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시조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이 황 -

eorks 2007. 11. 21. 00:04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이    황 -


    [현대어 풀이] [1]이런들 어떻고 저런들 어떻겠는가? 시골에만 묻혀 살아가는 어리석은 사람이 이렇게 산다고 해서 어떠하리오. 하물며 자연을 끔찍히도 사랑하는 이 병을 고쳐서 무엇 하겠는가? [2]안개와 노을로 집을 삼고 풍월로 벗을 삼아 태평성대에 병으로 늙어 가네 이러한 가운데 바라는 일은 허물이나 없고자 한다. [3]순풍(순박하고 좋은 풍속)이 죽었다 하는 말이 진실로 거짓 말이로구나 사람의 성품이 어질다하는 말이 진실로 옳은 말이로구나 천하에 허다한 영재를 속여서 말씀할까. [4]그윽한 향기의 난초가 골짜기에 피어 있으니 자연히 좋 구나. 백운이 산에 걸려 있으니 자연히 보기가 좋구나. 이러한 가운데에서 저 한 아름다운 분(임금)을 더욱 잊지 못하는구나. [5]산 앞에 대(臺)가 있고 대 아래에 물이 흐르는구나. 떼를 지어서 갈매기들은 오락가락 하는데 어찌하여 새하얀 망아지는 멀리 마음을 두는가. [6]봄바람에 꽃이 산을 뒤덮고 가을 밤에 달은 누각에 가 득차는구나. 네계절의 아름다운 흥이 사람과 마찬가지라 하물며 천지조화의 오묘함이야 어느 끝이 있을까. [7]천운대를 돌아서 완락재가 맑고 깨끗한데 많은 책을 읽는 인생으로 즐거운 일이 끝이 없구나. 이 중에 오고가는 풍류를 말해 무엇할까. [8]벼락이 산을 깨쳐도 귀먹은 자는 못 듣나니 태양이 하늘 한가운데 떠 있어도 장님은 보지 못하나니 우리는 눈도 밝고 귀도 밝은 남자로서 귀먹은자와 장님 같지는 말아라(학문을 닦아 도를 깨우치며 살자). [9]옛 훌륭한 어른이 지금의 나를 못 보고 나도 고인을 뵙 지 못하네 고인을 뵙지 못해도 그분들이 행하시던 길이 앞에 놓여 있으니, 그 가던 길(진리의 길)이 앞에 있으니 나 또한 아니 가고 어떻게 하겠는가? [10]그 당시에 학문에 뜻을 두고 실천하던 길을 몇 해나 버려두고 어디에 가서 다니다가 이제야 돌아왔는가? 이제라도 돌아왔으니 다른 곳에 마음을 두지 않으리라. [11]청산은 어찌하여 항상 푸르며, 흐르는 물은 어찌하여 밤낮으로 그칠 줄을 모르는가 우리도 그치지 말아서 오래도록 높고 푸르게 살아가 리라. [12]어리석은 사람도 알며 실천하는데,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성인도 못 다행하니, 그것이 또한 어려운 일이 아니겠는가? 쉽거나 어렵거나간에 (학문 수양의 생활 속에서)늙어 가는 줄을 모르노라. *초야우생 : 시골에 묻혀 사는 어리석은 사람(겸손의 표현) *천석고황 : 세속에 물들지 않고 자연에 묻혀 지내고 싶은 마음의 고질병 *순풍 : 예부터 내려오는 순박한 풍속. 특히 뒷사람들이 본받아야 할 도의나 윤리를 가리킴 *교교백구 : 현인이나 성자가 타는 새하얀 망아지 *머리 마음하는고? : 멀리 마음을 두는가? 멀리 가려고만 하는가? 기를 버리고 딴 데 뜻을 지니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를 지님. *어약연비 : '고기는 뛰고 솔개는 난다'는 말로 <시경>에 나오는말. 천지 조화의 묘함을 이름. *운영천광 : 구름의 그림자와 밝은 햇빛. 만물의 천성을 얻어 조화를 이룬 상태 *소쇄한데 : 기운이 맑고 깨끗함. *만권생애 : 만 권이나 되는 많은 서적을 쌓아 두고 그것을 읽고 연구하는 데 한평생을 바치는 일 *이목총명 : 눈도 밝고 귀도 밝음. 여기서는 학문을 닦아 도를 깨달은 상태를 의미함. [창작 배경] 퇴계 이황이 관직에서 물러나, 안동에 도산서원을 건립 하고 후진을 교육하여 양성시키고 있을 때, 1565년(명종 20년)에 지은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12수로 이루어진 연시조로 이 작품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때를 만나고 사물에 접하여 일어나는 감흥을 읊은 전6수는 "언지(言志)"이고, 학문과 수덕(修德)의자세 를 노래한 후 6수는 "언학(言學)"이다. 전후 각 6수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산 전후 육곡' 또는 '도산 육곡' 이라고도 불리는데, 지은이의 친필로 된 목판본이 도산서 원에 전해진다. [1] :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천석고황) 아름다운 자연에 순응하면서 순리대로 살아가려는 마음을 노래함 [2] : 자연에의 동화 아름다운 자연을 벗하여 살며 태평성대 속에 병으 로 늙어가는 작자의 모습, 이는 마치 한 폭의 동양 화 속의 신선과 같은 모습으로 연상된다. 