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eorks 2010. 4. 16. 00:02
故 事 成 語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遠:
멀 원.水:물 수. 不:아닐 불.救:구원할 구,近:가까울 근.火:불 화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            
먼 데 있으면 급할 때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                       


     《한비자(韓非子)》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춘추 시대, 노(魯)나라 목공(穆公)은 아들들에게도 진(晉) 나라와 형(荊)
     라를 섬기게 했다.

     그 무렵 노나라는 이웃 나라인 강국 제(齊)나라의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래서 위 급할 때 진나라와 형나라 같은 강국의 도움을 받으려는 속 셈에
     서였다. 목공의 그런 속셈을 이서(梨 )가 간했다.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 먼 월(越)나라에서 사람을 청해다 가 구하려 한다
     면 월나라 사람이 아무리 헤엄을 잘 친다 해 도 때는 이미 늦사오며, 또 집
     에 불이 난 경우, 발해(渤海) 와 같이 먼바다에서 물을 끌어다가 끄려 한다
     면 바닷물이 아무리 많다 해도 때는 역시 늦사옵니다.

     이처럼 '먼 데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 [遠水不救近
     火]'고 했듯이 노나라가 이웃 제나라의 공격을 받았을 경우, 먼 진나라와
     형나라가 강국이긴 해도 노나라의 위난은 구하지 못할 것이옵니다."


     [출 전]《韓非子》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선무(長袖善舞)  (0) 2010.04.16
자포자기(自暴自棄)  (0) 2010.04.16
일패도지(一敗塗地)  (0) 2010.04.15
일전쌍조(一箭雙雕)  (0) 2010.04.15
일자천금(一字千金)  (0) 2010.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