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이판사판(理判事判) 理:이치 이. 判:쪼갤 판. 事:일 사. 判:쪼갤 판
뾰족한 방법이 없어 막다른 상황에 이름.
朝鮮時代 抑佛政策은 승려들로 하여금 두 가지 방향에서 활로를 모색케 했다.
사찰을 존속기키는 것과 佛 法의 맥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부 승려들은 廢寺를 막기 위해 온갖 고난을 이겨내고 寺院의 유지 경영에 헌신했다.
이와는 달리 속세를 피해 운둔하면서 參禪 과 讀經으로 佛法을 이은 승려도 많았다.
前者를 事判僧, 後者를 理判僧이라고 했다.
자연히 양자간에는 특징이 있게 되었다. 일부 事判僧에는 敎理에 어 두운 凡僧이 있었고, 理判僧은 공부에만 치 중함으로써 불교의 외형적 발전에는 그다지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
그러나 양자는 상호 보완의 관계에 있었다. 폐사를 막음으로써 寺刹 의 명맥을 이은 것은 事判僧의 공로 이며, 부처님의 慧光 을 전하고 佛法을 이은 것은 理判 僧의 공로였다.
그럼에도 해방 후 한 때 비구승 대처승의 다툼이 있었을 때 각기 理判 僧·事判僧 비유해 상호 비판했던 적이 있었다.
사실 조선왕조 5백년 동안 사상 유례없는 억불정책에도 불 구하고 불 교가 살아 남을 수 있었던 것은 理判·事判의 功이 아닌가. 그러나 理判 ·事判을 다 시도했지만 묘안이 없다면 그야말로 '理判事判', 자포자기 가 될 수 밖에 없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