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백리부미(百里負米)

eorks 2010. 2. 4. 09:58
故 事 成 語


백리부미(百里負米)


百:
일백 백. 里:마을 리, 負:짐질 부, 米:쌀 미

  백 리나 떨어진 먼 곳으로 쌀을 진다는 말로,                                   
가난하게 살면서도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봉양을 잘하는 것을 뜻함.


     춘추시대 공자(孔子)의 제자 자로(子路)는 효성이 지극하기로 이름이 나
     있었다.

     하루는 자로가 공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무거운 물건을 지고 먼 곳으로 갈 때에는 땅의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고
     쉬게 되고, 집이 가난하여 부모님을 모실 때에는 봉록의 많고 적음을 가
     리지 않고 관리가 됩니다.

     옛날 제가 두 부모님을 섬길 때는 항상 명아주잎과 콩잎과 같은 나쁜 음
     식을 대접 하여, 직접 쌀을 백 리 밖에서 져 오게 되었습니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남쪽의 초나라에서 관리가 되었을 때는 수레는 백
     대나 되었고, 창고에 쌓아 놓은 쌀이 만 종이나 되었으며, 깔개를 포개 놓
     고 앉아 솥을 늘어 놓고 먹었는데, 명아주잎과 콩잎을 먹고 직접 쌀을 지
     고 가기를 원 했지만 할 수 없었습니다.

     마른 물고기를 묶어 놓은 것은 어찌하여 썩지 않습니까?

     두 양친의 수명은 흰 말이 달려 지나가는 것을 문틈 으로 보는 것처럼 순
     간일 뿐입니다."

     공자가 감탄하며 말했다.

     "자로가 부모님을 섬기는 것은 살아 계실 때는 힘을 다해 섬기고, 죽은 후
     에는 그리움을 다하는구나."


     [출 전]《孔子家語》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0) 2010.02.04
백면서생(白面書生)  (0) 2010.02.04
백룡어복(白龍魚服)  (0) 2010.02.04
백 락 자(伯樂子)  (0) 2010.02.03
백락일고(伯樂一顧)  (0) 201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