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시조

굼벙이 매암이 되야∼ - 지은이 미상 -

eorks 2008. 1. 27. 08:47
굼벙이 매암이 되야∼
                                                                            - 지은이 미상 -

                     굼범이 매암이 되야 나래 도쳐 나라 올라.
                     노프나 노픈 남게 소�l난 죠커니와
                     그 우희 거�些� 이시니 그를 조심하여라.



            [현대어 풀이]
            ◎굼벵이가 매미가 되어 날개가 돋아서 날아 올라
            ◎높고도 높은 나무 위에서 우는 소리는 좋지마는
            ◎그 위에 거미줄이 있으니 그것을 조심하여라.


            [배경 고사]
            중국 <해록쇄사(海錄碎事)>에 보면, 초나라 때 '공사'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느날 임금을 모시고 앉아 있다가 거미
            줄에 곤충들이 걸리는 광경을 보게 되었다. 이에 그는 크게
            탄식하며 "벼슬이란 사람의 거미줄이다."라고 말한 뒤에 벼
            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살았다는 일화가 있다.


            [이해와 감상]
            "느리고 추한 굼벵이가 산뜻한 매미가 되었다. 날개가 돋아서
            날쌔게 날아 올라가, 높은 나무 위에서 의기양양하여 즐겁게
            울어대서 좋기도 하겠구나. 그러나 네가 그토록 즐겁게 노래
            부르고 있는 바로 그 나무 위에, 네 머리 위에 거미줄이 쳐져
            있으니 그것을 조심하여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갑작스런 입신출세는 좋지만, 분에 맞지 않는 영달이란 더욱
            위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항상 조심하고 만사에 신중을 기하
            는 것이 인생을 착실하게 살아가는 길일 것이다. 이 작품은 벼
            슬살이하는 관리가 체험에서 우러나온 깨달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날개돋은 매미 → 벼슬자리에 오른 인물
            * 높은 나무에서의 소리 → 권세를 부림
            * 거미줄 → 권세를 잃어 버릴 수 있는 경계의 상황 벼슬길에서
                              의 함정(宦海風波)을 뜻하며, 작자의 깨달음이 응
                              축되어 있는 핵심어.


            [정 리]
            ◇ 성격 : 평시조, 경계가(警誡歌)
            ◇ 표현 : 비유적
            ◇ 주제 : 분수에 넘치는 권력 행세에 대한 경계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