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說話

125.부처쟁병 설화

eorks 2010. 5. 3. 06:42

韓國의 說話
부처쟁병 설화
    부부가 떡을 차지하기 위해 내기를 하는 내용을 다룬 설화.
    소화(笑話)의 치우담(癡愚譚)으로 분류되며, 한자어로는 ‘부처쟁병
    설화(夫妻爭餠說話)’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구전되고 있다. 줄거
    리는 다음과 같다.
    
     내외가 제사 떡을 놓고 끝까지 말을 안 하는 편이 그것을 먹기로 내
    기를 한다. 그때 마침 도둑이 들어왔는데 말이 없자 내외가 모두 벙
    어리인 줄 알고 실컷 물건을 보에 싸 고 아내까지 범하려 한다. 더 
    참을 수 없게 된 아내가 남편에게 박정한 사람이라고 소리를 치자, 
    남편은 “떡은 내 것” 하고 떡을 입으로 가져갔다.
    일본에서도 ‘말 안 하기 내기’라 하여 역시 같은 이야기가 전승된다. 
    이 설화는 불전설화(佛典說話)에 근원을 둔 것으로 [백유경 百喩經] 
    권4 부부식병요유(夫婦食餠要喩)에서 같은 내용이 발견된다. 
    이 설화는 대부분의 불전설화가 그렇듯이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까지 전파된 것으로 보아 무방하다. 다만 불전설화의 끝 부분에 첨가
    된 교훈적인 부연은 생략되고 예화만이 전승되었는데 이는 단순하고 
    보편적인 내용이라야 쉽게 전승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불전설화에서는 떡의 출처가 분명하지 않고 일본에서도 단순
    히 이웃집 떡이라고 전하는 데 비해서 우리 나라의 전승에서는 그것
    이 이웃집에서 가져온 제사 떡이라고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설화는 그 전파 과정에서 그것을 수용하는 민족의 문화나 생리에 맞
    도록 변이를 일으키는데 제삿날 음식을 한 마을에서 모두 나누어 먹
    는 우리 민속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때 나누어진 떡의 양이 그리 많은 것이 못 된다는 것을 전제하면 
    떡을 즐기는 내외가 그것을 한 개라도 더 먹고 싶어 하는 욕심은 본
    능적으로 가능하며 이야기의 소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가 비롯되면 이 이야기의 흥미는 이제 누구나가 공감
    할 수 있는 내용으로 전개된다. 이런 면에서 우리의 설화는 불전설화
    보다 진일보한 흥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 朝鮮民族說話의 硏究(孫晉泰, 乙酉文化社, 1947), 
                    韓日民譚의 比較硏究(成耆說, 一潮閣, 1979).
    

......^^백두대간^^........白頭大幹

'한국의 說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7.빈녀양모 설화(孝女知恩說話)  (0) 2010.05.05
126.북두칠성과 단명소년 설화  (0) 2010.05.04
124.봉이김선달 설화  (0) 2010.05.02
123.봉선화 설화  (0) 2010.05.01
122.보희 설화  (0) 201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