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운용지묘(運用之妙)

eorks 2010. 4. 1. 22:37
故 事 成 語


운용지묘(運用之妙)


運:
운전할 운, 用:쓸 용, 之:어조사 지, 妙:묘할 묘

宋나라의 용장 岳飛(악비)가 한 [그때 그때 변하는 상황에 따라 활용하고
   대처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에 달린 것이다]란 말에서 나옴.                     
아무리 좋은 제도라도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의 마음 여하에 달린 것이기
   때문에 임기응변이나 융통성의 중요함을 강조한 말이다.                        


     여진족이 세운 金나라 대군이 남쪽으로 밀고 내려와 송나 라 수도 개봉을 함락
     시켰다.

     황제 휘종과 그 아들 흠종 그 리고 황후 고관들이 사로잡혀 북방으로 끌려갔다.

     이로써 송나라는 사실상 멸망한 것이다. 이 때까지의 9168년간 을 北宋(북
     송)
이라 하고 흠종의 동생인 고종이 강남으로 난을 피해 항주에 도읍하여 송나
     라를 이은 후부터 남송이 라 한다.

     이때 남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금나라에 항전한 사람이 宗 澤(종택)이었다.

     그의 휘하에 악비라고 하는 젊은 장수가 있었다. 그는 과감한 작전으로 수차례
     공을 세웠다. 어느 날 종택은 악비에게 말했다.

     "그대의 용기와 능력은 옛 맹장도 못미칠 것 같네. 하지만 한가지 해주고 싶은
     게 있어. 그대는 野戰(야전)을 좋아하 는데 그건 최상책이라고는 할 수 없네."

     이렇게 말하면서 종택은 군진을 펴는 방식을 그린 陳圖(진 도)를 펼쳐 보였다.
     그러나 악비는 수긍하지 않고 말했다.

     "진을 쳐놓고 싸우는 건 전술의 상식입니다. 하지만 그 진 을 운용하는 묘는 마
     음 하나에 달려있다(運用之妙 存乎一 心)고 생각합니다"


     악비는 백성들의 추앙을 받는 명장이 되어 금나라 군사를 무찔렀지만 금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는 秦檜(진회)의 모함 으로 목숨을 잃는다.



     [출 전]《宋史》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주유악(運籌유幄)  (0) 2010.04.03
운우지정(雲雨之情)  (0) 2010.04.02
우도할계(牛刀割鷄)  (0) 2010.04.01
우공이산(愚公移山)  (0) 2010.04.01
요원지화(燎原之火)  (0) 2010.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