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개지치의 효능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Brachybotrys pariditormis 분포지 : 중부 북부지방의 깊은산 숲 가장자리. 개화기 : 5~6월, (꽃색 : 자주색), (결실기 : 7월) 높이 : 40cm,(용도 : 식용), 서식장소 : 그늘지고 습한곳. 특징 : 전체에 털이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는다. 아래를 향해달린 자주빛 당개지치 꽃이 너무도 아름답다. ("당꽃마리".....라고도 하며.....꽃말은....."축배") 그늘지고 습한곳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고 군데군데에서 세싹이 나온다.
당개지치의 효능 줄기는 곧게서고 가지가 없으며 높이는 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밑 부분의 잎은 막질(膜質 : 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것)의 잎집 같으며,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긴 잎자루 끝에서 잎몸이 자라기 시작하여 잎자루밑 부분이 넒어지고 잎 표면과 가장자리에 흰색 줄기 끝에서는 마디 사이가 짧아져 5~7개의 잎이 들려난 것처럼 보이는데 이들 잎은 넓은타원 모양 또는 넓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짧은 잎자루와 누운 털이있다.
꽃은 5~6월에 자주빛으로 피고 위쪽 잎겨드랑에서 나온 긴 꽃대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바소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흰색털이 나있다. 화관도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타원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 조각 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짧고 5개이며 잎술대는 1개로 길게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분과,(分果 : 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로 검은 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8~9월에 익는다. 다년생 초본을 원산지는 한국,(강원지역,경기지역),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당개지치는 일체의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만큼 자체 핵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나물이다. 이른봄에 채취해서 끓는물에 데쳐서 기름과 간장을 넣고 무쳐먹거나 기름에 볶아서 먹기도 하며, 물에 데쳐서 말려놓았다가 겨울에 물에 불려서 들기름에 볶아 먹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