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지혜

전통 혼례 홀기(笏記)

eorks 2008. 5. 10. 07:31

전통 혼례 홀기(笏記)
    
    1.行親迎禮(행친영례)
      1)壻出乘馬以二燭前導
        (서출승마이이촉전도)
         신랑이 나와서 말에타면 두 사람이 청사초롱을 들고
         앞에서 인도한다
      2)執雁者亦居其次
       (집안자역거기차)
         기럭아비(執雁者)는 그 다음에 선다
      3)至女家 壻下馬于大門外 入俟干次
       (지여가 서하마우대문외 입사간차
         신부의 집에 도착하면, 신랑은 대문 밖에서 말에서 내려
         자리에 들어가 기다린다.
    
    2.行奠雁禮(행전안례)
      1)壻出次至門外東面
        (서출차지문외동면)
         신랑이 자리에서 나가 문 밖에 이르러 동쪽을 향해 선다.
      2)執雁者立右小退
        (집안입우소퇴)
         기럭아비는 오른쪽에 서서 조금 뒤로 물러 선다.
      3)主人出門西向揖
       (주인출문서향읍)
         주인이 문에 나와서 서쪽을 향해서 읍(揖) 한다.
      4)壻出者進授于壻
       (서출차진수우서)
         기럭아비가신랑에게 기러기를 준다.
      5)壻受雁奉之左首
       (서수안봉지좌수)
         신랑은 기러기를 받아 머리가 왼쪽으로 가게 한다.
      6)主人先行至廳事
       (주인선행지청사)
         주인이 앞서서 대청으로 간다.
     7)壻從之
       (서종지)
        신랑이 뒤따라 간다.
     8)主人升自조階入西向
      (주인승자조계입서향)
       주인이 동쪽 계단으로 올라와 서쪽을 향해 선다.
     9)壻升自西階 北向귀 置雁于地
       (서승자서계 북향귀 치안우지)
       신랑이 서쪽 계단으로 올라와 북쪽을 향해 무릎을
       꿇고, 기러기를 바닥에 놓는다.
    10)主人侍者受之(母及奉무可也)
       (주인시자수지(모급봉무가야))
       주인의 시자가 받는다.(어머니나 유모가 받아도
       무방하다).
    11)壻면伏興再拜
       (서면복흥재배)
       신랑이 엎드렸다가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12)무奉女出中門
       (무봉여출중문)
       유모가 딸을 데리고 중문으로 나간다.
    13)壻揖之 降自西階 壻遂出門外
       (서읍지 강자서계 서수출문외)
       신랑은 읍하고 서쪽 계단으로 내려가, 드디어
       문 밖으로 나간다.
    14)女從之
       (여종지)
       신부가 뒤따라 나간다.
    15)壻擧轎簾以俟
       (서거교염이사)
       신랑이 가마의 발을 들고 기다린다.
    16)女乃登轎
       (여내등교)
       신부가 비로소 가마에 오른다.
    17)무遂下簾
       (무수하염)
       유모가 드디어 발을 내린다.
    18)壻乘馬先婦轎行
       (서승마선부교행)
       신랑은 말을 타고 먼저 가고, 신부는 가마를
       타고 간다.
    19)婦轎亦以二燭前導
       (부교역이이촉전도)
       신부의 가마도 역시 두 개의 청사초롱이 앞에서
       인도 한다.
    20)壻至家立于廳事
       (서지가입우청사)
       신랑이 집에 도착하면 대청에 선다.
    21)俟婦下轎
       (사부하교)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기를 기다린다.
    22)揖而導入
       (읍이도입)
       읍하고 인도해 들어간다,
    
    3.行交拜禮=행교배례
     1)婦從者布壻席于東方
       (부종자포서석우동방)
       신부의 수모가 신랑의 자리를 동쪽에 깐다.
     2)壻從自布婦席于西方
       (서종자포부석우서방)
       신랑의 시반이 신부의 자리를 서쪽에 깐다.
     3)壻관于南 婦從者沃之 進세
       (서관우남 부종자옥지 진세)
       신랑이 남쪽에서 손을 씻되, 신부의 수모가 물을
       따라 주고 수건을 올린다.
     4)婦관于北 壻從自沃지 進세(各從者皆以其家女人爲之)
      (부간우북 서종자옥지 진세(각종자개이기가여인위지))
       신부가 북쪽에서 손을 씻되, 신랑의 시반이 물을
       따라 주고 수건을 올린다.(시반이나 수모는 모두
       그 집 여인으로 한다). 
     5)壻揖婦俱就席 相向立
       (서읍부구취석 상향입)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모두 자리에 나아가 마주
       보고 선다.
     6)婦先再拜 壻答一拜
       (부선재배 서답일배)
       신부가 먼저 두 번 절하고, 신랑?답례로 한 번 절한다.
     7)婦又再拜 壻又答一拜
       (부우재배 서우답일배)
       신부가 또 두 번 절하면, 신랑은 답례로 한 번 절한다.
     8)壻揖婦俱就坐
       (서읍부구취좌)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모두 자리에 앉는다.
     9)從者심酒設饌
       (종자심주설찬)
       수모가 술을 잔에 따르고 안주를 차린다.
    10)壻婦各察酒擧효(小傾于地以효小許置于卓子)
       (서부각찰주거효(소경우지이효소허치우탁자))
       신랑과 신부는 술을 조금 땅에 붓고 안주를 든다.
       (술은 조금 땅에 기울이고 안주를 조금 집어 탁자
       에 올려 놓는다).
    11)又심酒
       (우심주)
       다시 술을 따른다.
    12)壻揖婦擧飮不察無효
       (서읍부거음불찰무효)
       신랑은 신부에게 읍하고 술을 들어 마시는데,
       땅에 기울이지 않고 안주는 들지 않는다.
    13)從者又取근杯分置 壻婦之前
       (종자우취근배분치 서부지전)
       수모가 또 표주박을 가져다가 신랑과 신부 앞에
       나누어 놓는다.
    14)又심酒
       (우심주)
       또 술을 따른다.
    15)壻揖婦擧飮不察無효(俗從者手掛彩絲 壻盃回歸 
        婦盃回壻 是亦無妨)
      (서읍부거음불찰무효(속종자수괘채사 서배회기
       부배회서 시역무방))
        신랑이 신부에게 읍하고 술잔을 들어 마시는데,
        땅에 기울이지 않고 안주는 들지 않는다(풍속에
        손에 채색 실을 걸어 신랑의 술잔은 신부를 돌고,
        신부의 술잔은 신랑을 도는데 이 역시 무방하다).
    16)壻出他室 무與婦留室中
       (서출타실 무여부유실중)
        신랑은 다른 방으로 나가고, 유모는 신부와 함께
        그 방 안에 머무른다.
    17)撤饌 置室外 設席
       (청찬 치실외 설석)
        상 위에 음식을 거두어 방 밖에 놓고 자리를 마련
        한다.
    18)壻從者릉婦之餘 婦從者릉壻之餘
       (서종자릉부지여 부종자릉서지여)
        신랑의 시반은 신부가 먹다 남긴 음식을 먹고,
        신부의 수모는 신랑이 먹다 남긴 음식을 먹는다.
    19)復入脫服燭出
       (복입탈복촉출)
        도로 들어가 옷을 벗으면 촛불을 내온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척간에 호칭과 촌수따지는 법  (0) 2008.05.11
우리나라 24절기  (0) 2008.05.11
옛날 혼례식  (0) 2008.05.08
◐세시풍속[歲時風俗]◑(5)  (0) 2008.05.08
◐세시풍속[歲時風俗]◑(4)  (0) 2008.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