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백아절현(伯牙絶絃) 伯:맏 백. 牙:어금니 아, 絶:끊을 절, 絃:악기줄 현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뜻. 곧 ① 서로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벗[知己]의 죽음을 이르는 말. ② 친한 벗을 잃은 슬픔.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에게는 그 소리 를 누구보다 잘 감상해 주는 친구 종자기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그려내려고 시도 하면 옆에서 귀를 기율이고 있던 종자기의 입에서는 탄성이 연발한 다.
"아, 멋지다. 하늘 높이 우뚝 솟는 그 느낌은 마치 태산(泰山)같군."
"응, 훌륭해. 넘칠 듯이 흘러가는 그 느낌은 마치 황하(黃河)같군."
두 사람은 그토록 마음이 통하는 연주자 였고 청취자였으나 불행 히 도 종자기는 병으로 죽고 말았다.
그러자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거문고의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기를 가리켜 지음이라고 일컫는 것은 이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유사어]지음(知音)
[출 전]《列子》
......^^백두대간^^........白頭大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