀있다.
구릿대란 이름은 줄기가 구릿빛이 감돌며 속이 비어있고 키가 커서 마치 대나무 같음을 이르는 말이다.
줄기의 굵기가 풀 종류 같지않게 큰편으로, 줄기 밑부분 지름이 큰것은 7cm를 넘는것도 있다. 
이렇게 줄기가 굵고 키도 2m가 넘어 위풍당당한 모습으로 산형과 식물 중에서 비교적 구분하기 쉬우나,
성장중일 때는 개당귀라 부르는 독초인 지리강활과 흡사하므로 여러가지 특징,
즉 잎의 톱니모습, 붉은반점 여부, 향기등을 알고 있어야 중독사고를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구릿대의 봄싹


구릿대 싹 - 어릴때는 자색이 감돈다.
구릿대는 방향성(芳香性)식물로 봄~여름에 걸쳐 잎과 잎줄기를 데쳐 나물로 먹거나 또는 생으로 그대로 먹기도 하는데, 육질이 많아 씹히는 맛이좋고 향이있어 독특한 나물이다.
좀 매운맛이 감돌기 때문에 데친후 냉수에 담가 우리기도 하지만 이 맛을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나물줄기가 굵어 비빔밥이나 잡채에도 어울리고 튀김으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초여름이 지난 한여름의 큰잎은 먹지 말아야 한다.
구릿대는 미나리과로 같은 미나리과인 독미나리의 식중독성분인 치쿠톡신(Cicutoxin)이라는 독소가 미량들어 있어 과용하게 되면 현기증,구토,경련등의 중독증세를 일으킬 수 있으니 크게 성장하여 성분이 농축된 쇤 잎은 피하고,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위) 개구릿대의 잎 - 구릿대잎보다 조금 가는 편이고 톱니가 더 패여있다.

*지리강활-독초로 잎과 잎줄기가 만나는 부분에 적색반점이 선명하다.-줄기밑둥치도 적색임.

위의 3가지 잎의 종류는 구릿대, 개구릿대, 지리강활의 잎모습으로 지리강활은 독초이다.
지리강활은 지방에 따라 개구릿대,남당귀라고 부르기도하여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지만 참당귀와의 구분으로 개당귀라고 많이 부른다.
구릿대와 개구릿대의 잎은 거의 비슷하게 작은잎이 2~3개로 갈라지고, 개구릿대의 잎은 톱니가 좀더 파이고 잎이 구릿대잎에 비하여 좀더 작다.
구릿대잎은소엽과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0cm, 폭 2-5cm로서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가장자리에 규칙적이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맥위가 때로 거칠어지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때로 맥위와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윗부분의 잎은 작고 엽초는 굵어져서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오리발형)으로 된다.
간략히구릿대 종류의 잎은 잎자루 부분이 오리발 같은 날개가 있는데, 지리강활은 잎 한장한장이 정확히 분리되어 있으며, 가장 큰 특징은 잎과 가지가 만나는 부분에 적색으로 적색점을 찍어 놓은듯 보이는 것이다.


(위) 구릿대의 <포엽> - 꽃송이를 싸고 있는 잎이 <포>인데 포에서도 잎이 나온다

                        (위) 구릿대의 상부- 녹색 또는 연두빛이다.
(위) 내려갈 수록 자줏빛이 조금 감돈다


구릿대-하부는 연한자색에 흰가루가 덮혀 있고 상부에는 털이 조금있다.
구릿대의 줄기는 윗부분에 잔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적자색에 흰가루가 덮여 있고, 천백지(川白芷),홍안백지, 야당귀, 우백지,좁은잎 구릿대 라고 부르는 개구릿대의 줄기는 자색이 뚜렷한 것으로 구분된다.
개구릿대 줄기에 비해 구릿대의 줄기는 연두색을 많이 띄고 있고, 자라나온지 얼마 안되는 줄기는 자색이 별로없는 연두빛으로, 성장함에 따라 자색이 조금 나타나게 된다. 
꽃도 구릿대의 작은 꽃송이는 20~40개이고 개구릿대는 30~60개로 많다. 
또한 개구릿대의 줄기에는 털이 없다.
옛날 민간악기인 단소는 원래 구릿대줄기로 만들었는데, 40여년 전에 단절 되어 잊혀진 것을 몇년 동안이나 조사하여 구릿대 단소를 복원했다는 최근 신문기사도 있다.


