擧 : 들 거 案 : 소반 안 齊 : 가지런할 제 眉 : 눈썹 미 밥상을 눈썹까지 들어 올린다. 아내가 남편을 지극 정성으로 공경함. 사마천의 《史記》에 이런 내용이 있다. 계구사(季臼使)가 기(冀)라는 곳을 지나 다가 들에서 김을 매고 있는 기결(冀缺)의 아내가 점심을 내온 것을 보았다. 둘 사이가 어찌나 친근하 면서도 조심하는지 돌아와서 문공에게 이렇게 말했 다. "경(敬)이란 덕(德)이 모인 것인데, 덕은 백성을 다스리는 것입니다. 대왕께선 그를 채용하십시오." 후한(後漢) 시대 양홍(梁鴻)이라는 사람의 처 맹광(孟光)의 이야기다. 맹광은 뚱보인데다 얼굴이 추하고, 게다가 얼굴빛이 새까맸다. 하지만 미녀 에게는 없는 것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손쉽게 돌절구를 들어올릴 정도로 힘이 세었다. 더욱이 마음이 상냥하고 그 언행에 조금도 나무랄 데가 없었다. 마을에서는 평판이 좋아 사방에서 혼담이 들어왔으나 맹광은 계속 거절했다. 그리하여 마침내 서른 살이 되어 버렸다. 맹관은 혼담이 들어오는 족족 퇴박 하더니 양홍이라는 돼지치기에게 시집을 가겠다고 했다. 그래서 맹광의 부친 이 양홍을 찾아가서 청혼을 했다. "댁의 따님이 그렇게 원하신다면 기꺼이 맞이하겠습니다." 양홍이 청혼을 받아들이자 맹광은 양홍의 희망대로 신변의 일용품만 가지고 시집을 왔다. 이튿날부터 즉시 허술한 옷으로 갈아입고 머리도 트레머리로 하고 친정에 있 을 때와 같은 복장을 했다. 양홍은 그러한 아내를 보고 흡족해 했다. "당신은 정말로 나의 아내다." 당시는 왕망(王莽)이 정권을 빼앗아 국호를 신(新)이라 칭한 때로, 그의 악정 을 견디지 못해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는 등 천하가 어지러웠다. 양호은 학 식이나 인품이 높아 사방의 반란자나 그 부하들로부터 끊임없이 유 혹을 받았 다. 그러나 그는 유혹의 손길을 피해 돼지치기를 그만두고 맹광과 함께 산속 으로 들어가 버렸다. 산속에다 양홍은 땅을 갈고, 맹광은 베를 짜며 2년간을 살았다 이윽고 산속에까지 유혹의 손이 뻗치자 두 사람은 오(吳)나라에 가서 이름을 숨긴 채 어느 집의 작은 방 하나를 빌려 살았다. 양홍은 매일 삯방아를 찧으러 나가고, 그 근소한 수입으로 겨우 목구멍에 풀 칠할 정도였다. 그런데도 맹광은 매일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 치마를 입고서 남편을 따뜻 이 맞았으며, 밥상을 눈썹 높이 들어 공손히 남편에게 식사를 권했다. 常荊釵 布裙 每進食 擧案齊眉(상형재포군 매진식 거안제미) 이 맹광의 고사에서 허술 한 옷차림을 가리켜 형채포군(荊釵布裙)이라 하고, 부인이 예절을 다해 남편 을 섬기는 것을 거안제미(擧案齊眉)라 하게 되었다. 그리고 형처(荊妻)라는 말도 생겼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재두량(車載斗量) (0) | 2009.09.14 |
---|---|
거자일소(去者日疎) (0) | 2009.09.13 |
개권유익(開卷有益) (0) | 2009.09.11 |
개과천선( 改過遷善) (0) | 2009.09.10 |
강노지말( 强弩之末) (0) | 2009.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