사실 이 병(病)은 이 작품이 작자의 만년(晩年)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노병(老病)으로 풀이 할 수도 있겠으나 초장에서의 천석 고황(泉石膏 )의 상태나 앞 시조 로 미루어 보아 자연을 사랑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는 병으로 해석을 하고 보면, 이 작품의 내용 과 분위기가 더더욱 운치가 있을 것이다. [3] : 후덕하고 순박한 풍습 강조 순자의 성악설을 반대하고 맹자의 성선설을 지지 하는 성리학적 입장이 나타나 있다. 또한 세상의 많은 영재들에게 성선설의 옳음을 말하며, 순박하 고 후덕한 풍습을 강조하고 있다. [4] :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연군지정) 벼슬 자리를 떠나 자연에 흠뻑 빠져 지내면서도 임금을 잊지 못해 그리워하는 정을 노래함. 이 작 품에 등장하는 난초와 흰 구름은 인간의 영욕 성쇠 (榮辱盛衰)로 점철이 된 속세와는 무관한 것들로 탈속(脫俗)한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는 비유어들 이다. [5] : 자연을 멀리하는 현실 개탄 산 앞에는 낚시터가 있고 대 아래에는 맑은 물이 있으며 여기에 또한 갈매기들까지 내 벗이 되어 오락가락하는 이 좋은 곳을 놓아 두고 왜 먼지 낀 속세만을 그리워하고 갈망하는가 하고 세속인들 을 나무라고 있다.'교교 백구(皎皎白駒)는 본래 '현자(賢者)가 타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현자의 뜻 으로 새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결국 종장에서는 글이나 좀읽고 수양을 쌓았다는 자들이 입신 양명 에만 눈이 어두워 아름다운 자연을 등지는 안타까 운 현실을 개탄하고 있다. [6] : 대자연의 웅대함, 오묘함 예찬 초장에서 꽃피는 봄, 달뜨는 저녁의 경치를, 그리고 종장에서는 물 속의 고기떼와 하늘의 소리개, 구름 이 흐르고 해가 비치는 대자연의 모습을 그려서 한 없이 아름답고 끝없이 흥겨운 대자연의 조화를 무 척 로맨틱하게 얘기하고 있다. 한마디로 대자연의 웅대함에 완전히 도취된 작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 는 작품이라 하겠다. [7] : 독서하는 즐거움 일생을 학문의 연구에만 전념한 석학(碩學)인 작자 가 독서면학(勉學)의 즐거움과 그 여가에 산책하는 여유 있는 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8] : 진리 터득의 중요성 여기서 '우뢰'나 '해'는 '진리', 곧 도(道)를 지칭하 고 '귀머거리'와'소경'은 '진리'를 터득하지 못한 자, 곧 '속세의 일에만 연연하여 인간의 참된 도리 를 망각한 자'를 나타내고있다. 그래서 진리를 깨 닫지 못하는 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걸 경계하며 반드시 '진리의 길'을 걸어야하는 인간의 참된 도 리를 밝히고 있다. [9] : 옛 성현의 도리를 본받고자 함 옛 성현들의 인륜지도(人倫之道)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니, 우리도 그 길을 실천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대구법과 연쇄법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10] : 학문 수양에 대한 새로운 다짐 퇴계가 23세 때 등과하여 치사 귀향(致仕歸鄕)한 것은 69세 때였다. 젊을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가 수양의 정도(正道)를 버리고 벼슬을 지낸 자신을 후회하면서, 이제 깨달음을 가졌으니 늦지 않게 학문 수양에 힘쓰리라는 다짐을 하고 있다. [11] : 학문 정진에의 의지 청산과 유수라는 자연의 영원 불변성을 소재로 하여, 그러한 자연을 닮아 변치 않는 지조와 인 품으로 살아가겠다는 다짐과 아울러 교훈적인 의미를 전하고 있다. 정신적인 학문 수양을 꾸준히 그침없이 나아가 한결같은 마음으로 '만고상청'하는 우리의 삶을 이루어 보자는 내용이다. [12] : 학문에의 영원한 정진 학문에 뜻을 둔다는 것은 어리석은 사람도 쉽게 알며 행하려고 하지만, 막상 그 실천의 과정에 서는 성인이라도 끝없는 학문의 길을 못 다 이 룬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학문 수양의 길이 쉽든 어렵든 간에 실 천해 나가고 있는 중에는, 몰입하고 있는 자신 이 세월이 흘러 늙어가는 것 또한 모를 정도라 고 하면서 영원한 학문 수양의 길을 강조하고 있다. [개관 정리] ▷성격 : 연시조(12수), 교훈가 ▷구성 및 주제 前(1 ∼ 6) : 언지(言志). 자연에 대한 감흥 後(7∼12) : 언학(言學). 학문 수양의 자세

......^^백두대간^^........白頭大幹
2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