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강노지말( 强弩之末)

eorks 2009. 9. 9. 07:22

故 事 成 語


강노지말( 强弩之末)


                        强:
강할 강, 弩:쇠뇌 노, 之:어조사 지, 末:끝 말

    강한 활에서 쏘아진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없어져 맥을 추지 못한다.
    강대한 힘도 최후에는 쇠퇴하여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는 말


    漢(한)나라는 개국 당시부터 줄곧 북쪽의 흉노로부터 시달림을 받았다.
    거듭되는 침범에 高祖(고조)가 몸소 대군을 이끌고 출진하다가 흉노에 포
    위당하여 간신히 풀려다는 곤욕도 치렀다.
    막강한 한나라도 흉노에 는 친화술로 대처했다.
    고조는 흉노의 우두머리 선우에게 미인과 막대 한 예물을 보내면서 형제
    국으로 지내자는 조약을 맺고 해마다 선물을 보내주기로 했다.
    그러나 흉노는 그 후에도 조약을 깨고 이따금 변경 을 넘어와 약탈소동을
    벌이곤 했지만 한나라는 그때마다 쫓아내기만 할 뿐 전면 전쟁은 피했다.
    이런 상태가 수십 년 지속되고 있던 어느 해 흉노가 한나라에 사신을 보내
    어 화친을 요청해왔다.
    武帝(무제)는 이 일에 대한 중신들의 의견 을 물었다.
    王恢(왕회)라는 중신은 화친을 극력 반대하면서 흉노는 항 상 중원을 침략
    하려는 야욕을 갖고 있으므로 이 기회에 흉노 토벌을 주 장했다.
    당시 한나라의 국력은 절정에 달해 있었다.
    그러나 어사대부 韓安國(한안국)은 왕회의 의견을 반박하고 나섰다.
    "우리 군대가 아무리 강하다고 해도 수천리길을 원정하게 되면 지칠대 로
    지칠 겁니다. '강한 화살도 종말에는 얇은 비단조차 뚫지 못하게 됩 니다.
    (强弩之極矢 不能穿魯縞·강노지극시 불능천노호)' 본래 힘이 없 는게 아니
    라 막판에 힘이 쇠약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흉노를 토벌 하기보다 그들의 화친 요청을 들어주는 게 옳다고 여
    겨집니다."
    다른 중신들도 한안국의 말에 동조하자 무제 또한 옳다고 여겨 흉노와 화
    친하게 된다. 세차게 날아가던 화살도 마침내 수그러져 힘없이 땅에 떨어
    진다.

    - [출전]《史記》<漢長孺列傳> -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권유익(開卷有益)  (0) 2009.09.11
개과천선( 改過遷善)  (0) 2009.09.10
간장막야(干將莫耶)  (0) 2009.09.08
간담초월(肝膽楚越)  (0) 2009.09.08
간담상조(肝膽相照)  (0) 2009.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