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이 얼어 잘이 - 한 우 -
어이 얼어 잘이 므스 일 얼어 잘이
원앙침(鴛鴦枕) 비취금(翡翠衾) 어듸 두고 얼어 잘이
오늘도 찬비 맛자신이 녹아 잘까 하노라.
[현대어 풀이]
◎어찌하여 얼어서 주무시려고 합니까, 무슨 일로 얼어 주무
시렵니까?
◎원앙새를 수놓은 베개와 비취색의 이불을 어디에 두고 얼어
자려 하시나이까?
◎오늘은 차가운 비(한우)를 맞고 오셨으니, 따뜻하게 녹여 드
리며 잘까 합니다.
[창작 배경]
조선 선조때, 임제가 평양 기생인 한우에게 읊어 보
<한우가~북창이 맑다커늘∼>에 대하여, 한우가 화답한 노래
이다. 다사로운 인정이 넘치며, 중의적 수법에 의한 '한우가'
의 구애의 노래도 은근하거니와, 거기에 같은 중의적 수법으
로 화답한 한우의 시상도 뛰어나다고 하겠다.
[이해와 감상]
한우와 함께 술잔을 나누던 임제가 '찬 비 맛잣시니 얼어 잘
까 하노라'하는 노래를 읊었다. 그러자 한우는 그 마음을 모
르는 척 '어이해서 무슨 일로 얼어 주무시려고 합니까?'하며
노래를 보낸 임제의 마음을 슬쩍 떠보았다. 그리고 찬비를 맞
은 임제를 따뜻하게 녹여 자겠다는 한우의 표현에서 서로에
대한 은근한 애정이 오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직접적인 표현이라기보다는 은유적이고 간접적인 표현의 비
유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찬비는 한우의 이름을 빗댄 표현이
다. 한우의 시조는 이처럼 자신의 이름을 우의적으로 이용함
으로써 시조의 서정적 분위기가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유희
적이면서도 순발력있는 기지를 느끼게 한다
[정리]
□ 성격 : 평시조, 연정가
□ 표현 : 중의적 표현
□ 주제 : 구애를 허락함.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