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퇴 고(推敲) 推:밀 퇴(추). 敲:두드릴 고, 밀고 두드린다는 뜻으로, 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을 이르는 말.
당나라 때의 시인 가도[賈島:자는 낭선(浪仙),777∼841]가 어느 날, 말을 타고 가면서〈이응의 유거에 제함[題李凝幽居]〉이라는 시를 짓기 시작했다.
閑居隣竝少(한거린병소) 이웃이 드물어 한거하고 草徑入荒園(초경입황원) 풀 숲 오솔길은 황원에 통하네 鳥宿池邊樹(조숙지변수) 새는 연못가 나무에 잠 자고 僧敲月下門(승고월하문) 중은 달 아래 문을 두드린다 그런데 마지막 구 절인 '중은 달 아래 문을……'에서 '민다[推]' 라고 하는 것이 좋을지 '두드린다 [敲]'라고 하는 것이 좋을지 여기서 그만 딱 막혀 버렸다.
그래서 가도는 '민다''두드린다'는 이 두 낱말만 정신없이 되뇌며 가던 중 타 고 있는 말이 마주 오던 고관의 행차와 부딪치고 말았다.
"무례한 놈! 뭣하는 놈이냐?"
"당장 말에서 내려오지 못할까!"
"이 행차가 뉘 행찬 줄 알기나 하느냐?"
네댓 명의 병졸이 저마다 한 마디씩 내뱉으며 가도를 말에서 끌어내려 행차 의 주인공인 고관 앞으로 끌고 갔다.
그 고관은 당대(唐代)의 대문장가인 한유(韓愈)로, 당시 그의 벼슬은 경 조윤 (京兆尹:도읍을 다스리는 으뜸 벼슬)이었다.
한유 앞에 끌려온 가도는 먼저 길을 비키지 못한 까닭을 솔직 히 말하고 사죄 했다.
그러자 한유는 노여워하는 기색도 없이 잠시 생각하더니 이렇게 말했다.
"내 생각엔 역시 '민다'는 '퇴(推)'보다 '두드린다'는 '고(敲)' 가 좋겠네."
이를 계기로 그후 이들은 둘도 없는 시우(詩友)가 되었다고 한다.
[주]가도 : 당나라의 시인. 하북성 범양(河北省范陽) 사람. 자는 낭선(浪仙). 일찍이 불문(佛門)에 들어감. 법명(法名)은 무본(無本). 한유(韓愈) 와의 사귐 을 계기로 환속(還俗)한 후 시작(詩作)에 전념함.