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우도할계(牛刀割鷄)

eorks 2010. 4. 1. 22:31
故 事 成 語


우도할계(牛刀割鷄)


牛:
소 우. 刀:칼 도. 割:벨 할. 鷄:닭 계

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 작을 일을 하면서 동작이 지나치게 큼.


     孔子(공자)는 평소에 治國(치국)의 요체로써 禮와 樂을 강조한 바 있
     다. 한 번은 제자 자유(子遊)가 다스리고 있는 무성(武城) 땅을 지나게
     되었다.

     거리에선 거문고와 비파 소리가 들려오며, 그 소리에 맞추어 詩書를
     읊조리는 소리 가 들려왔다.

     孔子는 弟子가 長이 되어 다스리는 이 고을 에서 현가(絃歌) 소리를 듣
     고, 평소의 가르침이 실현되는 것을 보고 기쁘게 여기면서 농담을 섞
     어 한마디 했다.

     "자유야, 무성같은 작은 고을을 다스리는데 그리 허풍스럽 게 현가같
     은 것을 가르칠 필요가 뭐 있느냐? 닭을 잡는데 소를 잡는 큰 칼을 쓰
     지 않아도 될텐데."


     "저는 선생님으로부터 사람 위에 서서 백성을 다스리는 자 는 禮樂을
     배움으로써 백성을 사랑하게 되고, 또한 백성은 禮樂을 배움으로써 온
     유하게 되어 잘 다스려지며, 禮樂의 길은 상하간에 중요하다고 배워,
     오직 이 가르침을 따랐을 뿐이옵니다."

     孔子가 가벼운 농담으로 한 말을 제자 자유가 진정으로 받 아 들이는
     눈치를 보고, 孔子는 자신의 말을 후회했다.

     牛刀割鷄는 작은 일을 도모(圖謨)하는데 격식에 맞지않게 일을 크게
     벌리는 경우라 할 수 있겠다.



     [출 전]《論語》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우지정(雲雨之情)  (0) 2010.04.02
운용지묘(運用之妙)  (0) 2010.04.01
우공이산(愚公移山)  (0) 2010.04.01
요원지화(燎原之火)  (0) 2010.03.31
요동지시(遼東之豕)  (0) 2010.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