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혈, 습비로 인한 사지의 급성 경련, 슬통 즉 무릎이 아픈데, 옹저가 곪아서 아프나 터지지 않는 증상, 피고름제거, 칼 따위에 베인 상처, 외상 출혈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분말을 복용하거나 담근 즙을 복용한다.
외용시 붙이거나 가루내서 개어서 문지른다.
종자의 즙은 갈증을 제거한다.
1, 토혈 버드나무 종자를 불로 살짝볶아 곱게 가루내어 더운 미음으로 복용한다. [경험양방, 유 서산] 2, 칼 따위에 베인 상처 출혈이 멎지 않을 때 버드나무 종자로 칼 따위에 베인 상처를 봉한다. [천금방] 3, 모든 악독, 피고름이 창만하고 아프지만 터지지 않는 때 버드나무 종자를 위에 바르면 농이 나와 독이 감소된다. [외과촬요] 4, 소변 백탁(白濁) 청명때의 버들잎을 달여서 나을 때까지 차 대신 복용한다. [빈호집간방] 5, 병명을 모르는 급성 악성종기 버들잎의 어린 껍질을 끓여서 환부를 씻는다.이때 식염을 조금 가하여도 좋다. 이것은 얼굴 부스럼에도 효과가 좋다. [부후방] 6,고혈압 신선한 버들잎 300그램에 물을 넣고 달여서 100밀리리터가 되면 2회로 나누어 복용 한다.
6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1치료 기간 경과 후 38례를 관찰하였는데 28례는 혈압이 내려가 정상으로 되었고 8 례는 내려갔지만(확장 기압 하강이 10mmHg 이상) 정상까지는 회복되지 않았고 2례는 변화가 없었다.
혈압이 정상치까지 내려간 23례 중 19례를 보름 후에 관찰하였는데 그 중 13례의 치 료 효과가 확실하였다.
반 수 이상의 예에서 현기증, 두통, 불면, 다몽, 야뇨, 입안건조 등이 현저히 경감 되었다.
또 가슴의 X-선 재검사를 시행한 22례 중에서 대동맥궁이 가늘 게 휘어져 연장된 6 례 중 5례가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3례의 안저(眼低)를 재검사했더니 일부 환자가 개선되었다.
약을 복용후 2례에서 상복부 불쾌감이 있었고 또 2례에서는 담마진이 나타나 치료를 중지하였다. [중약대사전, 임상보고] 7,염증 감염 버드나무 어린 가지의 잎으로 주사액(1ml에 생약 1g이 들어 있다)을 만들어 1일 2회, 1회 2ml씩 근육 주사하되 소아에게는 적당히 감량한다.
상기도 감염, 기관염, 폐염, 옹종, 방광염, 화농성 이하선염, 유선염, 인후여 등 각 종 염증 120례를 임상관찰한 결과 치유된 것이 107례로 89.1%를 차지했다.
신선한 버들잎을 졸여서 만든 고약을 종창이 난 환부에 바르되 1일 1회 약을 바꾸어 주면 옹종이 이미 터진 증세에 대해서 치료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 임상보고] 8,지방성 갑상선종 버들잎을 당의정으로 만들어(1알은 생약 2g에 상당)복용한다.
처음에는 1일 8~10알을 2~3회로 나누어 연속 3~4주 복용한다.
그 이후에는 1일 3회, 1회 5알씩 완치될 때까지 복용한다.
아동은 적당히 감량한다.
54례의 환자 중에서 제 1단계의 치료를 거친 후 34례가 호전되어 경부의 주위가 1cm 축소되었고 부은 부위가 1도 혹은 1도 이상 하강 되었으며 자각 증상도 호 전되었다. 측정에 의하면 버들잎에는 요오드가 많은데 신선한 것에는 1kg당 10,000㎍에 달한다.
효과가 비교적 뚜렷하였다.
해대(海帶), 황약자(黃藥子), 백약자(白藥子)를 배합하여 복방 정제를 만들어 쓰면 치료 효과가 더욱 좋았다. [중약대사전, 임상보고] 9,소변이 나오지 않는데 마른 버드나무가지 큰 한줌을 잘 게 썰어 달인 다음 전부 좌통(坐桶: 좌욕기 처럼 생 긴통)안에 넣고 덮개를 덮어 뜨거운 김을 쏘인다.
또한 달인물을 복용한다. [본초강복습유] 10,황달 버드나무가지 3되에 물 1말을 붓고 진하게 달인다.
한번에 반 되씩 복용한다. [외대] 11,급, 만성 간염 1치 이내 어린 버들 가지 80그램에 물 1000밀리리터를 붓고 200밀리리터가 될 때까 지 달여 1일 2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신강중초약단방험방선편] 12,풍에 의한 충치 버들까지 썬 것 1되, 대두콩 1되를 합하여 볶아서 자기 단지 속에 넣어 청주 3되를 부어 3일간 담근다.
이것을 여러 차례 물었다가 뱉는다. [고금록험방] 13,치육종통으로 인한 귀와 머리의 부종 동통 버들까지, 회화나무속껍질, 사시나무껍질 각 한 줌을 잘 게 썰어 1회 20그램을 물 큰사발로 붓고 7할이 될 때 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소금 4그램을 가해서 골고루 섞어 뜨거운 즙을 입에 물고 있다가 식으면 뱉는다.
