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부 가(漁夫歌) - 이 현 보 -
[현대어 풀이]
[1]이러한 가운데(사람의 생활 중에서) 근심이 없는 것은 어부
의 삶이로다.
조각배를 넓은 바다에 띄워 두고서
인간 세상을 모두 잊었으니 날이 가는줄을 알겠는가?
[2]아래를 굽어 보니 깊고 푸른 물이 흐르고 있고, 주위를 돌
아보니 겹겹이 둘러 싼 푸른 산이로구나.
열 길이나 되는 붉은 먼지(어지러운 세상사)로 얼마나 가려
져 있는가?
강촌에 달이 밝게 비추니 마음에 아무 근심이 없구나.
[3]푸른 연잎에다 밥을 싸고 푸른 버들가지에 잡은 물고기를
꿰어,
갈대꽃이 우거진 떨기에 배를 매어두니,
이런 일반적인 맑은 재미를 어느 사람이 알 것인가.
[4]산머리에는 한가로운 구름이 일고 물 위에는 갈매기가 날
고 있네.
아무런 사심없이 다정한 것으로는 이 두 가지뿐이로다.
한평생의 근심 걱정을 잊어 버리고 너희들과 더불어 놀리라.
[5]서울 쪽을 향해 돌아보니 궁궐이 여기서 천 리 밖에 있구나.
고깃배에 누워 있어도 나라 일을 잊을 틈이 있겠는가?
두어라 내가 근심하지 않아도 세상을 구제할 현인이 없겠느냐?
* 노적화총 - 갈대와 물억새
* 일반 청의미 - 자연의 참된 의미
[창작 배경]
<어부가>는 작자가 관직을 은퇴하고 나서 자유롭게 강촌의 향
취를 만끽하는 어부로서의 생활을 담은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조선 명종 때 이현보가 지은 5수의 연시조다. 작자는 고려때
부터 전해오던 12장의 장가를 9장으로 개작하였고, 이를 다시
개편하여 5수의 시조 형태로 남겼다. 명칭상 장가 '어부가'와
구별하여'어부단가'라 부르기도 한다. 시적 주인공인 어부의
형상을 설정하고 추상적인 어부 생활을 묘사하고 있는 제 1수
에 이어 제2,3,4수에서는 강호 자연에서의 어부의 생활을 구체
적으로 형상화하며, 제5수에 이르러서는 현실사회를 잊지 못
하는 시인의 내면 의식을 보여준다. 결국, 이 작품은 실제로 강
호 자연으로 물러난 시인의 내면화된 현실 지향 의식을 드러내
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한운'과 '백구'라는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사물과의 합일을
통해 현실을 잊고자 한다.'한운'과 '백구'는'무심'하고'다정'한
대상물로, 현실을 떠나 어디에도 얽매임이 없이 일체가 되고
싶은 자연물을 형상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현실 지향의 내면을
표현하게 되는데 이를 보여주는 제재가 '장안'이나 '북궐'이다.
이 시조의 국문학상의 의의는 전대의 '어부가'를 이현보의 어
부가가 개작한 데서 알 수 있듯이 강호 자연에 은거한 어부의
생활을 읊는 전통이 이미 존재했으며, 이 전통이 윤선도의 어
부사시사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개관 정리]
◇ 성격 : 연시조(5수), 강호한정가
◇ 표현 : 화자를 어부로 설정하여 어부 생활의 흥취를 표현
하고있지만, '천심녹수', '만첩청산' 같은 상투적 한자
어를 많이써서 정경 묘사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데
그침.
◇ 구성
제1수 : 인세(人世)를 잊은 어부의 한정
제2수 : 강호에 묻혀 사는 유유자적한 생활
제3수 : 자연의 참된 의미를 아는 사람이 적음을 탄식함.
제4수 : 근심을 잃고 한가롭게 지내고 싶은 소망
제5수 : 우국충정
◇ 주제 : 강호에 묻혀 지내는 어부로서의 삶과 한정
◇ 전승과정 : '어부가'는 고려 때부터 장가 12장, 단가 10장
으로 전해져 왔는데, 이현보가 이를 장가 9장과 단가 5장
으로 개작 하였다. 이로 보아 일찍이 강호에 은거하는 어
부의 생활을 읊는 문학적 전통이 있었으며, 윤선도의 '어
부사시사'도 이런 맥락에서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화자의 시선 이동과 내면 의식
현실을 지향하는 시인의 내면 의식은 시적 화자의 시선 이
동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엽편주' 속에 있던
화자의 시선이 2, 3에서 '녹수'와 '청산'의 경계로 옮겨졌다.
그리고 4에서 '산두'와 '수중'이라는 먼 곳으로 옮겨지더니,
5연에서 마침내'장안'의 '북궐'을 지향하기에 이른다. 이러
한 시선의 이동은 시적 화자가 자연 속에 있으면서도 내면
은 어느 정도 현실 사회에 대한 관심을 지니고 있음을 암시
하는 것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