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장수선무(長袖善舞) 長:길 장, 袖:소매 유, 善:착할 선, 舞:춤출 무 소매가 길면 춤을 잘 출 수 있다. 무슨 일을 하든지 여건이 좋은 사람이 더 유리하다는 말.
능력과 실력이 있는 사람이라도 유리한 조건이 곁들여지면 반드시 더욱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뜻이다.
이 말은 돈이 많으면 장사를 잘할 수 있다는 뜻인 다전선고 (多錢善賈)를 덧붙여 쓰기도 한다.
전국시대 말기의 사상가인 韓非子의 《韓非子》<오두편> 에는 이런 말이 적혀있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소매가 긴 옷을 입으면 춤을 잘 출 수 있고 돈이 많 으면 장사하기 좋다(長袖善舞 多錢善賈)'고 했 다 이것은 자산이 풍부하 면 일을 하기가 쉽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정치가 잘 되어 있는 강대국은 계획을 꾸미기 쉽고 정치가 어지 러운 약소국은 계획을 꾸미기가 어렵다.
진(秦) 나라와 같은 부강한 나라에서 일하는 관리들은 열번이나 계 획을 바꾸어도 실패하는 일이 드물다.
반대로 연(燕)나라 같 은 약소국에서 일하는 관리들은 계획을 한번만 바 꾸어도 성 공을 거두기가 힘든다.
이런 차이가 나는 것은 진나라의 관리 가 지혜가 있는 사람이어서 그런 것도 아니고 연나라의 관리 가 어리석은 사람이어서 그런 것도 아니다.
결국 나라라 잘 다스려져 있느냐, 그렇지 못하냐 하는 밑바탕의 차이일뿐 이다."
여기서 한비자가 주장하고 싶은 것은 어느 나라이건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재를 갖고 있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런 훌륭한 인재들의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잘 정비되어 있는 체제와 제도도 중요하다는 것이다.
[오두]란 말은 '국가를 좀먹는 <다섯 종류의 좀>이라는 뜻 으로 한비자는 학자와 유세하는 선비와 협객과 상공업자와 국가의 공민으로서 의무를 버리고 권세가의 식객노릇을 하 는 사람들을 들어, 이와같은 국가의 기생 충은 정치의 문란 에서 발생하며, 그 문란을 선동하는 존재이므로, 임금 된 사 람은 그들의 언론에 마음을 빼앗기거나, 그들의 행동을 용 서해서 는 안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