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1 4

삼복(三伏)의 어원(語源), 유래(由來), 풍속(風俗), 음식(飮食)

삼복(三伏)의 어원(語源), 유래(由來), 풍속(風俗), 음식(飮食) 1.삼복(三伏)의 어원(語源)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속절(俗節)이다.하지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庚日)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이라하여,이를 삼경일(三庚日) 혹은 삼복 이라 한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그러나 해에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삼복의 어원에 대해서는 신빙할 만한 설이 없다. 다만 최남선의《조선상식 (朝鮮常識)》에의하면 '서기제복(暑氣制伏)'이라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서기제복(暑氣制伏): 육당은 복을 서기제복(暑氣制伏)의 줄인 말로 설명하고 ..

가져온 글 2024.05.11

자네가 나에 스승이네

자네가 나에 스승이네               옛날 어느 마을 서당에 글공부를 시작하기에는                조금 늦은 청년이 공부하기를 청하며 찾아왔습니다.               서당의 훈장은 다른 학동들의 공부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청년을               받아 주었습니다.               그런데 청년은 배움의 속도가 너무 느렸고               심지어 집안일과 농사일 때문인지               서당을 자주 빠지고 안 나오는 일도               매우 잦았기에 보다 못한 훈장이               청년에게 말했습니다.               "내 자네에게 글을 가르치고 사서삼경과 논어,             ..

가져온 글 2024.05.11

아픈마음 풀어주기

아픈마음 풀어주기                   마음이 아플때 우리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아픈 마음을 털어 놓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몰라서라기 보다는                   위로받고 싶고 이해받고 싶은 마음에..                   그러나 돌아오는 말이 나의 단점이나                   실수를 지적받는 충고라면                   가까운 사람마저 먼 타인으로 느껴지고                   마음 문을 닫게 하여                   더 큰 외로움을 느끼게 됩니다.                   정말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아파서 날 찾으면                 ..

좋은글 2024.05.11

능이버섯의 효능

능이버섯의 효능~능이~능이버섯과 개능이버섯이 있는데~ 능이는 많이들알고있지만 개능이는 모르는분들이 많다능이는 {성능이} {참능이}라하며 흑갈색,황색,백색등으로 가끔혼란을 일으킨다는 분들이많다~ㅎㅎ~개능이~개능이는 몇년전만해도 먹지못하는버섯이라고 거들떠보지도않았던 몹쓸버섯으로 외면당하던 버섯이지만산야~에서 수년전부터 된장이나 고추장에박아두고 장아찌로도먹고 술안주로도 애용하기도하고~ㅎㅎ특히 무침요리로해놓으면은 쌉쌀한맛이 오히려 일품입니다한번맛들이면은 그맛을 잊을수가없는 고급버섯으로 어느새 대우받는 버섯으로 군림하고 있습니다 성능이는 이미 학술적으로 폐암 기관지천식 각종암에 항암기능이 있다고밝혀져 많이들 애용하는상태이고식용으로도 그맛과향은 어느버섯도 따라올수없는 독특한향으로 정평이나있습니다능이를 3키로정도 채..

산야초의 효능 2024.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