晉(진)나라 惠帝(혜제)때 양흠 지방에 周處(주처)라고 하는 난폭스럽기 짝 이 없는 사나이가 있었다. 그의 아버지가 태수 벼슬을 했을 정도로 좋 은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주처 가 여남은 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집안이 기울면서 빗나가기 시작 했다. 집을 뛰쳐나온 주처는 하루종일 거리를 헤매며 나쁜 짓을 골라가며 했다. 힘이 천하 장사인데다 주먹을 거칠게 휘두르고 다니니 사람들은 그를 멀 리서만 봐도 슬슬 피해 다녔다. 그런 거리의 무법자 주처가 어느 때부터 인가 사람이 달라지고 있었다. 무엇이 계기가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자 신의 과오를 뉘우치고 새 사람이 되려는 모습이 뚜렷했다. 어느날 주처는 마을 사람들에게 "여러분들은 왜 나만 보면 얼굴을 찡그리 십니까?"하고 물어보자 어느 간 큰 사람이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은 이 지방의 3害(해)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오. 남산에 있는 사나 운 호랑 이와 長橋(장교) 아래에 있는 蛟龍(교룡)과 당신이 바로 그 세가지 해로 움이오." 이 말을 들은 주처는 더욱더 새사람이 되겠다는 각오를 다지면서 사람들 에게 3해의 제거를 약속했다. 그는 남산에 올라가 호랑이를 잡아 죽이고 천신만고 끝에 교룡도 처치하 고 돌아왔다. 그래도 사람들은 별로 반갑게 맞이하지 않았다. 주처는 다시 한번 착한 사람이 되겠다는 결심을 굳히 고 당대의 대학자인 陸機(육기) 陸雲(육운) 형제를 찾았다. "자네가 굳은 의지를 가지고 지난날의 허물을 고치고 새롭게 착한 사람 이 된다면(改過自新;改過遷善) 자네의 앞날은 무한한 것일세. 지난 일은 마음 에 둘 필요가 없네" 육기 형제의 격려를 받고 열심히 학문을 닦은 주처는 10년 후엔 마침내 대 학자가 될 수 있었다.
이 성어는 자신의 허물을 고친다는 의미에서 '개과자신(改過自新)'이라 고 도 한다. 그 외에도 개사귀정(改邪歸正)과 방하도도(放下屠刀)라는 말도 함께 사용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