(위) 개구릿대의 작은 꽃송이(소산경)는 30~60개로 구릿대의 20~40개 보다 많다.

(위) 개구릿대의 작은 꽃송이 모습
개구릿대는 줄기가 뚜렷한 자색을 띈다.
구릿대의 약효는 동의보감에 따르면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매우며 독이 없다.
풍사(風邪)로 인한 두통으로 어지럽고 눈물이 흐르는것을 멈추게 한다.
월경불통,대하증, 어혈을 풀고 생혈(生血)하며, 임신중 하혈로 유산하려는 것을 안정 시킨다.
젖몽우리(유옹:乳癰), 치루, 옴, 버짐을 낫게하고 지통(止痛)하며 고름을 배출하고 삭혀 새살이 돋게한다.
잎은 역마로 부르며 물로 끓여 목욕하면 시충(尸蟲)이 없어지고, 향을 만드는데 넣기도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
백지의 약효는 진통/진정/진경 작용으로 두통, 치통, 안면신경통, 산전 산후 두통, 어지럼증,유행성감기, 마비 등에 유효하며 또한 지혈작용으로 월경후에도 하혈이 끝나지 않고 계속 조금씩 나올 때나, 대변에 피가 섞여 조금씩 자주 나올 때 백지의 전초를 달여 마시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폐와 대장,위에 작용하므로 부인들의 근심과 걱정, 홧병으로 위장과 간기능이 저하되어 유방에 바둑돌 같은 멍울이 생기고 심하면 유방결핵으로 발전할 수 있는 멍울을 풀어주는 대표적 약재로 여성에게 좋은 약재로 알려져 있다.




구릿대의 씨방
동의보감에는 백지가 얼굴빛을 곱게하고 기미와 주근깨, 흉터를 없앤다고 나와 있어 피부를 위한 처방에도 빠지지 않고 쓰고 있으며,약리학에서 밝힌 바로는 유사 안젤리카산, 안젤리콜톡신, 휘발성 정유, 수지를 함유하며 그 중 프란게니딘(PRANGENIDIN)성분이 주름을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실제 요즈음 판매되고 있는 안젤리카란 화장품은 백지 추출물을 주 원료로 한 것이다.
또한 16세기 중국 의학서인 의학입문(醫學入門) 등에는 역대 왕비들이 사용했던 미백과 관련한 다양한 처방들이 기록되어 있고, 그 중 백지가 포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양귀비도 애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구릿대는 피부에 좋고 안색을 윤택하게 하며, 미백 및 기미제거에 탁월한 효능으로 기재되어 있고, 이것은 멜라닌색소가 피부조직에 밀집되는 것을 예방해 피부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황갈반 치료에도 탁월 하다고한다. 
가히 여자들의 아름다움에 대한 동경은 시대를 초월함을 알 수 있다.

