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

eorks 2010. 4. 9. 07:38
故 事 成 語


이심전심(以心傳心)


以:
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心:마음 심.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는 말.


     송(宋)나라의 중 도언(道彦)이 석가 이후 고승들의 법어 (法語)를 기록한
     《전등록(傳燈錄)》에서 보면 석가가 제 자인 가섭(迦葉)에게 말이나 글이
     아니라 '이심전심'의 방법으로 불교의 진수(眞髓)를 전했다는 이야기가 나
     온다.
 
     이에 대해 송나라의 중 보제(普濟)의 오등회원(五燈會元) 에는 다음과 같
     이 적혀 있다. 어느 날 석가는 제자들을 영산(靈山)에 불러 모았다.

     그리고 그들 앞에서 손가락으로 '연꽃 한 송이를 집어 들고 말없이 약간 비
     틀어 보였다[ 華].'
제자들은 석가가 왜 그러 는지 그 뜻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가섭만은 그 뜻을 깨닫고 '빙긋이 웃었다[微笑].' 그제야 석가는 가
     섭에게 말했다.

     "나에게는 정법안장[正法眼藏:인간이 원래 갖추고 있는 마 음의 묘덕(妙
     德-매우 뛰어난 덕)]과 열반묘심[涅槃妙心: 번뇌(煩惱)를 벗어나 진리에 도
     달한 마음], 실상무상(實相 無相:불변의 진리), 미묘법문(微妙法門:진리를
     아는 마음), 불립문자 교외별전 불립문자(不立文字 敎外別傳:모두 언어 나
     경전에 의하지 않고 '이심전심'으로 전하는 오묘한 뜻.

     곧, 진리는 마음에 의해서만 전해지고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함)
     이 있다. 이것을 너에게 전해 주마."


     [동의어]염화미소(拈華微笑).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출 전]《五燈會元》〈傳燈錄〉《六祖壇經》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판사판(理判事判)  (0) 2010.04.10
이전투구(泥田鬪狗)  (0) 2010.04.09
이목지신(移木之信)  (0) 2010.04.09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0) 2010.04.08
이관규천(以管窺天)  (0) 201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