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유능제강(柔能制剛) 柔:부드러울 유, 能:능할 능, 制:억제할 제, 剛:굳셀 강 부드러운 것이 능히 강하고 굳센 것을 누른다. 어떤 상황에 대처할 때 강한 힘으로 억누르는 것이 이기는 것 같지만 부드러움으로 대응하는 것에 당할 수는 없다는 뜻.
병서(兵書)인 '삼략'에는 이런 대목이 있다.
"군참(軍讖)에서 이르기를 '부드러움은 능히 굳셈을 제어 하고(柔能制剛) 약 한 것은 능히 강함을 제어한다. 부드러 움은 덕(德)이고 굳셈은 적(賊)이다. 약함은 사람들의 도움 을 받고 강함은 사람들의 공격을 받는다."
'군참'이란 전쟁의 승패를 예언적으로 서술한 병법서다. 이와 비슷한 말이 노자(老子)에도 더러 실려있다.
'노자'76장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사람은 생명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는 부드럽고 약하지만 죽음을 당하게 되 면 굳고 강해진다. 풀과 나무도 살아있을 때는 부드럽고 연하지만 죽게 되 면 마르고 굳어진다. 그러 므로 굳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 다. 그렇기 때문에 군대가 강하게 되면 멸망하고 나무가 강해지면 꺾이게 된다. 강하고 큰 것은 아래에 자리 하게 되고 부드럽고 약한 것이 위에 자리를 잡 는다."
'노자'78장에는 이런 글도 보인다.
"이 세상에서 물보다 더 부드럽고 약한 것은 없다. 그렇지만 굳고 강한 것을 치는 데 물보다 나은 것은 없다.
물의 역할 을 대신할 만한 것은 없는 것이다.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 기고 부드러운 것이 굳센 것을 이긴다는 것은 세상 사람 모 두가 알건만 그 이치 를 실행하는 사람은 없다."
치망설존(齒亡舌存)이란 말도 있다. 단단하고 강한 이는 깨 지더라도 부드 러운 혀는 훨씬 더 오래 남는다는 뜻이다.
설원(說苑)이라는 책에 전하는 이 말도 강하고 모진 것은 쉽 게 망하고 부드 럽고 순한 것이 오래 간다는 것을 가르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