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명시

김용호(金容浩)님의 詩

eorks 2007. 4. 23. 08:11

김용호(金容浩)님의

      1.<눈오는 밤에> 오누이들의 정다운 얘기에 어느 집 질화로엔 밤알이 토실토실 익겠다. 콩기름 불 실고추처럼 가늘게 피어나던 밤 파묻은 불씨를 헤쳐 잎담배를 피우며 "고놈, 눈동자가 초롱 같애." 내 머리를 쓰다듬어 주시던 할머니, 바깥엔 연방 눈이 내리고 오늘밤처럼 눈이 내리고. 다만 이제 나 홀로 눈을 밟으며 간다. 오우버 자락에 구수한 할머니의 옛 얘기를 싸고, 어린 시절의 그 눈을 밟으며 간다. 오누이들의 정다운 얘기에 어느 집 질화로엔 밤알이 토실토실 익겠다. --------------------------------- 2.-주막(酒幕)에서- 어디든 멀찌감치 통한다는 길 옆 주막 그 수없이 입술이 닿은 이 빠진 낡은 사발에 나도 입술을 댄다. 흡사 정처럼 옮아 오는 막걸리 맛 여기 대대로 슬픈 노정(路程)이 집산(集散)하고 알맞은 자리, 저만치 위엄 있는 송덕비(頌德碑) 위로 맵고도 쓴 시간이 흘러가고……. 세월이여! 소금보다 짜다는 인생을 안주하여 주막을 나서면, 노을 비낀 길은 가없이 길고 가늘더라만, 내 입술이 닿은 그런 사발에 누가 또한 닿으랴 이런 무렵에. ----------------------------------------
김용호 : (金容浩, 1912~1973).경남 마산 출생. 호는 학산(鶴山) 또는 야돈(野豚). 마산상고를 졸업했으며 일본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과 졸업. 1936년경부터 창작 활동을 시작하여 노자영이 주 재한 <신인문학>에 시<첫여름 밤 귀를 기울이다>를 발표한데 이어, <쓸쓸하던 그날>, 민족의 비분을 읊은 장시 <낙동강>, 단시 <하루> 등을 발표했고, 김대봉과 알게 되어 <맥>동인이 됨. 이때부터 적극적인 문학 활동을 하게 되었고, 박노춘의 소개로 첫시집<향연>을 동경에서 발행. 광복 후에 발표한 제 2시집<해마다 피는 꽃>에는 유학 시절의 민족의식을 느끼게 하는 시 <간다 거리에서>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어 <시문학 입문>, 서사시 <남해찬가>,<한국 애정명시선>을 간행했고, 1952년에는 시 <또 한 송이 모란> 등 50편을 수록한 제3시집 <푸른별>을 상재한 바 있음. 그는 시를 재치로 쓸 것이 아니 라 가슴으로 써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현실 인식이 남달리 강 해 제 2시집에서 민족의 암담한 시절의 비분을 노래했는데 이 경향은 특히 장시<낙동강>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시집에 <향연>, <낙동강>(1943),<부동항>(1943),<해마다 피는 꽃>(1948), <푸른별>(1952), 서사시집<남해찬가>,<날개>(1956) 등이 있음. --------------------------------------------------------

......^^백두대간^^........白頭大幹

'한국의 명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혜원님의 詩  (0) 2007.04.23
신동집(申瞳集)님의 詩  (0) 2007.04.23
박노해님의 詩  (0) 2007.04.22
김규동님의 詩  (0) 2007.04.22
홍사용(洪思容)님의 詩  (0) 2007.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