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자조슬(視子蚤蝨) 視:볼 시. 子:아들 자. 蚤:벼룩 조. 蝨:이 슬 사람 보기를 벼룩이나 이를 보듯 한다는 뜻으로, 큰 인물을 본 후에 작은 인물을 보면 벼룩이나 이처럼 보인다는 말. 임금은 다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신하의 일은 신하가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예컨대 정치 를 하는 사람은 자기의 개인적인 능력에 의지하지 말고 정치적인 기구 와 제도를 먼저 완비해야 한다. 송나라의 대부 자어(子圄)가 공자와 송나라의 태재(太宰: 재상)를 만나 도록 알선했다. 자어가 태재에게 물었다. "공자는 만나니 어떻습니까?" 태재가 말했다. "내가 공자를 본 후에 당신을 보니 마치 벼룩이나 이처럼 보입니다(視 子蚤蝨). 이제 임금님을 만나도록 주선하겠 소이다." 자어는 공자가 임금에게 잘 보일 것을 두려워하며 한마디 했다. "만약 태재께서 공자를 임금님께 보인다면 결과가 좋지를 않을 것입니 다." "그게 무슨 말이요?" "생각해 보십시오. 임금님께서 공자를 만나고 난 후 태재 를 본다면 마 치 벼룩이나 이 처럼 잘게 보일 게 아니오." 그 말을 듣고 태재는 공자를 임금께 데려가지 않았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자우환(識字憂患) (0) | 2010.03.16 |
---|---|
식 언(食 言) (0) | 2010.03.16 |
시위소찬(尸位素餐) (0) | 2010.03.16 |
시 오 설(視吾舌) (0) | 2010.03.15 |
승당입실(昇堂入室) (0) | 201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