[태평성혜방, 유지탕] 14,관상동맥, 죽상 경화성 심장병 버들까지로 시럽을 만드는데 100밀리리터 중에 신선한 생약이 225그램 함유되도록 한다.
복용 후 위장 장애가 있는 환자는 보리싹을 100밀리리터에 40그램의 비율로 넣어도 좋다.
1회 50밀리리터씩 1일 3회 복용하며 2개월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40례를 관찰한 결과 협심증 환자 31례 중에서 복용 후 증상이 소실된 것이 14례, 경 감된 것이 13례, 변화가 없는 것이 4례였다.
동계, 가슴울렁거림, 호흡 촉박, 두통, 사지 마비 등의 증상은 정도는 다르지만 대 부분 경감되었거나 소실되었다.
증상이 좋아질 때까지 걸린 시간은 짧은 경우가 2일, 긴 경우가 8주였다.
그 중에는 소변량이 증가되고 부종이 없어져 수면 상태가 개선된 환자도 있었다.
고혈압 합병증에서는 24례가 정도는 다르지만 혈압이 하강되었다.
심전도로 재검사한 35례 중 개선된 것이 15례로서 만성 관상 동맥, 혈액 공급 부전 환자에 대하여 비교적 좋은 치료 효과가 있는 것 같다.
콜레스테롤 수치에는 38례의 분석 결과 뚜렷한 영향이 없었다. 부작용: 복용 후 일부 환자에게서 대변이 묽어지고 횟수가 증가되는 등의 현상이 있었지만 1~2주 이내에 자연히 없어졌다.
소수의 환자에게 담마진, 피부 소양 등이 생기고 또 피부가 청자색으로 된 환자도 있었다. 항알레르기제를 복용하니 1~2주내에 없어졌다. [중약 대사전, 임상보고] 15,만성 기관지염 해수, 가래, 천식에는 모두 단기 치료 효과가 있었으나 단순형에 대하여 비교적 좋 은 효과를 나타냈다.
82례를 관찰한 결과 복용 후 단기 치유가 34례, 현저한 효과가 26례, 호전이 21례, 무효가 1례였다.
복용 후 보편적으로 식욕이 증가되고 수면 상태가 호전되었다.
일부 환자에게서 복용 과량으로 설사, 복통 등을 일으킨 환자도 생겼으나 단기간이 었고 치료하지 않아도 자연히 소실되었다. 용법: 버들까지 150그램을 잘 게 썰어 씻은 다음 물로 달여서 1일 복용량으로 하고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중약대사전, 임상보고] 16,전염성 간염 잎이 달린 버들까지 80그램(마른 것은 40그램)에 물 600그램을 붓고 300밀리리터가 될 때까지 달여 2회로 나누어 복용시켰다.
급성 간염(주로 황달형) 253례에서 유효율이 96.3%였고 복용 기간은 평균 28.5일이 었다.
주요 증상이 소실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식욕 부진이 3.7일, 오심 구토가 2.7일, 복 부 팽창이 7일이었다.
대부분의 환자가 복용후 상복부의 창만감이 없어지고 식욕이 신속히 증진되었으며 기타 소화계 증상도 함께 호전되었고 소변 색도 맑아졌으며 소변량도 증가되었다.
신선한 버들까지와 풍양수지(楓楊樹枝) 각 6000그램으로 주사액 1200밀리리터를 만 들어 1일 4밀리리터(소아는 절반)씩 근육 주사하였다.
이 외에 버들잎과 풍양잎 각 900그램을 증류법으로 주사액 1500~1800밀리리터를 만 들어 1일 2회, 1회 3밀리리터(소아는 절반)씩 근육 주사하였다. 전자는 급성 황달형 간염에 사용하여 주로 황달을 제거하고 중독 증상을 개선하며 후자는 급성 전염성 간염에 사용하여 주로 혈청 효소와 면상 반응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이 외에 버들까지오 풍양가지 각 1200그램과 버들잎과 풍양잎 각 60그램을 탕제로 만들어 2회로 나누어 복용시켜도 좋다.
임상에서 218례를 주사제로 치료하였는데 치유 208례(95.4%), 치료 효과가 좋지 않 은 것(치료 기간이 51일 이상이고 다른 약도 썼다) 10례(4.6%)였다.
임상 결과에 따르면 발병 기간이 짦을수록(1개월 이내)치유율이 높다는 것이 증명되 었다.
복용 후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 3~12일에 황달 증상이 없어진 경우가 74.8%, thymol 혼탁 반응 및 thymol 면상 시험에서 30일 이내에 정상으로 된 경우는 83.1%, transaminase가 30일 이내에 정상으로 된 경우는 83.1%였다.
무기력,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은 3~7일에 기본적으로 소실되었다.
그러나 간경변에 의한 황달, 간기능 이상에 대하여는 효과가 없었다. 잎이 달린 신선한 어린 버들까지 80그램, 혹은 양지(楊枝)와 버들가지 각각 80그램 (신선한 것)을 물로 달여 돈복하거나 2회로 나누어 연속 1주간 복용하면 전염성 간 염에 대해서도 예방 작용이 있었다. [중약대사전, 임상보고] 17,화상, 탕상 신선한 버들까지를 검게 태워(재가 될 때까지 태우지 말아야 한다) 연마하여 체로 쳐서 참기름으로 개어 연고로 만들어 1일 1~2회 환부에 바르고 붕대는 감지 않는 다.약을 바꿀때에는 먼저 바른 약을 닦지 말고 자연히 가피로 되어 탈락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