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Disporum smilacinum 분류 : 현화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형태 : 여러해살이풀 자생지 : 그늘진 숲 속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국내분포지 : 중부 이남 원산지 : 한국 꽃말 : 깨끗한 마음 꽃색깔 : 흰색 개화시기 : 4~5월 개화계절 : 봄 수확시기 : 8~9월 꽃생김새 가지 끝에 1~2개의 작은 흰색 꽃이 고개를 살짝 숙인 채 핌. 꽃잎은 6개로 피침형이고 수술은 6개임. 꽃밥의 길이가 수술대 길이의 1/2 정도임.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짐. (둥글레와 비슷함)
특징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뻗으며 대개 무리지어 자란다. 줄기는 15~30cm 정도로 곧게 서며 가지는 간혹 갈라지기도 한다. 장타원형의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길이 4~7cm, 폭 1.5~3.5cm 정도로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부분은 갑자기 좁아져서 원줄기에 달린다. 4~5월에 가지 끝에 1~2개의 작은 흰색 꽃이 고개를 살짝 숙인 채 핀다. 꽃잎은 6개로 피침형이고 수술은 6개이다. 꽃밥의 길이가 수술대 길이의 1/2 정도이다.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장과인 열매는 8~9월에 파란색에서 검은색으로 익는다. 중부이남 산의 그늘진 숲 속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다년생초본이다. 원산지는 한국이고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죽대아재비와 비슷하지만 꽃이 가지끝에 달리는것이 다르다열매는 8월에 성숙되어 9월까지 파란색에서 검은색으로 익기시작하며 둥글고 지름7mm정도 크기의 흑색으로 익으며 식용, 약용으로 사용한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根莖(근경) 및 根(근)을 石竹根(석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서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潤肺(윤폐), 止咳(지해), 健脾(건비), 消積(소적)의 효능이 있다. 虛損 咳喘(허손해천), 痰中帶血(담중대혈), 腸風下血(장풍하혈), 食積腸滿 (식적장만), 폐결핵, 폐기종, 장염, 大腸出血(대장출혈), 치질을 치료한 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바른다. 애기나리 큰애기나리 모두 약용으로 사용한다 * 몸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해수 천식과 가래에 피가 섞이는 증상에 활용된다. * 건위 소화작용이 있어서 음식의 소화가 안 되거나 복부창만 증상을 치료한다. 석죽근은 .윤페.지해.건비.소적.의 효능이 있으며 자양강장.냉습.페결핵.페기종.장염.대장출혈.치질.의 치료에 사용한다 또한 어린순은 나물로도 먹는다 * 대장 출혈에도 지혈반응을 보인다. 한방에서는 보주초라고 하고 위가 튼튼해지고,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으며, 천식, 기침이 심할 때 약으로 처방합니다... 양기를 돋우고 장을 튼튼히 할 때는 뿌리를 푹 달여 먹으면 효과가 있다합니다..
먹는법 - 봄에 어린순과 잎을 살짝 데쳐서 양념장에 무쳐먹는데 씹히는 맛이 연하고 맛이 달콤함. - 생잎을 샐러드나 생무침으로 해 먹어도 되며 부침이나 튀김으로 해 먹어도 된다. - 살짝 데쳐서 말려두었다가 묵힌나물로 먹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