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

eorks 2010. 4. 5. 23:20
故 事 成 語


유지경성(有志竟成)


<有:
있을 유. 志:뜻 지. 竟:마침내 경. 成:이룰 성

굳건한 뜻이 있으면 반드시 이루어낸다.


     漢나라를 찬탈한 왕망에 반기를 들고 일어난 劉秀(유수)의 수하에 경
     엄이란 장수가 있었다.

     원래 글 읽는 선비였던 그 는 병법과 무예에 뛰어나 적잖은 전공을 세
     움으로써 유수의 신임은 각별했다.

     마침내 유수는 後漢의 光武帝(광무제)가 되었는데 어느날 광무제는
     경엄에게 張步(장보)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한나라의 맥을 이은 후한이 세워졌지만 아직도 각지에는 상 당한 병
     력을 가진 세력들이 준동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 장보의 병력이 가
     장 세었다.

     경엄이 공격해 온다는 보고를 받고도 장보는 풋내기의 烏合 之卒로
     여겼다가 초전에서 크게 낭패를 보았다.

     파죽지세로 진격한 경엄의 부대는 임치의 동쪽 성에 이르러 장보의
     주력 부대와 맞붙게 되었다.

     이 싸움에서 경엄은 허벅다리에 화살 을 맞고 피투성이가 되었지만
     부하들을 독려하며 앞장서 싸 웠다. 그러나 고전을 면할 수 없었다.

     이런 전황을 보고 받은 광무제는 몸소 군대를 이끌고 경엄을 도우러
     나섰다.

     그때 경엄의 부하 한 사람이 원군이 올 때까지 잠시 후퇴했다가 병력
     을 재정비하여 다시 싸우자는 건의를 했다.

     그러자 경 엄은 호통치며 말했다.

     "황제가 오시는데 소를 잡아 술상을 차려놓고 맞지는 못할 망정 어찌
     섬멸하지 못한 적군을 남겨둔단 말인가?"


     사기충천한 경엄군은 임치를 함락했고 원군을 이끌고 온 광무제는 이
     렇게 경엄에게 칭찬했다.

     "옛날에는 韓信이 역하(歷下)를 함락시켜 한나라의 기초를 이룩하더
     니 이제는 그대가 천하를 안정시킬 수 있게 했구려.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이루어낸다(有志者事竟成)더니."



     [출 전]《後漢書》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덕양보(陰德陽報)  (0) 2010.04.07
은감불원(殷鑑不遠)  (0) 2010.04.06
유능제강(柔能制剛)  (0) 2010.04.05
위편삼절(韋編三絶)  (0) 2010.04.05
옥상가옥(屋上架屋)  (0) 201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