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상가옥(屋上架屋) 屋:집 옥. 上:위 상. 架:시렁 가. 屋: 집 옥 쓸데 없이 중복시켜 볼품없게 만듦. 「낙양지귀(洛陽紙貴·낙양의 종이값을 올림)」의 故事를 만들어낸 좌사(左 思)의 삼도부(三都賦)는 본디 아무도 알 아주지 않던 작품이었는데 대시인 장화(張華)가 評을 하면 서 일약 베스트 셀러가 되었다. 그래서 명사에게 序文(서문) 이나 書評을 부탁하는 일은 예부터 있었다. 이럴 때 부탁 받은 사람은 대개 '좋게' 써주는 게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범작(凡作)이나 심지어 졸작(拙作)마저 그럴 듯한 書評 을 써준다면 독자를 기만하는 행위가 된다. 중국이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워낙 인정에 약해 그런 예가 많았다. 동진(東 晋)의 문 장가 유천(庾闡)은 양도부(揚都賦)를 지어 당시 세도가이자 친 척 이었던 유량(庾亮)에게 評을 부탁했다. 물론 萸亮(유량)은 정 의(情誼)때문에 과장된 評을 해주었다. 『左思의 三都 賻와 비교 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 그 결과 사람들이 양도부(揚都賻)를 다투어 베끼는 바람에 한 때 종이값이 오를 정도였다. 하지만 당시의 고관(高官) 사안(謝案)은 달랐다. 그의 작품은 반고(班固)의 양도부(兩都賦)나 장형(張衡)의 양경부(兩京賦), 그리고 左思의 三都賻의 아류(亞流)에 불과하지 않은가. 그래서 謝案은 혹평을 했다. 『말도 안되는 소리! 지붕 위에 또 지붕을 얹은 꼴이구먼(屋上架屋) 』屋上 架屋은 본디 옥하가옥(屋下架屋) 이라 했다. 지금은 「屋上屋」으로 줄여서 말하기도 한다. 괜히 쓸데없이 중복시켜 볼품 없게 만드는 것을 뜻한다. ......^^백두대간^^........白頭大幹 |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능제강(柔能制剛) (0) | 2010.04.05 |
---|---|
위편삼절(韋編三絶) (0) | 2010.04.05 |
월 단 평(月旦評) (0) | 2010.04.05 |
월하빙인(月下氷人) (0) | 2010.04.04 |
원입골수(怨入骨髓) (0) | 2010.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