--------------------------------------------------------------------
백지를 얼굴미용에 사용할 때는 백지분말을 증류수나 생수에 차 스픈 1~2개 정도에 농도조절및 중화용으로 밀가루를 적당히 넣고, 미지근한 생수나 증류수를 아주 조금씩 넣어 가면서, 얼굴에 바르기 좋은 점도로 만들어 얼굴에 고루 펴 바르고 20~30분 후 미지근한 물에 닦아낸다음 스킨로션을 바르고 영양크림으로 마무리하면 된다. 피부가 민감할 때는 거즈를 얼굴에 덮은 후 그 위에 팩을 하면 되는데, 사용전 팔꿈치 안쪽등에 발라 패치테스트 하여 적합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주름살, 여드름, 기미, 미백효과를 볼 수 있다.
--------------------------------------------------------------------
백지는 천궁(궁궁이)와 함께 두통의 명약으로 알려져 왔고, 약효도 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임상결과 확인됐다. 10분이내에 두통이 사라진다는 결과보고도 많다.
頭痛須用/川芎如不愈/各加引經藥/太陽羌活/陽明白芷/少陽柴胡/太陰蒼朮/少陰細辛/厥陰吳茱萸-(丹心)두통(頭痛)에는 반드시 천궁(川芎: 궁궁이)을 쓰고, 낫지 않으면 경맥으로 약기운을 끌어 들여 인경(引經)하는 약을 쓰는데, 태양(太陽)경 두통에는 강활(羌活), 양명(陽明) 경의 두통에는 백지(白芷 구릿대), 소양(少陽)경 두통에는 시호(柴胡), 태음(太陰)경 창출(蒼朮), 소음(少陰)경세신(細辛 족도리풀), 궐음(厥陰)경으로 인한 두통에는 오수유(吳茱萸)와 함께쓴다


-(단심)-라고 나와있는데, 태양, 소양, 양명, 태음, 소음, 궐음두통은 "상한론의 육경변증"에 따라 분류를 한것으로 병의진행에 따른 두통의 양상 변화를 설명하는 명칭이다.
두통은 몸의 이상을 알려주는 신호와 같으므로 증세가 잘 낫지않고 지속이 된다면, 빨리 원인을 밝혀내어 치료하는것이 우선으로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태양두통은 처음 감기에 걸렸을때 나타나는 두통으로 오한증세가 동반되고, 소양두통은 주로 측면부위의 두통으로 한열왕래가 함께 일어나고, 양명두통은 주로 전두통(미릉골통)으로, 위장장애가 함께 발생하며, 태음두통은 두통과 함께 몸이 무겁고 설사를 할수 있고, 소음두통은 추위를 많이 타게 되며, 궐음두통은 손발이 차면서 정수리부분에 통증이 올수 있다고 하니 알아두면 두통의 민간약 활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백지와 천궁을 두통에 쓰려면 두가지 약재를 같은양으로 합쳐 가루낸 다음 1회 3~4g씩 1일 3~4회 복용하면 속효가 있다. 가루내기가 번거롭다면 같은 양으로 궁지차(천궁+백지)를 끓여 마셔도 된다.
구릿대만 쓸 때는 신선한 것 12g을 물 200㎖에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식 후에 먹고, 구릿대 12g과 천궁 6g을 함께 달여 하루 2~3번에 나누어 식 후에 먹으면 통증을 멎게하는 효과가 더욱 증대 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



구릿대의 겨울씨방
중국처방으로 변비의 치료에 "구릿대 뿌리를 볶아 가루내어 1회 8그램을 미음에 소량의 꿀을 넣어 복용한다. 
연속 2회 복용한다."-는 것이 십편양방(十便良方)에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 백지는 외감성 두통, 콧물 계속흐름,코막힘과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에 치료율이 높다고 알려졌으며, 풍한습사로 인한 사지마비및 안질환과 소염,배농작용으로 창양,종독, 피부궤양에 활용되어 지고,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높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
백지,천궁 각각 30g을 가루내어 졸인 꿀로 반죽해서 한 알의 질량이 1.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4알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으면, 정유의 고유한 냄새로 하여 입 안의 냄새를 없애고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하여 궤양을 빨리 아물게 한다고 한다.
--------------------------------------------------------------------

백지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소염 및 배농 작용과 항균, 진통 작용을 가지고 있어 감기, 치통, 종기와 궤양 등에 일정한 효능을 나타내고, 백전풍과 피부병의 예방, 치료율을 높이는데 백지의 잎, 뿌리를 모두 진하게 달여 씻거나, 또는 약성이 남을 정도로 태워 분말로 만들어 한번에 4g씩 하루 3번, 더운 술과 함께 먹는다.

또한 두드러기로 갑자기 몸이 가려워지면서 피부에 여러 가지 크기의 발진이 돋는 알레르기성 피부병으로 담마진이라고도하는 피부병에도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
그밖에 백지는 프랑스, 독일, 스위스 등의 유럽국가에서는 머위등과 함께 가장 탁월한 항암치료약으로 인정 받고 있기도 한데, 우리 백지와는 조금 차이가 있지만 소염/배농/항균/진통작용으로 함께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치통에는 백지,세신(족도리풀) 각 8g을 물에 달여 하루3~4번 양치한다.
구강청정 효과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세신은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심장과 폐, 신장에 작용하여,추위를 몰아내어 감기로 인한 두통과 몸살, 복통 등을 치료하고, 진통과 거담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국소 마비작용과 진통작용, 항균작용의 효력이 있다.

---------------------------------------------------------------



구릿대의 뿌리- 잔뿌리가 있고 토갈색이며 속은 희다.
구릿대의 뿌리인 백지는 토갈색으로 꽤 굵고 잔뿌리가 많은데, 초가을 지상부의 잎이 마르면 채취하고 머리부분과 잔뿌리를 다듬어서 물로 세척한 다음 햇볕에 말린다. 또는 뿌리껍질을 긁어서 벗긴다음 썰은 황정과 섞어 찐 다음 황정은 버리고 햇볕에 말려 사용 하기도한다.
이렇게 하여 말린 것을 변비에 쓰려면 볶아서 사용하고, 하혈의 지혈에 사용할 때는 약성이 남아 있을 정도로 검게 구어서 사용한다.


이시진은 -1년생 뿌리를 말린것을 지(芷:구리때 지)라 하는데 백지(白芷)라는
명칭은 이에서 취한 것이다.-라고 햐였는데, 백지는 3년되는 해에 고사하여 죽어 버리기 때문에 2년생을 상품으로 쓰고 있고 1년생은 토갈색보다 흰빛이 많이 감돈다
백지는 썰어 놓으면 당귀, 강활(강호리)등과 모습이 비슷해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워 특유의 향으로 구분하는데, 백지의 향은 강활보다는 약하고, 당귀보다는 강하다.
뿌리모습은 백지는 수염뿌리는 별로 없지만 몸통이 작은것으로 당귀와 구분되며, 벌레가 잘생기는 생약중 하나이므로 자주 햇볕에 말려 주어야 보관중 변질을 막을 수 있다.

--------------------------------------------------------



구릿대뿌리를 썰어 말린 백지의 단면-당귀,강활등과 구별어려우므로 냄새로 식별한다.
백지를 민간요법에 활용할때 주의사항으로는 과량복용으로인한 중독에 주의해야한다.
동의보감에서는 무독으로 나와있지만, 현대 약리학 연구로 소량의 독성이 있는것으로 밝혀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백지는 매운맛의 더운성질인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으로 발산(發散)작용이 있으므로, 체표에 있는 사기를 흩어 감기나 염증초기에 쓰거나, 얼굴과 머리등의 상부에 약성이 집중되어 두통이나 비염등에 쓰여지고 있는 만큼, 과량으로 오래 사용하게 되면 몸의 진액을 마르게 할 소지가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금기사항은 음이 허하여 허열이 뜨는사람(陰虛火旺者:음허화왕자), 혈이 허하여 열이 있는사람(血虛有熱者:혈허유열자)는 사용을 피하고, 옹저이궤(癰疽已潰 :부스럼이 너무심함)에는 용량을 줄여 쓰라고 문헌에 나와있다.
구릿대는 제철에 채취해서 보관해 놓고 두통등의 상비약이나 미용재로 활용한다면 화학제품과 좀더 멀어지게 될 것이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선덩굴의 효능  (0) 2023.12.19
소귀나물의 효능  (2) 2023.12.18
수쿠렁(지랑풀)의 효능  (0) 2023.12.16
원삼 번백초(솜양지꽃)의 효능  (0) 2023.12.15
층층이나무 효능  (0) 2023.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